절약이 다가 아니다! 사회 초년생의 1억 모으기_돈쓸신잡 #82

박지우 2023. 1. 26. 15:4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한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사회 초년생이 30살 이전에 1억 원 모으기가 어려운 이유〉라는 제목의 글을 읽었다. 글에 따르면 평범한 직장인이 30살 이전에 1억 원을 모을 수 없는 이유는 한둘이 아니다. 부모님과 따로 사는 직장인이라면 다달이 내야 하는 월세만 해도 부담스럽다. 식비, 교통비, 휴대폰 요금, 각종 공과금 등 고정 지출 역시 만만치 않다. 학자금 대출까지 갚아야 하는 상황이라면 1억 원은커녕 한동안 저축도 어려울 수 있다. 최근엔 취업난 때문에 신입 사원의 평균 나이도 올라가는 추세라 여러모로 30살 이전에 1억 원을 모으는 건 현실적으로 어렵다. 무엇보다 사회 초년생은 급여 자체가 많지 않기 때문에 아무리 절약하고 저축해도 이른 시기에 목돈을 모으는 건 쉽지 않다.

그 게시물에 달린 댓글을 하나하나 읽어봤다. "맞아, 30살 전후에 1억 원을 모으는 건 힘들지" "요즘엔 눈만 올라가서 그렇지, 실제로 1억 원 모으는 게 얼마나 힘든데" "인터넷에서나 1억 원 모았다는 사람들 많지, 실제로는 별로 없을걸?"

물론,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미션에 실패하더라도 도전해 본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결과물은 다르다. 5년 이내에 1억 원을 모으는 것을 목표로 절약하고 돈을 모았는데 결과적으로 6000만~7000만 원을 모았다고 치자. 미션엔 실패했지만 어쨌든 적지 않은 목돈이 손에 들려있다. 반대로, 애초에 목표 자체를 세우지 않고 지출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면? 분명히 몇 년간 일은 열심히 했는데, 딱히 모은 돈은 별로 없을 것이다. 사회 초년생이 5년 이내에 1억 원을 모으는 건 현실적으론 힘들지만, 그 노력 자체는 의미가 있다는 뜻이다. 목돈을 모을 때 빠지기 쉬운 함정들을 정리해 봤다.

「 플렉스도 계획적으로 」
Unsplash
플렉스라는 단어를 생각하면 자동으로 떠오르는 것들이 있다. 호캉스, 해외여행, 명품, 오마카세. 물론, 절박한 마음으로 돈을 모으는 사람은 원하는 목표에 도달할 때까지 하이엔드 소비에 눈길도 주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모두가 이렇게까지 허리띠를 졸라매는 건 아니다. 가끔 특별한 날 소중한 사람과 평소 잘 가지 않는 곳에 가서 비용을 지불하고 좋은 경험을 쌓을 수도 있다. 중요한 건 이따금 즐기는 플렉스 역시 철저한 재정 계획 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큰마음 먹고 비싼 코트 혹은 패딩을 사려 백화점에 갔다가 외투뿐 아니라 다른 패션 아이템까지 함께 구매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호텔에 갔는데 체크인할 때 20만 원만 추가하면 룸 업그레이드를 해준다는 호텔리어의 제안을 성큼 받아들이기도 할 것이다. 실제로 내가 그랬다. 호캉스 비용을 예상보다 20만 원을 더 썼지만, 심리적으론 오히려 "돈을 아꼈다"라며 합리화를 했다.

평소 검소한 사람조차 플렉스를 하는 날만큼은 머릿속 회계 장치가 고장 난다. '이왕 돈 쓰는 거'라고 생각하면서 계획에도 없던 소비를 추가한다. 나중에 카드값을 보고 놀랄 게 뻔하지만, 그 당시엔 소비가 주는 쾌감에 취해 제대로 판단을 내리지 못한다.

「 절약이 챌린지라고? 」
Unsplash
나는 몇 년째 꾸준히 헬스장에 다니며 운동을 하는 중이다. 하지만 의식적으로 헬스장에 가지 않는 시기가 있다. 바로 1월 초다. 퇴근 후 헬스장에 가면 사람이 너무 많아 제대로 운동을 할 수가 없다. 지금까지 다녔던 헬스장 네 곳이 모두 그랬다. 그래서 연초엔 차라리 홈트를 하거나 혹은 바깥에 나가 가벼운 러닝을 한다. 하지만 새해 헬스장 성수기는 보름 정도만 지나면 제자리로 돌아간다. 헬스장 인구 밀집도는 거짓말처럼 확 줄어든다. 연초에 많은 사람이 "올해는 진짜 열심히 운동해야겠다"라며 의지를 활활 불태우지만, 그 열기가 보름 정도만 지나면 꺼지는 것이다.

그렇다면 꾸준히 오랫동안 운동하는 사람들은 어떤 특징이 있을까? 어떤 마음으로 운동을 할까? 그들은 별생각이 없는 사람들이다. 운동이 삶의 일부이기 때문에 운동이라는 대상 자체에 큰 의미 부여를 하지 않는다. 나이키 정신처럼 그들에게 운동은 '그냥 하는 것'(Just do it!)이다.

절약도 마찬가지다. 절약을 힘겨운 챌린지라고 생각하면서 매일매일 이걸 지나치게 의식하는 사람과 별생각 없이 자연스럽게 절약하는 사람 중 누가 더 오랫동안 검소한 태도를 유지하며 자산을 모을까? 당연히 후자가 그럴 가능성이 높다. 이런 사람에게 절약은 심플하다. 내게 필요 없는 소비는 하지 않는 것이다. 필요하지 않은 소비이기에 이걸 하지 않는다고 해서 딱히 괴로움을 느끼지도 않는다.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는 건 돈도 돈이지만 시간과 에너지도 아끼는 일이다. 그래서 물질적으로 검소한 태도를 갖춘 사람일수록 멘탈도 단단한 경우가 일반적이다. 거창하게 무지출 챌린지까지 할 필요가 없다. 챌린지 상태를 평생 유지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 오직 절약만 한다고 될까? 」
Unsplash
돈을 잘 모으는 비결은 간단하다. 돈을 지금보다 더 많이 벌면 된다. 절약은 중요하지만, 애초에 버는 돈 자체가 많지 않다면 자산 증식 속도는 더딜 수밖에 없다. 소득 수준이 평균 이상이라면 줄줄 새나가는 돈만 확실히 잡아도 자산의 파이를 수월하게 키울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엔 오직 절약만 몰두하는 건 비효율적이다.

우리는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지 않은가. '오직 월급만으로는 답이 나오지 않는데?' 그렇다면 답을 찾아봐야 한다. 직장인이 소득을 올리는 가장 직접적인 방법은 연봉을 더 주는 기업으로 이직을 하는 것이다. 그러려면 지금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을 잘 해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직 시장에서 레퍼런스 체크(평판 조회)는 공공연한 관행이다. 소득을 올리는 또 다른 방법은 부업이다. 주말 혹은 퇴근 이후에 부업을 하는 직장인은 실제로도 꽤 많이 늘었다. 다만, 지속가능성 혹은 성장성을 고려하면 부업이라고 할지라도 단순노동보다는 '하면 할수록 쌓이는 일'을 고르는 것이 좋다. 전자책 출판이나 자신의 스킬을 이용한 클래스 개설 등이 좋은 케이스다.

이처럼 '돈을 더 벌기 위해 고민하는 것' 자체가 강력한 절약 방법이다. 에너지의 방향 자체가 돈을 버는 쪽으로 향하면 절약은 더는 신경 쓰지 않아도 자동으로 이뤄진다.

.

Copyright © 엘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