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곰의 같은 사냥터, 다른 사냥법

윤민섭 2023. 1. 26. 01: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디플러스 기아 '캐니언' 김건부의 사냥법은 날이 갈수록 교묘해진다.

디플 기아는 지난 20일 서울 종로구 LCK 아레나에서 열린 2023 'LoL 챔피언스 코리아(LCK)' 스프링 시즌 정규 리그 1주 차 경기에서 리브 샌박을 2대 0으로 완파했다.

당시 디플 기아는 마오카이와 루나미(루시안·나미)를, 리브 샌박은 바이와 제리·룰루를 연이어 선택했다.

두 번 다 김건부가 바텀 갱킹을 성공시킨 게 디플 기아에 큰 힘이 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디플러스 기아 ‘캐니언’ 김건부의 사냥법은 날이 갈수록 교묘해진다.

디플 기아는 지난 20일 서울 종로구 LCK 아레나에서 열린 2023 ‘LoL 챔피언스 코리아(LCK)’ 스프링 시즌 정규 리그 1주 차 경기에서 리브 샌박을 2대 0으로 완파했다. 1세트와 2세트에 비슷한 밴픽 구도가 나왔는데, 디플 기아가 모두 완승을 거뒀다. 당시 디플 기아는 마오카이와 루나미(루시안·나미)를, 리브 샌박은 바이와 제리·룰루를 연이어 선택했다.

두 번 다 김건부가 바텀 갱킹을 성공시킨 게 디플 기아에 큰 힘이 됐다. 당시 김건부는 같은 정글러 챔피언을 상대하고, 같은 구도의 바텀라인에 개입했는데도 1레벨부터 다른 스킬을 배우고 다른 캠프부터 정글링을 시작했다. 그는 1세트 땐 ‘묘목 던지기(E)’, 2세트 땐 ‘덤불 주먹(Q)’부터 습득했다.

이날 경기 후 인터뷰 자리에서 그의 초반 설계에 대해 들어볼 수 있었다. 첫 세트 때는 바텀 듀오의 부시 장악을 돕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했다. 그는 “바텀이 부시를 장악해주면 편하다고 해 E부터 찍었다”고 말했다. 첨예한 루나미 대 제리·룰루 구도에서는 부시를 먼저 장악하는 게 중요하므로 그는 상대가 들어올 만한 부시마다 묘목을 던져놨고, 디플 기아 바텀 듀오는 덕분에 라인전 초반에 이득을 봤다.

2023 LCK 스프링 시즌 중계화면


2세트 때도 바텀 듀오의 라인전에 힘을 보탰지만, 그 방법을 바꿨다. 정글링 속도를 높이기 위해 Q부터 배웠다. 상대 정글러의 1세트 플레이를 보고 변주를 줬다. 김건부는 “1세트 때 바이가 위쪽 3캠프를 돌더라. 내가 아래쪽 3캠프만 돌고 갱킹을 하면, 상대는 오지 못하는 타이밍에 나만 바텀으로 갈 수 있다고 생각했다. 빠른 정글링을 위해 Q부터 배웠다”고 말했다.

그는 실제로 아래쪽 3캠프만 정리한 뒤 바텀 갱킹을 시도해 ‘엔비’ 이명준(제리) 상대로 퍼스트 블러드를 따냈다. 1세트 땐 아래쪽 3캠프를 처리하는 데 2분40초가 걸렸지만, 2세트 땐 2분17초 만에 3캠프를 비우고 2분32초에 이명준과 얼굴을 마주해 ‘뒤틀린 전진(W)’으로 사형선고를 내렸다.

아울러 같은 구도임에도 1세트 때는 ‘승전보’와 ‘전설: 강인함’을, 2세트 때는 ‘비열한 한 방’과 ‘끈질긴 사냥꾼’을 보조 룬으로 선택한 이유도 밝혔다. 김건부는 “1세트 땐 상대 미드라이너가 아리여서 CC 연계에 당할 수 있으므로 강인함이 필요하다고 봤다. 2세트 땐 상대방의 CC가 그다지 치명적이지 않아 챔피언에게 좋은 룬을 선택했다”고 전했다.

윤민섭 기자 flame@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