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 70년 만에 도외 행불인 신원 찾는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4·3 당시 도외 형무소에서 행방불명된 제주도민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작업이 처음 추진된다.
제주도와 제주4·3평화재단은 4·3사건 당시 도외 형무소로 끌려간 뒤 소식이 끊겨 행방불명자로 분류된 이들의 신원 확인을 위해 유전자 감식 작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조상범 제주도 특별자치행정국장은 "대전형무소 수감자 명단을 근거로 4·3희생자 298명이 집단 학살된 후 대전 골령골에 묻힌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이번 작업 결과에 거는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3 당시 도외 형무소에서 행방불명된 제주도민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작업이 처음 추진된다.
제주도와 제주4·3평화재단은 4·3사건 당시 도외 형무소로 끌려간 뒤 소식이 끊겨 행방불명자로 분류된 이들의 신원 확인을 위해 유전자 감식 작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첫 대상지는 대전 골령골이다. 한국전쟁 발발 직후 당시 대전형무소에 수감돼 있던 재소자들이 대거 학살된 곳이다. 7000명 정도가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지난해까지 1361구의 유해가 발굴됐다. 당시 대전형무소에는 제주도민 298명이 수감돼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
도는 국비 14억7000만원이 확보됨에 따라 올해 발굴 유해 200구에 대한 유전자 채취 작업을 우선 진행한다.
도는 올해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과거사위)가 추진하는 유해 시료 채취 결과까지 모아 대략 300여구의 유전자 정보를 도외행불인 유가족의 유전자 정보와 대조해 나갈 방침이다.
이후 유해 신원이 확인되면 행안부와 유해 인계 등의 협의를 거쳐 유가족 품으로 돌려보낼 계획이다.
4·3희생자 신원 확인 작업은 그간 제주지역에서만 이뤄졌다. 도외 행불자에 대한 유전자 감식은 이번이 처음이다.
4·3당시 제주도민이 이감된 전국 형무소는 모두 11곳이다. 도는 이 가운데 암매장 추정 구역에서의 발굴작업이 가능한 대구·청주·김천형무소에 대해서도 같은 작업을 진행해 나갈 방침이다.
조상범 제주도 특별자치행정국장은 “대전형무소 수감자 명단을 근거로 4·3희생자 298명이 집단 학살된 후 대전 골령골에 묻힌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이번 작업 결과에 거는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작업을 위해 지난해 7월부터 행정안전부, 과거사위, 대전 동구청과 감식 협업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해왔다”며 “과거사위와의 지속적인 정보 공유로 유족의 평생의 한을 위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4·3은 1947년 3·1절 발포사건과 1948년 4월 3일 무장봉기로 촉발됐다. 무장대와 토벌대 간의 무력 충돌과 토벌대의 진압 과정에서 2만5000∼3만여명의 인명 피해를 가져왔다. 당시 제주도 인구의 10분의 1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 가옥 4만여 채가 소실되고, 중산간 지역의 상당수 마을이 폐허로 변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남편 홍혜걸도…” 여에스더, 항우울제 복용 고백
- 내 휴대전화가 나를 신고하다니… 음주운전 덜미 잡힌 30대
- “아저씨 빌며 맞아”…모텔서 40대 둔기 폭행한 10대들
- 만취해 대낮 카페 ‘진상’… 잡으니 강력반 형사들 [영상]
- “짬뽕에 홍합 빼달라”에… 사장 “손 없어요?” 역정
- 군용차 몰고 부대 무단이탈한 해군, 음주사고까지
- “이재명-김성태, 이사진 뭐냐” SNS루머 해명한 김남국
- “일수에 갇혔다” 하루살이 삶 사는 저신용 자영업자
- “손주 돌보면 月 30만원”… 서울시 ‘엄빠 행복 프로젝트’ 가동
- “반려동물호텔 맡긴 내 강아지, 죽어 돌아왔다”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