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지난해 3% 성장…"76년 문화대혁명 이후 두번째 최저"
지난해 중국이 문화대혁명 마지막 해였던 1976년 이후 두 번째로 낮은 연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기록했다. 중국 인구도 대기근이 닥쳐온 1961년 이후 60여년 만에 처음으로 역성장했다. 중국발(發) 경제 쇼크에 우리나라 수출 전망도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7일 지난해 중국 GDP가 121조 207억 위안(약 2경 2000조원)으로, 전년 대비 3.0%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번 성장률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원년이었던 2020년(2.2%)을 제외하면 문화대혁명이 끝난 1976년(-1.6%) 이후 거의 반세기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지난해 4분기 성장률은 전년 대비 2.9%를 기록했다.
특히 중국 당국이 지난해 3월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설정한 목표치인 5.5%에도 한참 못 미쳤다. 실제 수치와의 격차인 2.5%포인트는 1994년 성장률 목표치를 설정하기 시작한 이후 최대치다. 지금까지 중국이 목표 달성에 실패한 경우는 1998년(-0.2%포인트)과 2014년(-0.1%포인트) 두 차례에 불과하다.
중국 발목 잡은 ‘제로 코로나’…“사실상의 침체”
저조한 성장률은 지난해 중국 경제 발목을 잡은 ‘제로 코로나’ 정책의 영향이 절대적이라는 평가다. 중국 연간 GDP 성장률은 팬데믹으로 인해 2019년 6.0%에서 2020년 2.2%로 크게 위축됐다가 2021년엔 기저효과에 힘입어 8.4%로 올라섰다. 하지만 지난해 4~5월 상하이 전면 봉쇄를 비롯해 강도 높은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집하면서 중국 경제는 부동산 침체, 내수 타격 등으로 깊은 침체에 빠졌다. 결국 중국 당국은 지난해 12월에 들어서야 ‘위드 코로나’로 전환했지만 경기 반등 효과는 미미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사실상의 침체’에 빠졌다고 보고 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경제 규모를 고려하면 3% 성장률은 사실상의 침체로 평가해도 무방한 수준”이라며 “중국 부동산 경기는 침체에서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았고, 소비 심리, 내수 경기, 투자 등 모든 분야가 최악이었다”고 설명했다.
61년 만에 中 인구 감소…“수요 둔화로 경제 타격 가속”
중국 인구도 마오쩌둥의 대약진 운동으로 대기근이 찾아온 1961년 이후 처음으로 역성장해 충격을 더했다. 지난해 중국 인구 수는 14억 1175만명으로, 전년 대비 85만명 감소했다. 출생 인구는 956만명인 데 반해 사망자는 1041만명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중국 당국은 2021년부터 부부가 세 자녀를 가질 수 있도록 허용하는 한편 각 지방정부들도 주택 및 교육 할인 제공, 육아 휴직 확대 등 저출산 대책을 잇달아 내놨지만, 출생 인구는 오히려 2021년(1062만명)보다 줄어들었다. 여기에 코로나19 확산으로 사망자는 급증했다.
블룸버그는 “예상보다 빠른 인구 감소는 신규 주택 등에 대한 수요 둔화로 경제 성장에 타격을 입힐 수 있다”며 “이는 중국 경제가 규모에서 미국을 따라잡는 것이 힘겨울 수 있고, 올해 최대 인구 대국 지위를 인도에 뺏길 수 있다”고 평가했다.
엇갈리는 올해 중국 경제 전망…한국도 ‘불투명’
이런 중국 경제의 둔화는 무역 의존도가 큰 한국의 수출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한국의 전체 수출에서 중국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기준으로 22.8%다. 전년(25.3%)보다 크게 떨어졌는데도 높다. 지난해에는 중국의 경기 침체로 한국의 대중(對中) 수출액은 전년보다 4.4% 줄어든 1558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한국 전체 수출 실적을 끌어내리는 데 일조했다. 올해도 이미 1월 1~10일 대중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23.7% 감소했다.
관건은 중국의 올해 성장률이다. 전문가들은 중국 최대 명절인 춘절(春節·춘제) 직후 코로나 확진자가 정점을 찍은 뒤 올 상반기 중에 중국 경제가 반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동수 산업연구원 해외산업실장은 “지난해 바닥을 찍었기 때문에 올해는 기저효과 등으로 경제 상황이 나아질 것으로 보인다”며 “상반기에 중국이 코로나를 극복하고 내수 경제가 잘 회복한다면 우리나라에도 중국발 효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불확실성이 크다는 우려가 여전하다. 중국이 코로나 위기를 극복하더라도 무너져 내린 경제를 견인할 산업 동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박상현 연구원은 "‘새장 경제’로까지 지칭되는 빅테크 규제 중심의 디지털 경제와 산업정책 방향에 대한 우려가 있다"며 "해소되지 못한 부동산 부실 리스크, 미중 갈등으로 인해 잠재해 있는 ‘차이나 런’ 리스크 등은 하반기 중국 경제의 안정적 회복에 커다란 장애물"이라고 분석했다.
강준영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교수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중국의 생산가능인구는 감소하고 있어 경제 발전 속도가 점점 더뎌질 것”이라며 “우리나라도 중간재 수출에 의존하던 기존 무역에서 탈피해 새로운 통상 전략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나상현 기자 na.sanghyeo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AOA 권민아 "명품백 중고거래 하다 5000만원 사기 당했다" | 중앙일보
- '야구여신' 정인영, 배우 윤석현과 결혼…서지석이 연 이어줬다 | 중앙일보
- "호텔로 가서 한잔 더"…미술계 거장 성폭행 사건 전말 | 중앙일보
- "날 50대로 보더라"…90세 가천대 총장이 밝힌 인생의 기적 | 중앙일보
- "윤 퇴진" 외친 중고생단체 반전…10대 단 3%뿐이었다 | 중앙일보
- 만수르 만난 이재용 회장, 대화 중 활짝 웃은 이유 | 중앙일보
- '일회용'에 속았네…40시간 넘게 쓴 마스크 성능의 반전 | 중앙일보
- "마클, 발가벗고 걸었으면"…딸까지 욕한 영국 유명 진행자 막말 | 중앙일보
- 정형돈, 자수 1년 만에…"눈뜨고 코베여" 또 교통 위반한 이유 | 중앙일보
- 강남 한복판에 중국 비밀경찰서?…한국, 스파이 안식처인 까닭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