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평산마을에 책방 열고 직접 '책방지기' 나선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곽재훈 기자(nowhere@pressian.com)]문재인 전 대통령이 평산마을에 북카페 형태의 책방을 열고 유권자와 직접 소통에 나서겠다는 뜻을 밝혔다.
16일 <한겨레> 에 따르면, 문 전 대통령은 지난해 이 신문사와 출판사 한길사가 공동 기획한 인터뷰에서 "이미 여러 지역에서 서점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제가 사는 평산마을에서도 작은 책방을 열어 여러 프로그램을 펼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마을의 작은 주택 한 채를 내부만 리모델링해서 오픈하려고 조용히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곽재훈 기자(nowhere@pressian.com)]
문재인 전 대통령이 평산마을에 북카페 형태의 책방을 열고 유권자와 직접 소통에 나서겠다는 뜻을 밝혔다.
16일 <한겨레>에 따르면, 문 전 대통령은 지난해 이 신문사와 출판사 한길사가 공동 기획한 인터뷰에서 "이미 여러 지역에서 서점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제가 사는 평산마을에서도 작은 책방을 열어 여러 프로그램을 펼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마을의 작은 주택 한 채를 내부만 리모델링해서 오픈하려고 조용히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문 전 대통령은 "책방 이름은 '평산마을 책방' 정도로 생각하고 있다"며 "2월이나 3월에 문 열 계획"이라고 구체적인 언급도 했다. 그는 "나름대로 콘셉트를 만들고 이 콘셉트에 공감하는 분들이 우리 책방에 와서 책을 구매해 가는 그런 책방으로 만드는 것이 좋지 않을까"라며 "저자와 독자와 만나고 대화하는 책방, 책 읽는 친구들이 방문하고 토론하는 책방"이라는 구상을 밝혔다. 청소년 공부모임, 도자기 체험 등 프로그램도 운영한다는 구상이다.
문 전 대통령은 이같은 기획을 한 이유에 대해 "평산마을은 조용하고 아름다운 시골인데 제가 여기로 사저를 정하면서 시위로 인한 소음과 욕설이 마을을 뒤덮어 버렸고 주민들은 정신적으로 엄청난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 식당이나 카페, 가게를 하는 분들이 피해를 입는 걸 보면서 제가 도움드릴 방안이 없을까 고민하다가 마을책방을 생각하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문 전 대통령은 "책방을 열면 저도 책방 일을 하고, 책을 권하고 같이 책 읽기를 하려고 한다. 홈페이지를 통해서 책방의 일상 모습을 올릴 수도 있을 것 같다"며 직접 '책방지기'로 나서 대중과 직간접 소통을 하겠다는 뜻을 밝혀 눈길을 끌었다.
한편 문재인 정부에서 봉직했던 장관, 청와대 수석비서관 등 전직 고위인사들은 정책연구 모임 '사의재(四宜齋)'를 만들어 오는 18일 출범 기자회견을 연다. 사의재는 다산 정약용 선생이 유배지에서 머물던 거처에 스스로 붙인 이름이다.
사의재 포럼의 출범 취지는 김대중-노무현-문재인 정부의 정책 성과를 재평가하는 것으로, 박능후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상임대표를, 정현백 전 여성가족부 장관과 조대엽 전 정책기획위원장이 공동대표를 맡는다.
정치권에서는 사의재가 향후 민주당 내 친문계 구심점 역할을 하게 되는 게 아니냐는 시선도 있다.
[곽재훈 기자(nowhere@pressian.com)]
Copyright © 프레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尹대통령 국정지지도, 5주만에 다시 30%대로
- 나경원의 '중꺽마', '잔혹복수극'에 쓰러지면 안 된다
- 네팔서 한국인 2명 등 72명 탄 항공기 추락…최소 40명 사망
- 日 기시다 "尹대통령과는 이야기할 수 있다"
- 나경원·안철수, 한목소리 '윤핵관' 비판…전대서 손잡나?
- 있는 연차도 못쓰는데…'추가근로 적립, 휴가로 쓰라'는 정부
- 尹대통령 비판하면 전대 출마도 막는다?…유승민 "북한이냐"
- "아이들 떠난 100일, 100만명과 추모하고 싶습니다"
- "윤석열 정부의 '공정' MB 때보다 훨씬 위험하다"
- 40년 잠복기 가진 석면질환은 '지금, 여기, 모두의' 이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