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신냉전 뚫을 무기는 한류...미·중에 다 통할 '기회의 창' [新애치슨 시대]
■
「 1950년 1월 미국은 소련과 중국의 확장을 막기 위한 ‘애치슨 라인’을 발표했다. 그리고 5개월 뒤 애치슨 라인 밖에 위치하게 된 한반도에선 전쟁이 발발했다. 73년이 지난 2023년 한국은 다시 미ㆍ중의 공급망 전쟁으로 그려질 ‘신(新)애치슨 라인’의 최전선에 서 있다.
중앙일보는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소장 박수진 교수)와 함께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 한국 외교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획 시리즈를 마련했다. ‘아르스프락시아’는 아시아연구소의 의뢰로 2020년 1월~2022년 9월 30일까지 한ㆍ미ㆍ일ㆍ중 4개국 824개 언론사의 기사 550만여건을 빅데이터 분석했고, ‘한국리서치’는 지난달 6~9일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심층 웹설문 조사를 진행했다.(95% 신뢰수준ㆍ표집오차 ±3.1%ㆍ비례할당 후 무작위 추출)
」
미·중을 양축으로 국제사회가 이합집산하는 최근의 신냉전 구도에서 한류(韓流)가 정부의 외교 목표를 견인할 ‘기회의 창’으로 떠오르고 있다. 미·중 경쟁이 거세지며 각국은 피아(彼我)를 구분짓고 있지만, 대부분의 국가가 한류에 대해선 열린 마음으로 호응하고 있어서다. 특히 미·일·중 3국의 경우 한류에 대한 관심이 빠르게 커지고 있다.
중앙일보와 서울대 아시아연구소가 한·미·일·중 4개국의 언론 매체 824곳이 최근 3년간 보도한 영문기사 550만건을 빅데이터 분석한 결과 한류에 대한 언급량은 총 2만319회로 집계됐다. 물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선정된 10대 이슈 중 코로나19 팬데믹(21만4165회)이나 기후변화(5만2242회) 등 다른 글로벌 이슈와 비교했을 때 한류에 대한 언급량 자체가 많은 편은 아니다. 다만 최근 3년간의 언급량 변화 추이를 바탕으로 미래 관심도 증가 폭을 예상한 ‘가속도’ 수치는 +548.8로 상위권에 속했다. 미·일·중 3개국에서 한류는 '미래 이슈'로 각광받고 있다는 의미다.
코로나 지고 한류 뜬다…메가트렌드 된 한국 문화콘텐트
이에 비하면 한류는‘가속도’ 척도로 볼 때 지금보다 빠르게 세계 각국의 주요 관심사가 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다만 정작 한국 내에선 한류 ‘가속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내에서의 한류 가속도는 +27.7로 집계됐는데, 이는 미국(+350.0)과 일본(+63.3)은 물론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 여파가 여전한 중국(+107.8)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국제사회에선 이미 한류가 핵심 글로벌 이슈이자 트렌드로 자리 잡았음에도 정작 국내에선 한류가 가진 소프트파워가 주목받지 못하고, 이를 활용할 준비가 부족하다는 의미다.
빅데이터 분석을 맡은 김도훈 아르스프락시아 대표는 “미·일·중을 포함한 국제사회에서 이미 ‘한류’는 문화 현상을 넘어 하나의 트렌드가 됐고, 관심도 역시 빠르게 증가하며 한국의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하고 있다”며 “다만 국내에선 한류에 대한 가속도 지수가 낮다는 점에서 알 수 있듯 민관 모두에서 한류 활용법에 대한 깊은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미·중 모두 한류에 호응…韓 호감도 상승 견인
또 한국의 동맹국인 미국과 최대 경제 교역국인 중국 모두에서 한류는 강력한 소프트파워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은 매년 한국의 문화 콘텐트가 갖는 영향력을 수치화한 '한류 브랜드파워지수(BPI)'를 발표하는데 지난해 기준 미주 지역에서 미국의 한류 BPI가 64.2점으로 가장 높았다. 중국의 경우 한류 BPI 지수가 67.9점으로 집계됐는데, 아시아의 한류 거점으로 꼽히는 태국(66.8점)과 대만(66.4점)보다 높았다.
호감도의 척도로 평가되는 ‘한국 방문 의향’ 조사에서도 세계 인구 10명 중 6명이 한국을 방문하고 싶은 국가로 평가했다. 아프리카의 경우 한국을 방문할 의향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 76.5%가 그렇다고 답했다. 중동은 이같은 비율이 67.0%였고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에서도 66.8%가 한국을 방문하고 싶다고 답했다.
"韓 문화로 다른 나라 매혹할 주체 됐다"
이같은 결과는 한류가 이미 각국의 문화 콘텐트 시장에 깊숙이 침투해 있음을 보여준다. 각국의 전체 문화 콘텐트 소비 중 한류 콘텐트가 차지하는 비중을 물은 결과 중동의 경우 34.4%에 달했고 아시아·오세아니아는 29.9%, 미주는 23.9%로 집계됐다. 한류 콘텐트가 자국의 문화 콘텐트 만큼이나 광범위하게 유통·소비되고 있다는 의미다.
홍석경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이제 한국은 과거 식민 시절의 착취에 시달렸던 나라도 문화적 역량을 지닐 수 있고, 자력으로 쟁취한 민주화를 통해 개화한 문화적 내용으로 다른 나라를 매혹할 수 있는 문화적 주체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줬다”며 “산업적이든 외교적이든 (한류에 대한) 더욱 정교하고 세련된 접근과 활용법이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기획취재팀=강태화ㆍ정영교ㆍ정진우ㆍ박현주 기자 thkang@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자궁에 귀신 붙었다" 수십명 성추행 무속인…굿값도 수천만원 | 중앙일보
- 이건희 장례 때 취토도 했다…0.0002%, 삼성 왕별은 누구 | 중앙일보
- '태양의 후예' 아크부대 간 윤 부부...김건희 여사 "사막여우 많나요?" | 중앙일보
- "돈 버는데 나이가 있나요"…노점서 붕어빵 굽는 'MZ 누나' | 중앙일보
- 디자인을 잘 못하는 디자이너...호주 갔다 깨달은 '대박의 길' | 중앙일보
- 진열대 엎고 대자로 드러누웠다…백화점 맨발 여성의 '깽판' | 중앙일보
- [단독] 이해찬 전 수행비서도 쌍방울 계열사 사외이사로 재직 | 중앙일보
- '나 홀로 집에' 넘어야 산다…"출마 100%" 말나온 나경원 과제 | 중앙일보
- 동남아 정글 걷는듯 싱그럽다…한겨울 외투 벗고 거니는 이곳 | 중앙일보
- [단독]유·무인기 격추 훈련, 文정부 9·19 군사합의 후 반토막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