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오픈 스페이스’의 우리말?

2023. 1. 16. 00: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립국어원은 지난해 외국어 용어를 우리말로 다듬은 말 가운데 ‘오픈 스페이스’를 ‘열린 쉼터’로 바꾸어 쓰도록 한 것이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다고 최근 밝혔다. 국민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수용도 조사에서 이렇게 평가한 비율이 93.1%를 차지했다는 것이다. ‘오픈 스페이스(open space)’는 도시 계획에서 사람들에게 놀이 활동을 하게 하거나 마음의 편안함을 줄 목적으로 마련한 공간을 이르는 말이다.

다만 대부분의 외래어가 그렇듯 이 용어도 한 가지 뜻으로만 쓰이는 것은 아니다. ‘청년 창업 오픈 스페이스’ ‘진로교육 오픈 스페이스’처럼 ‘열린 공간’ 등의 의미로도 사용된다. 따라서 도시의 공간과 관련된 것이라면 ‘열린 쉼터’가 좋지만 경우에 따라선 ‘열린 공간’ 등으로 적절하게 바꾸어야 할 듯하다.

국어원은 ‘뉴 스페이스’를 ‘민간 우주 개발’로 바꾼 것이 둘째로 좋은 평가(90.9%)를 받았다고 밝혔다. ‘뉴 스페이스(new space)’는 민간기업 주도로 이뤄지는 우주개발사업을 이르는 말이다. 정부 주도 우주개발인 ‘올드 스페이스(old space)’에 대비되는 개념이다.

‘디지털 트윈’을 ‘가상 모형’으로 다듬은 것이 셋째로 좋은 평가(90.7%)를 얻었다고 한다.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은 현실세계의 기계나 사물 등을 컴퓨터 속 가상세계에 구현한 것이다.

‘로컬 소싱’을 ‘현지 조달’(90.6%), ‘클린 뷰티’를 ‘친환경 화장품’(89.8%), ‘커리어 하이’를 ‘최고 기록’(89.8%), ‘오리지널 콘텐츠’를 ‘자체 제작물’(89.5%), ‘코워킹 스페이스’를 ‘공유 업무 공간’(89.0%)으로 바꾼 것이 뒤를 이었다.

배상복 기자 sbbae@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