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10명 중 7명 이상 “올해 경영 상황 나빠질 것” 전망
부정 전망 이유는 고물가·고금리·고환율 ‘삼중고’
최우선 해결 과제로 ‘최저임금 개선’ 꼽혀
소상공인연합회가 지난 4~11일 소상공인 9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3 소상공인 경영 전망 실태 조사’ 결과 올해 경영 상황에 대해 악화할 것이라는 부정적인 응답이 73.8%(매우 악화 36.5%+다소 악화 37.3%)에 달했다.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은 9.1%(매우 개선될 것 1%+다소 개선될 것 8.1%)에 그쳤고 현재 수준 유지 응답은 17.2%였다.
고용 규모별로는 고용원이 없거나 가족끼리만 근무하는 경우 ‘매우 악화’ 전망에 대한 답이 76.8%를 차지하며 평균치를 웃돌았다. 1~2명인 경우는 70.5%, 3~4명인 경우는 68.3%, 5~9명인 경우는 67.5%로 집계됐다. 고용 규모가 작을수록 경제 전망을 나쁘게 본 것이다.
또한 이는 ‘2022년의 경영 성과’에서도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매우 나쁨 44.6%, 다소 나쁨 31.1%, 보통 21.1%, 다소 좋음 2.5%, 매우 좋음 0.7%의 응답률을 보였으나, 고용원이 없거나 가족끼리만 근무하는 경우 경영 성과가 매우 나쁘다고 응답한 수치가 49.3%, 1~2명인 경우는 42.5%, 3~4명인 경우는 31.7%, 5~9명인 경우는 27.5%를 기록, 규모가 작을수록 경영 성과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2022년의 경험치가 2023년의 전망에도 영향을 끼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영 상황이 악화할 것이라는 내다보는 이유는 경기 악화에 따른 소비 심리 위축이 38.8%로 가장 많았다. 이어 고물가에 의한 원가 상승 20.3%, 부채 증가·금리 인상에 따른 금융비용 상승 19.3% 순이었다.
지난해 사업체 운영 시 애로 사항에서도 소비 위축에 따른 매출 하락이 66.3%, 원부자재 가격 인상 41.6%, 경영 자금 조달·금융비용 증가 32.7% 순으로 높은 응답을 기록해 실제로 삼중고로 인해 소상공인들이 힘든 시간을 보낸 것이 입증됐다. 이어서 임대료 등 고정비 29.7%, 인건비와 인력 확보 28%, 공공요금 상승 19.3%, 과당 경쟁 15.1% 순이었다.
아울러 수도권과 지방에서도 미미한 차이를 보였다. 경기 악화에 대한 소비 심리 위축은 지방의 응답률이 수도권에 비해 7%p 높았다. 반면 대기업의 골목상권 침탈을 꼽은 비율은 수도권 소상공인이 지방에 비해 약 3배가량 높은 수치를 보여 대기업의 골목상권 침탈에 따른 타격은 수도권이 훨씬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가장 강화해야 하는 ‘정부의 소상공인 정책(중복 응답)’으로 대환대출·저금리 대출 등 금융지원 확대 64.2%가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소상공인 세제 혜택 확대 39.1%, 공공요금 인상에 대한 부담 경감 34.8%, 생애주기별 맞춤 지원 23.2% 순으로 뒤를 이었다.
차남수 소상공인연합회 정책홍보본부장은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2019년 말 1.25%에서 현재 3.25%까지 인상돼 5대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만 연 4.93~8.11%에 달한다”며 “소상공인들은 이보다 높은 금리의 신용대출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다수라 금융비용을 경감할 수 있는 정부의 대책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소상공인 핵심 과제(중복응답)는 최저임금 제도 개선이 35.4%로 1위를 차지했다. 최저임금은 최근 5년간 40% 이상 급등해 소상공인 비용 증가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지적됐다. 이어 사회 안전망 구축 35.2%, 소상공인 인력 지원 방안 마련 34%,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지원 18.6%,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법 제정 11% 순으로 집계됐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