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로디지털산단 '수출의 여인상'은 가짜다 [우리 도시 에세이]
오랜 시간 삶의 ‘흔적’이 쌓인 작은 공간조직이 인접한 그것과 섞이면서 골목과 마을이 되고, 이들이 모이고 쌓여 도시 공동체가 된다. 수려하고 과시적인 곳보다는, 삶이 꿈틀거리는 골목이 더 아름답다 믿는다. 이런 흔적이 많은 도시를 더 좋아한다. 우리 도시 곳곳에 남겨진 삶의 흔적을 찾아보려 한다. 그곳에서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를 기쁘게 만나보려 한다. <편집자말>
[이영천 기자]
▲ 구로디지털산업단지 옛 구로공단 4거리. 휘황한 최신식 빌딩이 숲을 이뤄 뒤바뀐 산업구조의 상징처럼 서 있다. |
ⓒ 이영천 |
1964년부터 수출을 기치로 내걸고 조성된 공단은 당시로선 놀랄 만한 규모였다. 높은 굴뚝에 엉성하게 지어진 공장에서 기계처럼 일해야만 했던 노동자는 열악한 노동환경에 내몰린다. 비좁은 쪽방을 전전해야 하는 비참한 생활환경은, 도시의 다른 곳과 분절된 또 다른 공간을 연출하고 있었다.
이곳이 블랙홀처럼 모든 걸 빨아들이던 시절이 있었다. 그 흡입력은 노동, 자본, 꿈, 희망, 인권은 물론 알량한 자존심까지를 망라했다. 배타적 공간으로 내몰렸다. 노동자는 사람대접을 받지 못했고 혐오와 비하를 버무린 공순이 공돌이라는 이름을 가졌을 뿐이다. 누이와 형이었고 친구였는데도 말이다. 야근과 철야가 일상이고, 고된 노동 후 새벽 쓰린 가슴 위로 찬 소주 한잔 들이붓는 게 할 수 있는 유일한 위로였다.
디지털로 변태하지 않은 아날로그 흔적을, 그래서 더 찾고 싶었는지 모른다. 고단했으되 아련한 우리네 청춘의 한 페이지 같은.
벌집에 사는 공순이 공돌이
▲ 벌집 금천 순이의 집(구로공단 노동자 생활체험관) 지하에 재현된 한 벌집의 모습. 재현된 모습보다 실제는 훨씬 더 열악했다. |
ⓒ 이영천 |
가산디지털단지역 인근에 '금천 순이의 집'이라는 구로공단 노동자 생활체험관이 있다. 지하에 '쪽방'을 재현해 놓았지만, 온전히 그 시절을 다 보여주기엔 분명 한계가 있었다. 그러함에도 열악하기 그지없다.
당시 수십만 노동자 대다수가 여성이었고, 이 중 10대 중후반이 50~60%를 차지했다. 죄라면 가난이 죄였다. 농어촌에서 초등학교를 마치고 상경하여 이곳으로 흘러온다. 눈물을 흩뿌리며 기차에 몸을 실어야만 했다. 먹고살아야 한다는 당위성으로, 혹은 남동생 학비를 벌어야 한다거나 가족을 부양해야 한다는 의무감이었을 터다.
▲ 벌집 외관 좁은 공동 마당에 각 층으로 오르는 계단을 둔, 비좁은 칸으로 나뉘어 다닥다닥한 벌집의 외관. |
ⓒ 서울역사박물관 |
이곳에서 고된 몸을 뉘며 꿈을 꾼다. 세상을 이야기하고 노동법을 공부한다. 그래야만 끝없는 야근과 철야의 고단함을 조금이나마 덜 수 있었다. 한 달에 하루 쉬기도 힘든, 하루 12시간 이상의 살인적인 노동이다. 이 시간을 나누어 야간학교에 다닌 억척과 용기에 탄복할 따름이다. 벌집이나 닭장으로 부르던 비좁은 쪽방에서 꿈꾸던 젊은 청춘들이 있었다는 사실을, 그들이 지금 그대 어머니 아버지임을 기억해야 한다.
▲ 수출의 여인상 구로디지털산단 내에 있는 한국산업단지공단 앞 마당에 서 있는 수출의 여인상. 2023년 1월 현재 공사 중. |
ⓒ 구로구청 |
햇볕은커녕 환기도 제대로 되지 않는 먼지투성이 공장에서 하루 대부분을 보내야 했다. 들라크루아의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을 연상시키는 횃불 든 이 동상은, 그래서 가짜다. 당시 권력이 조장한 '산업역군'이라는 허상의 현시에 불과하다. 인간다운 삶을 살 권리를 주장하며 저항하는 여성 노동자가 이들의 참모습이다.
이곳을 거쳐 간 여성 노동자의 삶은 이후에도 별반 나아지지 않는다. 낮은 학력은 늘 삶을 옥죄는 형틀이었다. 나이 들어 건물청소부나 식당 등 비정규직을 전전하는 게 다반사다. 이들을 일컬어 '라보때(라면으로 보통 때우는) 인생'이라 부른 적도 있었다. 그러나 분명하게 기억해야 한다. 이들의 피땀으로 산업을 일궜고 경제가 고도화하였으며 이만큼 살게 된 바탕이었다는 사실을 말이다.
가리봉시장과 오거리
▲ 가리봉시장 언덕길 벌집 흔적이 여전한 가리봉동 골목. 언덕 아래로 가리봉시장이 보이고, 멀리 가산디지털산업단지가 아련하다. |
ⓒ 이영천 |
박노해는 시 '가리봉시장'에서 "돈이 생기면 제일 먼저 가리봉 시장을 찾아 / 친한 친구랑 떡 볶기 500원어치, 김밥 한 접시, / 기분 나면 살짝이 생맥주 한 잔이면 / 스테이크 잡수시는 사장님 배만큼 든든하"다며 애달픈 풍경을 그린다.
손발이 퉁퉁 붓도록 비싼 옷을 만들어도 노동자에겐 그저 구경거리일 뿐이다. 알량한 월급이라도 받으면 큰맘 먹고 원피스 한 벌 사겠다 다짐하는 게 할 수 있는 전부다.
"앞판 시다 명지는 이번 월급 타면 / 켄터키 치킨 한 접시 먹으면 소원이 없겠다 하고 / 마무리 때리는 정이는 2,800원짜리 / 이쁜 샌들 하나 보아둔 게 있다며 / 잔업 없는 날 시장 가자고 손을 꼽는다"며 가리봉시장이 나이 어린 여성 노동자들에게 어떤 공간이었는지를 말한다.
▲ 가리봉시장의 현재 시장통이 한산하다 못해 휑하다. 노동자들로 북새통을 이뤘다는 사실이 오래된 전설처럼 느껴진다. |
ⓒ 이영천 |
"허기지고 지친 / 우리 공돌이 공순이들이 / 싸구려 상품을 샘나게 찍어 두며 / 300원어치 순대 한 접시로 허기를 달래고 / 이리 기웃 저리 기웃 / 구경만 하다가 / 허탈하게 귀갓길로 / 발길을 돌린다"로 시를 끝맺는다. 명동을 방불했다는 가리봉시장은 지금 한산하다 못해 휑하다.
▲ 마리오 사거리 수출의 다리에서 바라 본 마리오 사거리. 1985년 구로동맹파업의 핵심공간으로, 너머가 가리봉 오거리다. |
ⓒ 이영천 |
상전벽해가 된 이 거리에서, 그날의 외침이 아직도 유효해 보이는 까닭은 무엇일까. 부품이거나 소모품 취급당하는 현재의 열악한 노동환경 탓일까. 최고 권력자의 노동에 대한 천박한 인식 탓일까?
굴뚝이 있던 자리
전통 제조업이 '굴뚝산업'이라면 토지 등 고정 자본재와 철도, 고속도로 등 사회간접자본에 얽매이지 않는 '풋루즈(Footloose)'는 통상 4차, 5차의 지식집약형산업을 일컫는다. 아날로그의 옛 굴뚝산업에서 풋루즈로 급격히 변모한 대표적인 도시공간이 서울디지털산업단지다. 업무와 도시형 공장이 빌딩 숲을 이뤘다. 진화하는 산업구조에 따라 도시공간이 따라 변화한 경우다.
▲ 가산디지털산업단지 수출의 다리에서 바라 본 가산디지털 산업단지. 공장이 사라진 공간이 상전벽해다. |
ⓒ 이영천 |
통상 기술의 발달이 철학과 인식의 변화를 추동한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굴뚝산업 당시 노동자에 대한 인식과 인권, 노동환경은 낙제점에 가까웠다. 디지털로 무장한 최첨단 산업이 노동자에 대한 인식과 인권, 노동환경의 개선을 뒷받침하고 있을까.
디지털산업단지 노동자들은 잔업과 야근, 철야 근무에서 과연 자유로울까.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갈라쳐 무수한 차별을 벌이고 있는 건 아닐까? 이 질문에 서울디지털산업단지는 물론 우리는 정녕 자유로운가? 옛 구로공단에서 1980년대 했던 질문을 다시 던져 본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위안부합의보다 더 큰 후폭풍, 윤 정권은 각오됐나
- 김만배 "우리가 빼앗아갈지 이재명이도 몰랐다"
- 윤 대통령의 뒤끝... 사표 낸 나경원 굳이 '해임'
- 이 맥주 한 잔이면 신에게 다가갈 수 있다
- "과제만 남긴 이태원 국정조사, '참사날' 의문점은 그대로"
- 나중에 유명한 작가, 이중에 있을지도 몰라요
- "CJ대한통운에 교섭 나오라는 법원, 하청 노동3권 보장한 것"
- 새해 첫 순방 떠나는 윤 대통령 "모든 일정, 경제에 초점"
- "국보법으로 고통 준 국정원·경찰·검찰, 사과 한마디 없었다"
- 핵심 윤핵관 장제원의 나경원 감별?... "친윤 위장한 반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