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40년 전 정치공작 당한 교회, 손해배상청구 나선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제일교회(정원진 목사)가 전두환 정권 시절 자행됐던 소위 '교회 파괴 공작 사건'에 대한 진실규명 결정을 바탕으로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준비 중이라고 10일 밝혔다.
정원진 서울제일교회 목사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늦어도 오는 3월엔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 소장을 낼 계획"이라며 "진실화해위 결정을 바탕으로 내는 소송인 만큼 승소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제일교회(정원진 목사)가 전두환 정권 시절 자행됐던 소위 ‘교회 파괴 공작 사건’에 대한 진실규명 결정을 바탕으로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준비 중이라고 10일 밝혔다. 이번 소송이 다른 피해 교회들의 소송에도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서울제일교회의 소송 배경은 ‘서울제일교회 탄압 사건’에 있다. 이 사건은 1983년 10월부터 이듬해 12월까지 국군보안사령부가 민주화운동에 적극 나섰던 박형규(1923~2016·당시 서울제일교회 담임) 목사와 교인들을 감금·폭행한 사건이다. 박 목사가 1982년 전두환 정권의 광주 학살을 세계교회협의회(WCC)에 알리는 등 민주화 운동을 전개하자 보안사는 예배방해 공작으로 맞대응했다.
보안사의 감금·폭행 탓에 박 목사와 교인들은 거리로 밀려났다. 이들은 6년간 서울 중부경찰서 앞에서 노상 예배를 드리며 ‘길 위의 신앙’을 이어 갔다. 경찰서 앞에서 예배드리면 최소한 맞아 죽진 않겠다는 판단에서였다. 6년간의 노상 예배 이후에는 서울 종로5가에 있는 한국기독교회관에서 5년 동안 예배를 드리는 등 교회를 되찾기까지 이들은 10년을 버텨야 했다.
서울제일교회 탄압에 대해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위원장 김광동·진실화해위)는 지난해 11월 진실규명 결정 통지서를 통해 “국가가 나서 종교계 민주화운동을 막기 위한 공작에 대해 사과하고, 박형규 목사를 비롯한 교인들에 대한 피해와 명예를 회복시켜야 한다”고 권고했다. 하지만 국가 차원의 피해 보상과 명예 회복 노력은 아직 요원한 상태다.
서울제일교회 관계자들은 직접 행동에 나섰다. 정원진 서울제일교회 목사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늦어도 오는 3월엔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 소장을 낼 계획”이라며 “진실화해위 결정을 바탕으로 내는 소송인 만큼 승소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밝혔다. 정 목사는 또 “국가 권력으로부터 서울제일교회가 탄압받은 지 40년이 지났지만 국가 권력은 언제든 교회를 파고들 수 있다”며 “재발 방지를 위해 교계 차원에서 힘을 모아 부당한 간섭에 대응할 예방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 목사는 교계 차원의 관심도 요청했다. 그는 “서울제일교회 말고도 공작 피해를 보았던 교회가 많다”며 “국가권력에 휘둘려 입었던 피해를 보상받는 일에 기도로 힘을 보태 달라. 서울제일교회의 손해배상청구 소송 승소는 피해 보상의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현성 인턴기자 jonggyo@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외국 국적 목회자 부임 막는 교단 헌법부터 폐기를 - 더미션
- 40년 전 정치공작 당한 교회, 손해배상청구 나선다 - 더미션
- 코로나·전쟁·기후 위기 틈타… 사이비 종말론 활개 - 더미션
- 어머니 목소리로 듣는 세상에 단 하나뿐인 성경 - 더미션
- “크리스천은 천국 향한 순례자” 성도를 탑승객처럼 섬기다 - 더미션
- [박종순 목사의 신앙상담] 기르고 있는 반려견에 축복기도 해도 되나 - 더미션
- [미션 얼라이브] “말씀에 귀 기울이자 사랑만 하며 살자” - 더미션
- 생방송으로 미국인 감동시킨 한국 목회자의 기도 - 더미션
- 셀린 송 감독 “‘기생충’ 덕분에 한국적 영화 전세계에 받아들여져”
- “태아 살리는 일은 모두의 몫, 생명 존중 문화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