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건강 관리가 중요한 이유 [한의사와 함께 떠나는 옛그림 여행]
한의사로 일하면서 우리 조상들이 남긴 다양한 옛그림과 한의학과의 연관성을 들여다봅니다. 우리 민족의 역사와 함께해 온 문화와 생활, 건강 정보를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편집자말>
[윤소정 기자]
2023년 들어서는 그리 춥지 않은 날이 계속되고 있다. 불과 몇 주 전인 작년 12월, 영하 10도까지 떨어졌던 추위에 비하면 말이다.
▲ 사계산수도 김유성, 18세기, 종이에 담채, 42.1x29.1cm |
ⓒ 국립중앙박물관 |
옛그림에서 겨울을 표현할 때는, 눈 내리는 풍경 등 산수화에 담을 때가 많았다. 위 작품은 김유성(1725~?)의 사계산수도 중 겨울을 그린 것이다.
▲ 풍속도8첩병 김홍도, 18세기, 비단에 옅은 채색, 100x49cm, 파리 기메 국립 아시아 미술관 소장 |
ⓒ 공유마당(CC BY) |
김홍도의 풍속도8첩병풍 중 겨울을 배경으로 한 그림 2첩이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한 김홍도의 <행려풍속도병>과 유사한 화풍으로, 그보다는 채색이 화려한 것이 특징이다.
<풍속도8첩병>은 김홍도의 풍속화 중 가장 작품성이 뛰어나다고 하는 평이 있는 반면, 양식적 특징상 김홍도의 작품이 아닌 그의 그림을 모사한 19세기의 그림이라고도 한다. 이는 프랑스 기메박물관에 소장된 작품으로, 인류학자였던 프랑스인 루이 마랭이 1901년 서울에서 구입한 것을 후에 파리의 국립박물관에 기증한 것이다.
왼쪽의 <설후야연>은 첫 번째 폭으로, 눈이 온 겨울밤에 벌어지는 연회의 모습이다. 화롯불을 가운데 두고 선비와 기생들이 함께 구운 고기와 함께 술을 마신다 하여, <고기굽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하늘에는 보름달이 둥실 떠 있고, 눈이 소복이 쌓인 소나무 아래에는 돗자리를 깔고 사람들이 모여 앉아 있다. 추운 날씨에 노출된 머리를 가리기 위한 방한모를 쓴 선비들도 있다.
오른쪽의 <설중행사>는 겨울 길거리에서 선비와 기생들이 만난 모습을 중심으로 이들을 지켜보는 사람들을 그리고 있다. 이 작품은 <기녀와 만남>이라고도 불린다.
▲ 설죽숙조도 심사정, 비단에 담채, 25x17.7 cm |
ⓒ 공유마당(CC BY) |
눈 쌓인 대나무 가지 위에서 졸고 있는 새를 그린, 현재 심사정의 작품이다. 날개 죽지에 머리를 파묻은 채 잠을 청한 작은 새가 안쓰럽다. 같은 눈 오는 풍경을 배경으로 한 그림인데도, <설후야연>의 분위기가 풍족하고 낭만적이라면 <설죽숙조도>는 고단하고 무기력하게 느껴진다.
겨울에는 상한에 걸린다
동의보감 <잡병편>에는 구토, 기침, 부종, 황달 등 다양한 질병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풍(風) 한(寒) 서(暑) 습(濕) 조(操) 화(火)의 병을 일으키는 6가지 원인(사기;邪氣)을 설명한다.
이 중 한(추위)는 겨울과 관련이 깊다. 동위상한(冬爲傷寒)이라 하여 겨울에 인체는 찬 기운에 손상을 받으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상강 이후부터 춘분 이전까지 찬 이슬이나 서리를 맞으면 한사(寒邪)가 몸에 침범하여 병이 생기는데, 이를 상한(傷寒)이라고 한다. 상강은 서리가 내리는 시기로, 2022년에는 10월 23일이었다. 2023년 춘분은 3월 21일이다.
한사는 음사(陰邪)에 속하며 양기(陽氣)를 쉽게 상하게 한다. 음과 양의 관점으로 보면 봄 여름 즉 따뜻하고 더운 기운은 양(陽)에 속하고, 가을 겨울 즉 서늘하고 찬 기운은 음(陰)에 속한다. 그렇기 때문에 차가운 한사는 음의 속성을 가진 사기(邪氣)인 음사이다.
인체가 추위를 막는 방한, 주위의 온도에 관계없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보온 능력이 약해지게 되면 한사가 쉽게 침습한다. 한사가 인체의 외부를 침범하여 공격하면 양의 기운이 허해져서 몸이 춥고 떨리는 오한(惡寒)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한사는 응결하고 저체되어 잘 움직이지 않는다. 이로 인해 우리 몸의 기혈의 활동과 소통을 방해한다. 또한 한사는 수축하고 당기는 성질을 가져, 통증의 원인이 된다.
봄 날씨는 따뜻하고 여름은 덥고 가을은 서늘하며 겨울은 찬데 이는 사철의 정상 날씨이다. 사철 날씨에 상하면 병이 생기는데 그 가운데서 상한의 병독(病毒)이 제일 심하다. 한사가 침범하여 바로 병이 생긴 것을 상한이라 한다.
한사가 침범했으나 그 즉시에 앓지 않고 잠복하면 봄에는 온병(溫病)이 되고 여름에는 서병(暑病)으로 변한다. 그렇기 때문에 일년을 건강하게 보내기 위해서는 겨울철 건강관리가 특히 중요하다.
동의보감에서는 이에 대해 아래와 같은 방법을 제시한다.
- 겨울 3개월은 닫고 갈무리하는 계절이다. 겨울철에는 음기가 왕성하여 양기를 땅 속으로 감추어 저장한다. 양기(陽氣)를 요동시키지 말아라.
- 겨울철은 날씨가 몹시 차므로 세상 만물이 깊이 숨으니, 몸을 잘 감싼다면 한사에 상하지 않을 것이다.
- 일찍 자고 늦게 일어난다.
- 마음을 숨긴 듯 밖으로 드러내지 말고, 무언가 귀한 것을 얻은 것처럼 하라.
- 추운 데를 피하고 몸을 따뜻하게 한다. 다만, 땀은 나지 않게 하여 기를 빼앗기지 않도록 한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윤소정 시민기자의 개인 브런치 https://brunch.co.kr/@nurilton7 에도 실립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TV조선 점수 깎은 게 범죄? 학자 자존심 산산조각"
- 이미 교과서에 있는데... "대통령이 별나라에서 온 분 같다"
- [영상] '정의' 새겼던 육아일기... 아들 잃은 엄마, 대통령에 묻다
- 목공소 사장님의 '특별 장학금', 이런 사연이 있었다니
- 동백꽃 명소라고 해서 가보니... 솔직히 부끄럽습니다
- 송언석 "이재명 잡혀가면 국힘 지지율 10% 올라"
- [사진으로 보는 일주일] 무속에는 무속으로? 대통령실 인근에 등장한 부적
- "일본, G7 정상회의에 윤 대통령 초청 검토…징용 문제가 관건"
- 김병주의 개탄 "서울 지도만 봐도 의구심 드는데 색깔 공세라니"
- '참사 당시 놀지 않았다' 이상민, 직접 건 전화는 단 1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