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국고보조금’ 국제금융센터, 5500만원 상품권 잔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로부터 매년 약 20억원의 국고보조금을 지원받는 국제금융센터가 체육대회 경품 명목으로 직원 1인 당 100만원어치 상품권을 제공했다가 감사에서 지적을 받았다.
국제금융센터는 기획재정부의 감독을 받는 기관으로, 기재부 출신 관료들이 원장을 맡아 왔다.
이를 고려하면 매년 직원 1인당 50만원씩 2년간 총 100만원의 상품권이 지급된 셈이다.
국제금융센터 관계자는 "상품권과 선물 비용은 회계 분류 상 국고보조금이 아닌 한은 지원금 등에서 지출했다"고 해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로부터 매년 약 20억원의 국고보조금을 지원받는 국제금융센터가 체육대회 경품 명목으로 직원 1인 당 100만원어치 상품권을 제공했다가 감사에서 지적을 받았다. 국제금융센터는 기획재정부의 감독을 받는 기관으로, 기재부 출신 관료들이 원장을 맡아 왔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4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국고보조금 관리체계 전면 개편과 회계 감사 확대를 예고했다. 그러나 정작 기재부가 관리하는 기관에서 세금 낭비 행태가 발견되면서 등잔 밑이 어둡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국제금융센터는 외환시장에 대한 상시 감시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국고보조금과 한국은행으로부터 받는 지원금 등을 바탕으로 운영된다. 정부는 지난해 센터에 국고보조금 21억원을 지원했다.
국민일보가 입수한 기재부의 ‘국제금융센터 종합감사 보고서’에 따르면 방만 예산이 문제로 지적됐다. 센터는 2020년과 2021년 체육대회 명목으로 각각 3046만원과 3197만원을 썼다. 이 가운데 직원 지급용 상품권을 구입하는 데 2700만원과 2750만원을 지출했다. 지난해 3월 기준 센터 직원은 51명이었다. 이를 고려하면 매년 직원 1인당 50만원씩 2년간 총 100만원의 상품권이 지급된 셈이다. 기재부는 감사 보고서에서 “전체 체육행사비 중 현금성 상품권의 집행 비중이 2020년 88.6%, 2021년 86%에 달해 과도한 측면이 있다”며 권고 조치를 내렸다.
센터의 ‘깜깜이’ 선물 관행도 지적을 받았다. 센터는 2020년부터 2년간 설과 추석 명절에 484명의 유관기관 인사에게 5101만원 어치의 선물을 보냈다. 그러나 센터는 예산 품의서에 선물을 받는 상대방의 소속 및 성명 등을 기재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센터가 2021년 당시 원장의 ‘창조도시부동산융합 최고위과정’ 제7기 등록금 850만원을 센터 예산으로 지원한 점도 논란이 됐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공적 목표가 아닌 사적 이익을 위해 국가보조금(국고보조금)을 취하는 행태가 있다면 묵과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추 부총리의 국고보조금 관리 강화 발언도 일련의 흐름과 무관하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국제금융센터의 방만 경영 행태가 드러나면서 기재부가 내부 단속부터 해야 한다는 비판이 뒤따르고 있다. 국제금융센터 관계자는 “상품권과 선물 비용은 회계 분류 상 국고보조금이 아닌 한은 지원금 등에서 지출했다”고 해명했다.
세종=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경찰 “컨설팅업체가 ‘빌라왕’ 배후세력…공범으로 입건”
- 野 “국회, 尹·김건희 풍자작품 철거…표현의 자유 짓밟아”
- 스무 살에 IS합류 美여성 “감옥 가더라도 고향 가고파”
- ‘축구장 41개 규모’ 고양 땅 외국인에 팔렸다…中 1위
- “그냥 사세요? 화난다” 원희룡, 부실 임대아파트 발끈
- 힘껏 밀자 실내바이킹 ‘전복’… 4살 두개골 골절 [영상]
- 숨막히는 한국… 미세먼지·황사 범벅, 한반도에 갇혔다
- “휴무일 새벽 가게 앞서 넘어진 행인이”… 사장님의 호소
- 무단횡단 20대 3번 치어 숨져…법원, 운전자 모두 무죄
- 女배구 세자르 감독,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책 공유해 눈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