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아이스댄스는 국가대표가 없다…임해나-예콴 ‘대표 인정받고 싶어’

이은경 2023. 1. 4. 11:3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태릉빙상장에서 훈련하고 있는 임해나-예콴.    정시종 기자

피겨스케이팅 아이스댄스의 임해나(19)-예콴(22)은 2022~23시즌 국제빙상연맹(ISU)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에서 한국 대표로 뛰어난 성적을 거뒀다.  

이들은 두 차례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에 참가해 금메달, 은메달을 따냈다. 지난달 12월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한국 아이스댄스 역사상 그랑프리 시리즈와 파이널 입상은 이들이 최초다.  

그런데 임해나와 예콴은 국가대표가 아니다. 대한빙상경기연맹(이하 빙상연맹)이 지난해 11월 3일 홈페이지 공지사항으로 알린 2023~24시즌 대표 선발기준 공시를 보면 아이스댄스 대표는 ‘0명’으로 표시돼 있다. 현재 빙상연맹이 피겨 국가대표로 등록한 선수는 남자 싱글 4명, 여자 싱글 8명 등 12명이 전부다. 이는 2022~23시즌 대표 선발 공시 때도 마찬가지였다.  

지난해 11월 공지된 대한빙상경기연맹의 피겨스케이팅 국가대표 선발 기준 공시. 페어와 아이스댄스는 해당 TO가 '0명'으로 아예 없다.     사진=대한빙상경기연맹 국가대표 및 우수선수 선발기준 문서 캡처

임해나-예콴의 한국 코치진 중 한명인 김완 코치는 지난 2일 훈련장에서 만나 “임해나-예콴이 국제대회에는 한국팀으로 나가지만, 공식적으로는 한국 대표가 아니다. 국가대표 자격증명서도 뗄 수가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빙상연맹은 이들의 모호한 상황에 대해 ‘국가대표’의 개념이 다르기 때문에 생긴 것이라고 설명했다.   

빙상연맹 관계자는 “공지에 올라간 국가대표는 대한체육회의 승인과 지원을 받아 진행되는 강화훈련에 참여하는 선수들을 뜻한다. 임해나-예콴은 강화훈련을 하지 않을 뿐이다. 이미 빙상연맹에 선수등록이 되어 있고, 그동안 ISU(국제빙상연맹) 대회에는 (항공권 등) 연맹의 지원을 받아서 한국 대표로서 파견된 것”이라고 했다.  

국제빙상연맹(ISU)이 주관하는 대회에서 아이스댄스에 출전하는 팀은 선수 두 명 중 한 명의 국적으로 팀을 꾸릴 수 있다. 캐나다 교포 임해나가 한국과 캐나다 이중국적자라서 한국팀으로 출전이 가능하다. 예콴은 중국계 캐나다인이다.  

임해나와 예콴은 2026 밀라노-코르티나 담페초 동계올림픽 출전이 목표다. ISU 대회와 달리 IOC(국제올림픽위원회)가 주관하는 올림픽은 아이스댄스팀의 두 선수가 국적이 같아야 한다. 예콴은 특별귀화를 통해 태극마크를 달고 싶어한다. 

지금까지 스포츠에서 특별귀화를 통해 한국 대표가 된 선수들은 대표팀 감독의 강력한 요청 혹은 해당 연맹(협회)의 적극적인 관심이 먼저 있었고, 그 뒤에 귀화 절차를 진행했다. 연맹의 추천서를 문화체육관광부에 제출하는 과정으로 특별귀화가 진행된다.  

임해나-예콴 측은 아직 빙상연맹을 통해 특별귀화에 대한 구체적인 이야기를 듣지 못해 초조해한다. 예콴의 특별귀화에 관해 묻자 빙상연맹 실무자는 “예콴 선수가 직접 특별귀화를 요청한 적이 없다”고 답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선수 의사가 중요한데, 아직 의사를 100% 확인하지 못했다. 직접 만나 이야기한 적도 있다. 연맹도 관심을 갖고 있다”고 했다.  

예콴(왼쪽)과 임해나.    정시종 기자

반면 임해나 측은 “빙상연맹과의 면담은 2021년에 우리가 먼저 요청해서 한 것이다. 그 이후로 어떤 구체적인 말도 들은 게 없다”며 “개인 자격으로 특별귀화를 신청하고 싶어서 알아보고 있다. 한국 대표로 국제대회 성적을 냈다는 걸 서류로 증명하고 싶은데, 국가대표 자격증명을 신청해도 대표 자격이 없다며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또 “연맹에서는 임해나-예콴이 해외에 있기 때문에 강화훈련 대상자가 아니라서 국가대표 선발 공지 대상에서 빠진 것이라고 설명한다. 그러나 싱글 선수들도 일부 해외에서 훈련하는 선수가 있는데 우리가 안되는 이유는 뭔지 궁금하다. 체육회 규정상 대표가 되기 위해 한국 국적이 필요하다면 특별귀화 절차를 빨리 진행할 용의도 있다”고 항변했다.  

빙상연맹이 피겨의 대표 선수 TO(편성 인원)를 작게 설정해 놓은 것도 의문이 생기는 부분이다.  

한국 피겨는 김연아의 2010 밴쿠버 올림픽 금메달 이후 천천히 저변을 넓히고 발전해가고 있다. 남녀 싱글 외에도 페어, 아이스댄스, 단체전까지 전종목에 참가한다는 건 피겨 강국을 증명하는 것과 같은데도 굳이 페어와 아이스댄스는 ‘대표 선수 0명’이라고 못 박아둔 건 스스로 발전을 막겠다는 뜻이다.  

임해나-예콴 조의 호성적으로 다음 시즌 주니어 그랑프리의 한국 아이스댄스 참가 티켓이 늘어날 것이 확실시되는 등 아이스댄스가 점차 가능성을 보이는데도 TO는 막혀 있다.  

이에 대해 빙상연맹 실무자는 “싱글에서는 몇백 명의 선수가 경쟁해서 12명만 뽑히는데 저변이 얇은 페어와 아이스댄스는 한두 팀이 경쟁해서 대표를 선발하면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답했다.  

또 “페어와 아이스댄스는 팀이 깨지는 경우가 많아서 위험성도 있다. 좀 더 지켜봐야 하지 않나 싶다”고 했다. 충분히 납득하기는 어려운 설명이다. 그는 이어 “피겨 국가대표 TO를 (아이스댄스와 페어까지) 늘리는 부분은 결정권을 가진 분들이 나서야 하는 상황이다. 그 부분에 대한 계획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빙상연맹은 과거 쇼트트랙에서 안현수, 임효준 등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들이 외국으로 귀화해버리는 ‘인재 유출’을 경험했다. 그러나 반대로 빙상연맹의 투자가 전혀 없이 해외에서 성장한 선수들이 ‘한국 대표가 되고 싶다’고 하는데, 빙상연맹은 시원한 해답을 주지 않고 있다.  

이은경 기자

Copyright © 일간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