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시평] 물가 잡힐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 시대, 막을 내릴까? 2022년 세계 경제의 숙제는 물가였다.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월 9.1%를, 영국은 9월 10.1%를, 유로존은 10월 10.6%를 기록하는 등 각국은 41년 만에 최고치의 고물가를 경험했다.
한국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정점을 이미 통과한 모습이고, 미국도 9.1%에서 7.1%로 하향 안정화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 2%라는 목표물가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떨어진 것은 아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 시대, 막을 내릴까? 2022년 세계 경제의 숙제는 물가였다.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월 9.1%를, 영국은 9월 10.1%를, 유로존은 10월 10.6%를 기록하는 등 각국은 41년 만에 최고치의 고물가를 경험했다. 한국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7월 6.3%를 기록하며 외환위기 이후 24년 만의 최고치에 이르렀다. 이례적 고물가는 이례적 고금리 시대를 이끌었고, 고환율이라는 숙제도 마치 세트메뉴처럼 딸려왔다. 2022년 경제를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의 복합위기 시대라 칭하지만 사실 모든 게 물가 때문이었다.
물가 잡힐까? 2023년 경제도 물가에 달려 있다. 물가가 잡히는지, 언제 잡히는지, 얼마나 빨리 잡히는지가 2023년을 결정짓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필자는 ‘그레이트 리세션 2023년 경제전망’을 통해 2023년 본격적인 경기 침체가 시작될 것을 강조했다. 물가가 잡히는지 아닌지에 따라 금리 인상의 정도나 금리 인하 여부가 결정될 것이고, 또 이에 따라 경제주체의 심리가 급격히 전환되기 시작할 수 있다. 물가를 둘러싼 몇 가지 의문과 우려들에 관한 판단이 필요한 시점이다.
첫째는 ‘물가 정점론’이다. 한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해 7월 6.3%를 기록한 이후 12월 5.0%로 추세적 내림세를 보여 왔다. 소비자물가 선행지표 중 하나가 수입물가다. 소비재(완제품)뿐만 아니라 원자재나 부품을 수입해 가공, 유통, 소비에 이르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수입물가가 약 3개월 선행하는 경향성이 있다. 원자재 가격 및 환율이 다소 안정화하면서 수입물가 상승률도 지난해 5월에 이미 정점을 찍고 가파른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
둘째, 물가가 정점을 찍은 것은 맞지만 ‘물가 아직 안 잡혔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은 물가안정목표제하에 있다. 한국이나 미국 등 선진국들이 채택하고 있는 목표물가는 2%다. 한국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정점을 이미 통과한 모습이고, 미국도 9.1%에서 7.1%로 하향 안정화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 2%라는 목표물가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떨어진 것은 아니다. 2023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한국이 약 3.5%, 미국이 약 4% 수준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다. 현재 시점에 예상할 수 없는 어떤 변수가 등장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면, 2023년까지도 물가가 목표 수준으로 잡히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물가상승률’이 정점이지 ‘물가’가 정점인 것은 아니다. 물가상승률이 떨어지는 것과 물가가 떨어지는 것은 엄연히 다르다. 물건 가격이 100원→200원→300원으로 올랐다고 가정해 보자. 가격은 각각 100원씩 올랐지만, 상승률은 100%에서 50%로 떨어졌다. 즉 상승률이 떨어져도 가격은 같은 폭으로 올랐음을 이해해 볼 수 있다. 2023년 물가상승률이 다소 안정화하는 흐름을 보일 것은 맞겠지만, 소비자들은 2022년에 경험한 비싼 물건 가격보다 3.5% 정도 더 높은 물가를 경험하게 될 것이다.
2023년에는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을 집중해야 한다. 첫째, 고물가·고금리는 기업 신규 투자를 억누르는 환경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기 때문에 기업들의 사업 의지를 고취하는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 둘째, 공공요금 인상을 물가가 다소 안정화 되는 시점 이후로 연기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한파나 폭설과 같은 계절적 요인과 설 수요가 맞물려 식료품 물가가 급등할 우려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넷째, 고물가는 유독 저소득층의 삶의 질을 실추시킬 수 있으므로 재정정책의 초점이 취약계층을 보호하는 장치를 확충하는 데 맞춰져야 할 것이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족이 죽었는데 웬 격리야”…中, 공항 곳곳서 충돌
- 고체연료 발사체 2차 시험 성공…“2025년까지 소형위성 지구 저궤도에”
- “이기영 사진, 실물이랑 다르네”…‘신상털이’ 나선 네티즌들
- 노소영 “34년 결혼생활에 재산분할 1.2%…판결 수치”
- “비키니 그분은? 술자리 핵인싸?”…권성동 SNL서 진땀
- ‘워킹데드’ 출연 10대 배우…마약류 펜타닐 중독 사망
- ‘얘들이 뭔죄’… 이기영 반려동물 네마리, 안락사 위기
- 손흥민, 새해 첫경기 마스크 벗었다…부상후 처음 [포착]
- 文부부, 반려견 토리 안고 새해 일출 맞이
- 유가족 찾은 이재명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당연히 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