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많던 까치밥은 어디로 사라졌을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연일 동장군이 위세를 떨치고 있는 가운데 겨울철 우리나라를 찾은 새들이 먹이를 먹지 못해 죽어가는 경우가 왕왕 발생하고 있다.
이렇게 남겨진 감에는 다양한 새들이 와서 겨울철 배고픔을 달래고 있었다.
대규모 감나무밭은 이렇게 겨울철 어려운 새들에게 큰 도움을 주고 있다.
남은 겨울 새들은 또 어디에선가 먹이를 찾아 낼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글쓴이 : 이경호 대전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 감을 먹고 있는 직박구리 |
ⓒ 이경호 |
연일 동장군이 위세를 떨치고 있는 가운데 겨울철 우리나라를 찾은 새들이 먹이를 먹지 못해 죽어가는 경우가 왕왕 발생하고 있다. 사람에게도 힘든 계절이지만 새들에게도 힘든 계절이다.
먹이 주기는 겨울철 철새에 큰 도움이 된다. 까치밥(까치 따위의 날짐승이 먹으라고 따지 않고 몇 개 남겨 두는 감)도 새들에게는 매우 큰 도움이 된다. 자연을 생각하는 아름다운 모습이다. 유럽은 새들이 좋아하는 나무를 심고 쉼터와 물을 공급하는 인공 공원을 만들기도 한다. 이처럼 나라마다 겨울을 보내는 새들을 위해 남겨두는 문화가 있다.
▲ 감을 먹는 노랑지빠귀(좌) 개똥지빠귀(우) |
ⓒ 이경호 |
아쉬움을 감출 수 없다. 이러한 가운데 대전에 대규모로 감이 수확되지 않고 남겨진 곳을 찾았다. 대전 유성 탑립동에 감나무 10그루가 수확되지 않은 채 그대로 남아있다.
이렇게 남겨진 감에는 다양한 새들이 와서 겨울철 배고픔을 달래고 있었다. 처음 현장을 목격한 후 매주 현장을 찾았다. 직박구리, 개똥지빠귀, 노랑지빠귀, 박새, 노랑턱멧새, 까치, 물까치 등 다양한 새가 찾아와 감을 먹고 있었다.
특히 기후위기와 환경변화로 겨울철에도 월동하는 여름 철새인 찌르레기 27마리가 현장을 찾아 감을 먹고 있어 눈길을 끌었다.
먹을 것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겨울, 새들은 감나무로 풍요를 누리고 있었다. 대규모 감나무밭은 이렇게 겨울철 어려운 새들에게 큰 도움을 주고 있다.
▲ 감을 먹는 찌르레기 - 여름철새 였던 찌르레기가 겨울에도 남아 까치밥을 먹고 있다 |
ⓒ 이경호 |
▲ 먹이를 먹는 박새 |
ⓒ 이경호 |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일 외교 굴욕... 윤석열 정부 어디까지 갈 건가
- "그 성적이면 당연히 의·치대"... 수학덕후 괴롭히는 '집요한 조언'
- 직장 생활 15년 동안 이런 인수인계는 처음
- 이효리의 '캐나다 체크인', 두 번은 못 보겠습니다
- 2022년 윤석열 정부 잘한 정책은? "잘한 게 없다" 1위
- "법 앞에 힘 있는 자만..." 대통령 만난 이정미의 신년인사
- 쓰고 매운 귤 껍질이 지닌 의외의 중요한 기능
- "커피 주문할 용기 없어 몇 시간 서성", 이 말이 던지는 의미
- 유튜브서 부활한 김어준의 '뉴스공장', 구독자 벌써 31만
- 국힘, 신년회 불참 이재명에 "좀스럽다"...민주 "참석 불가 회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