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시비비]서울 속 中 비밀 경찰서, 진실 밝혀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대도심 한복판에서 중국이 비밀 경찰서를 운영해왔다는 폭로가 나온 지 벌써 수일이 지났다.
뉴욕, 서울 등 전 세계 주요 도시들에서 중국이 비승인 경찰서를 운영하며 해당국의 주권을 침해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 이는 묵과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서울의 비밀 경찰서로 지목된 중국 식당 역시 중국인에 의해서만 운영되고 있다는 것은 이용자들의 후기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백종민 기자] 서울 대도심 한복판에서 중국이 비밀 경찰서를 운영해왔다는 폭로가 나온 지 벌써 수일이 지났다. 뉴욕, 서울 등 전 세계 주요 도시들에서 중국이 비승인 경찰서를 운영하며 해당국의 주권을 침해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 이는 묵과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이번 폭로 후 전 세계 곳곳에서 비밀 경찰서로 지목된 곳들이 언론의 추적을 받았다. 비밀 경찰서는 중국 식당이나 편의점, 부동산 중개업소로 운영됐다는 보도가 이어졌다. 미국 내 유일한 거점으로 알려진 뉴욕의 비밀 경찰서 이웃들은 이곳의 정체를 듣고 깜짝 놀랐다고 한다. 왜 하필 뉴욕일까. 뉴욕 특파원 근무 시절 허드슨강변에 거대한 규모로 위치한 중국 총영사관 앞을 자주 지났다. 그곳에서는 수시로 집회가 열렸다. 당연히 반중 시위다. 최근에도 중국의 억압적인 코로나19 방역 대책을 비판하고 시진핑 주석의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가 이곳에서 열리곤 했다. 이런 상황을 중국도 잘 안다.
해외 언론 보도에 따르면 상당수의 비밀 경찰서가 코로나19 발발 후인 2020년 이후 운영을 시작했다. 당사자들은 부인 중이지만 이런 사실은 서울의 한 중국 식당이 중국 비밀 경찰 조직의 거점이라는 보도와 맞물린다. 이 식당 역시 코로나19 이후 개업했다. 중국 당국은 이들 시설이 해외 체류 중국인에게 운전 면허증 갱신 등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자원봉사자들에 의해 운영된다고 해명했지만, 납득하기 어렵다. 왜 식당에서 행정서비스를 하는가. 자원봉사자라면 중국의 행정업무에 기여할 수 있는가. 현지 채용 직원이 없다는 점도 이상하다. 서울의 비밀 경찰서로 지목된 중국 식당 역시 중국인에 의해서만 운영되고 있다는 것은 이용자들의 후기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중국이 시진핑 주석 집권 후 반체제 인사들의 귀국을 위한 ‘여우작전’을 벌이고 있다는 정황은 세계 곳곳에서 파악돼 왔다. 주로 경제 사범을 위주로 한 행보라는 게 중국 측 주장이지만 미국 당국은 이미 여우작전이 반체제 인사 송환을 담당했다는 혐의로 중국 검사를 기소하는 등 예의 주시해왔다. "우리는 (중국 비밀 경찰서의) 존재를 알고 있다. 중국이 뉴욕에 비밀 경찰서를 설치했다는 건 터무니 없는 일이다." 크리스토퍼 레이 미 연방수사국(FBI) 국장의 말이다. 레이 국장은 의회 증언에서 중국이 미국에 비승인 경찰서를 설치한 것을 파악했다고 공개적으로 발언했다.
과연 우리 정부는 정확한 상황을 파악하고 공개할 수 있을까. 여전히 외교부는 조심스러운 입장만 유지하고 있다. 지난 11월 발리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양국은 존중·호혜·공동이익에 입각해 관계를 발전시키자는 입장을 확인했다. 존중·호혜의 기반은 상호 신뢰다. 윤석열 대통령은 시진핑 주석의 방한까지 요청했다. 중국은 주한미군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시스템(THAAD) 설치 이후 자국의 이익을 침해했다고 보복하며 우리를 흔들었다. 반중 정서 확산 속에서도 정부가 한중 관계 해빙을 도모하던 상황에서 나온 비밀 경찰서 논란은 향후 한중 관계를 흔들 수 있는 충분한 파괴력이 있는 사안이다. 정부는 사실을 정확히 파악하고 국민에게 있는 그대로를 밝혀야 한다. 필요한 경우 중국의 사과도 받아야 한다. 어정쩡한 입장은 안 된다. 그것이 법치이고 주권 외교다.
백종민 기자 cinqange@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MZ칼럼]한강 작가도 받지 못한 저작권료와 저작권 문제 - 아시아경제
- '초가공식품' 패푸·탄산음료…애한테 이만큼 위험하다니 - 아시아경제
- '북한강 시신 유기' 현역 장교는 38세 양광준…머그샷 공개 - 아시아경제
- "수지 입간판만 봐도 눈물 펑펑"…수지 SNS에 댓글 남긴 여성이 공개한 사연 - 아시아경제
- 가수 벤 "아이 낳고 6개월만에 이혼 결심…거짓말에 신뢰 무너져" - 아시아경제
- "석유는 신의 선물이야"…기후대책 유엔회의서 찬물 끼얹은 사람 - 아시아경제
- 바이크로 수험생 바래다주던 송재림…"화이팅 보낸다" 격려도 - 아시아경제
- '이렇게 많은 돈이' 5만원권 '빽빽'…62만 유튜버에 3000억 뜯겼다 - 아시아경제
- "저거 사람 아냐?"…망망대해서 19시간 버틴 남성 살린 '이것' - 아시아경제
- 올해 지구 온도 1.54도↑…기후재앙 마지노선 뚫렸다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