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수목원, 식물 잎에 낙서 남기는 곤충의 정체 밝혀 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산림청 국립수목원이 식물 잎에 꼬불꼬불 흔적을 남기는 '굴나방류'의 정체를 알아냈다고 26일 밝혔다.
굴나방류는 주로 사과나무, 배나무, 귤나무 등 과실 수의 잎 속에서 내부조직을 갉아 먹으며 다양한 형태의 가해 흔적을 남김으로써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산림청 국립수목원이 식물 잎에 꼬불꼬불 흔적을 남기는 ‘굴나방류’의 정체를 알아냈다고 26일 밝혔다.
굴나방류(leaf-mining moth)는 날개 편 길이 20mm 이하의 작은 나방류로, 애벌레 시기에 식물에 굴을 파고 사는 생활사를 가진 미소 나방류를 통칭한다.
국립수목원 연구진은 우리 주변의 산이나 공원에서 식물잎에 꼬불꼬불하거나 물집처럼 보이는 다양한 형태의 흔적을 추적 연구해왔다.
연구진은 이러한 흔적을 남기는 범인이 잠엽성 곤충류인 ‘굴나방류’임을 밝혀냈다.
잠엽성이란 식물 잎 속에서 내부조직을 갉아먹고 사는 섭식 형태를 일컫는다.
굴나방류는 주로 사과나무, 배나무, 귤나무 등 과실 수의 잎 속에서 내부조직을 갉아 먹으며 다양한 형태의 가해 흔적을 남김으로써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과실수의 안정적인 생산성과 직결되는 만큼 이들의 방제를 위해서는 잎을 가해하는 굴나방의 종류 및 생태 특성을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한 국립수목원 연구진은 지난 3년간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했다.
그 결과 우리나라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종류인 꼬마굴나방과, 풀굴나방과 등을 직접 사육해 굴나방류의 먹이식물과 섭식 형태 등의 생활사를 밝혀냈다.
또 신종 후보 1종과 국내 미기록 13종을 찾아내는 성과를 거뒀다.
이 연구를 주도한 국립수목원 김일권 박사는 “이번 성과는 기초자료가 부족해 대처하지 못했던 과실 가해 나방류에 대한 종합적 조사를 시행한 것”이라며 “본 연구 결과는 산림, 정원, 공원, 가로수, 화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해충을 관리하는 데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