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지하철 요금 오르나...노인 무임승차 손실 지원금 '0원'

김민욱, 이수민 2022. 12. 25. 17:4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설특보가 내려진 21일 오전 지하철 7호선 군자역이 출근하는 시민들로 붐비고 있다. 뉴스1


65세 이상 지하철 무임승차로 인한 지방자치단체 손실분을 정부가 메워주는 방안이 무산됐다. 관련 예산이 한 푼도 편성되지 않으면서다. 도시철도 운영에 따른 손실액이 수천억원에 달하는 상황에서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의 지하철 요금인상 압박이 커지는 분위기다.


PSO예산 3585억원 '싹둑'


25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지자체 도시철도 몫 PSO(공익서비스에 따른 손실보전 지원) 예산 3585억원이 24일 본회의 처리 과정에서 전액 삭감됐다. PSO 예산은 65세 이상 노인과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의 무임승차 비용을 보전해주기 위한 예산이다. 앞서 지난달 국회 국토교통위원회가 지자체 몫을 더해 PSO 예산을 7564억원으로 증액시켰으나 본회의에선 정부가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손실을 보전해주려 편성한 3979억원만 통과됐다.

철도산업발전기본법상 철도와 같은 공익서비스는 국가가 손실을 보전해줄 수 있다. 무임승차는 1984년 정부가 도입한 제도다. 하지만 정부는 코레일과 달리 지자체 지하철의 경우 특정 지역 주민에게만 한정해 편익을 제공한다는 이유로 보전해줄 수 없단 입장을 보여왔다. 여기에 재정압박을 내세운 정부 논리가 통했다.

오세훈 서울시장. 연합뉴스

'2024 총선' 앞두고 올릴 수도


무임승차 손실액의 정부 보전이 물 건너 간 만큼 지자체로선 ‘2024 총선’ 전인 내년에 요금인상을 검토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국회 예산안 의결을 앞둔 지난 19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정부가 도와주지 않는 것으로 정리된다면 요금 인상을 고려할 수밖에 없는 처지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우선 무임승차에 따른 지자체 지하철 공사의 손실액이 만만치 않다. 2019년 한해 서울과 부산·인천·대전·대구·광주 등 6대 도시 지하철 무임승차에 따른 손실은 6300억원 규모다. 서울만 3710억원(59%)에 달했다. 서울의 경우 2020년 2643억원, 지난해 2784억원으로 여전히 손실액 규모가 상당하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무임승차 손실액 눈덩이


여기에 내년부터 ‘베이비붐 세대’인 1958년생이 무임승차 대상에 포함되면서 손실액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서울을 시작으로 지하철 운영 지자체가 잇따라 인상을 논의할 수 있다. 전국 6개 지하철 운영기관의 당기순손실 가운데 무임승차로 인한 손실이 차지하는 비중은 적게는 13%(인천)에서 많게는 56%(부산)수준이다.

그런데도 지하철 기본 요금은 저렴한 편이다. 서울의 경우 지하철 요금을 7년째 동결했다. 2015년 6월 1050원이던 기본요금을 1250원으로 올린 이후 한 번도 손대지 않았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기본요금이 수송원가(1988원)보다 오히려 낮다. 다른 지자체도 사정은 비슷하다고 한다.

다만 인상하려면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한다. 시민공청회, 시의회 의견 청취, 시 물가 대책위원회 심의, 교통카드 시스템 개편 등이 따른다. 보통 여기에만 6개월가량 소요된다.


공공요금 줄줄이 오르나


문제는 인상이 결정되면, 시내 버스 요금도 함께 오를 수 있단 점이다. 실제 2007년과 2012년, 2015년 지하철·버스 요금이 동반 인상된 적 있다. 정부가 내년에 전기·가스요금을 인상할 계획이라 일반 시민들이 느끼는 요금 부담은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당장 내년 2월부터 서울시 중형택시 기본요금이 3800원에서 4800원으로 오른다.

서울시 관계자는 “아직 대중교통 요금 인상 계획, 인상 폭 등 구체적으로 정해진 건 없다”고 말했다.

김민욱·이수민 기자 kim.minwook@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