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임영열 기자]
▲ 김광섭 시인의 시 <저녁에>에서 영감을 얻은 김환기 화백의 점화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1970) 코튼에 유채 292*216cm |
ⓒ 환기미술관 |
사람들은 시계와 달력을 만들어놓고 하루, 한 달, 일 년이라는 눈금을 그어가며 영속적으로 흐르는 시간을 인위적으로 매듭짓고 있다. 하기사 인간에게 시간의 매듭이 없다면 지나간 날들을 성찰하지도, 다가올 시간을 새롭게 맞이할 준비도 하지 않을 것이다.
또 한 해가 뉘엿뉘엿 서산으로 기우는 12월이다. 쫓고 쫓기며 지나온 시간의 편린들이 주마등처럼 스친다. 한 해를 마무리하는 세밑이 되면 누구에게나 심연에 묻어 두었던 회환과 함께 가슴에 사무치는 문장이나 시구(詩句) 하나쯤은 떠오를 것이다.
얼마 전 12월 초순. 태양과 지구, 달과 화성이 일직선으로 늘어서는 우주쇼가 펼쳐진다는 뉴스를 접하고 밤하늘을 쳐다봤던 적이 있다. 한참을 올려다봤지만 육안으로는 확인할 도리가 없었다. 다만 겨울 밤하늘에서 무수히 반짝거리는 수많은 별들 사이로 문득 시구절 하나가 내려왔다.
"너 하나 나 하나는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그저 별이 총총했던 겨울밤. 아득히 먼 우주로부터 읊조리 듯 들려오는 시의 마지막 구절은 차가운 겨울바람만큼이나 명징하게 뇌리에 각인되어 만물의 근원은 '생성과 소멸의 연속임'을 새삼 깨닫게 해 주었다.
고등학교 교과서에도 실렸던 <성북동비둘기>라는 시를 지은 김광섭 시인의 '저녁에'라는 시의 마지막 구절은 요즘 같은 연말이 되면 많은 사람들의 인구에 회자되는 명문장 중의 하나가 아닐까 싶다.
저렇게 많은 중에서
별 하나가 나를 내려다본다
이렇게 많은 사람 중에서
그 별 하나를 쳐다본다
(중략)
이렇게 정다운
너 하나 나 하나는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김광섭(1905∼1977) 시인의 시 '저녁에' 일부. 시집 <성북동비둘기>(1969)
▲ 한국 추상미술의 선구자 수화 김환기(1913~1974)화백 |
ⓒ 환기미술관 |
시인과 화가와 가수
일찍이 고대 그리스의 시인 시모니데스(BC 556~468)가 "시는 말하는 그림이며, 그림은 말없는 시다"라고 했듯이 김광섭 시인의 시 <저녁에>는 한국 추상미술의 선구자 수화(樹話) 김환기(1913~1974)의 붓끝을 통해 '말없는 시'로 재탄생한다.
시인 김광섭과 화가 김환기. 1960년대 서울 성북동에서 이웃사촌으로 살았다. 문학을 사랑했던 화가는 조병화 서정주 등 여러 시인들과 교유했다. 그중에서도 중동학교 선배이면서 8살 많은 김광섭 시인을 무척 존경하고 따랐다.
▲ 뉴욕 시절 김환기 화백과 부인 김향안 여사. 김향안 여사(본명 변동림)는 시인 이상의 아내였지만 시인 이상과 사별 후에 김환기와 재혼했으며 김환기 화백의 예술적 동반자였다. 환기미술관을 설립했다. |
ⓒ 환기미술관 |
"저렇게 많은 중에서/ 별 하나가 나를 내려다본다/ 이렇게 많은 사람 중에서/ 그 별 하나를 쳐다본다/ 별은 밝음 속에 사라지고/ 나는 어둠 속에 사라진다... " 슬픔에 빠진 화가는 서울의 시인 친구를 사무치게 그리워하며 붓을 들었다.
고국의 그리운 친구들, 고향 신안 안좌도의 푸른 바다, 수많은 인연의 고리들은 화가의 붓끝에서 무수히 많은 점들로 변주되며 심연의 우주와도 같은 '점화(點畫)'한 점으로 완성됐다. 그림 제목은 김광섭의 시 마지막 연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에서 따왔다. 김환기의 점화 시리즈는 이렇게 탄생했다.
▲ 2019년 크리스티 홍콩 경매에서 132억 원에 낙찰되며 한국 미술품 역사상 최고가 기록을 세운 김환기 화백의 점화 <우주>(1971) 코튼에 유채 각 254*127cm |
ⓒ 환기미술관 |
그런데 1970년에 죽은 줄 알았던 김광섭의 죽음은 오보였고 오히려 1974년 김환기 화백이 뉴욕에서 먼저 세상을 떠났다. 김광섭 시인은 그 후 3년이 지난 1977년 오랜 투병 끝에 서울에서 친구의 뒤를 이었다.
시인이 세상을 떠나고 3년이 지난 1980년 김광섭의 시 '저녁에'는 유시형과 유의형으로 구성된 형제 듀엣 '유심초'의 노래,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로 재탄생한다.
▲ 1980년 김광섭의 시 ‘저녁에’는 유시형과 유의형으로 구성된 형제 듀엣 ‘유심초’의 노래,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로 재탄생했다 |
ⓒ KBS |
또 한 해가 서서히 저물어 간다. 광대무변한 우주 속에서 셀 수조차 없는 무량한 경우의 수를 넘어 창백하게 푸른 '지구'라는 별에서 태어난 너와 나, 우리는 일생 동안 수많은 인연의 고리를 끼우며 살아간다.
끈끈한 혈육의 정으로 맺어진 가족, 친구, 학교 선후배, 직장 동료, 등등. 수많은 관계와 관계 속에서 만남과 이별을 겪으며 살아가는 너 하나 나 하나는 언제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게 될지 모른다. 서로에게 '생성'의 기운을 불어넣는 존재로 남아야 한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055년 30대는 국민연금에 등골 휜다? 중요한 게 빠졌다
- 기념관 있는데... 1000억 들여 박정희 숭모관 건립한다는 구미시
- 이재명 대표가 진짜 비판받아야 할 '침묵'
- 함께 울어주던 의원의 돌변... 이 나라를 다시 보게 됐습니다
- [박순찬의 장도리 카툰] 부부본색(夫婦本色)
- 윤석열 정부의 '둔촌주공 3종 선물세트', 위험천만하다
- 단체여행 점심시간, 아홉살 아이의 놀라운 행동
- '전범기업 배상 참여'... 매달리는 한국, 버티는 일본
- 9개월 넘도록 한 골, 이 공격수가 바라는 것
- 최대 뇌관 'PF 대책' 내놓은 금융위...부동산 경착륙 막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