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르신! 산삼을 잡수셨습니까?"

박도 2022. 12. 23. 17:2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청춘은 희망에 살고 백발은 추억에 산다"고 한다.

요즘 나는 백발을 지나 삭발로, 주로 지난 추억에 젖어 살고 있다.

오늘 강추위로 거실에서 지난 앨범을 들추다 보니 1970년 겨울 파주군 광탄면 발랑리 뒷산에서 땅굴 생활할 때 사진이 나왔다.

군 복무 시절, 나는 우리 대대 내 초급장교 가운데 동료들이 가장 부러워했던 파견대장 생활을 비교적 오랫동안 한 셈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박도의 치악산 일기] 제94화 : 항일유적 답사 뒷이야기

[박도 기자]

 영산강으로 호남의병들이 일본관헌에게 체포되면 이곳 나루에서 배로 대구감옥으로 호송됐다고 한다.
ⓒ 박도
"청춘은 희망에 살고 백발은 추억에 산다"고 한다. 요즘 나는 백발을 지나 삭발로, 주로 지난 추억에 젖어 살고 있다.

오늘 강추위로 거실에서 지난 앨범을 들추다 보니 1970년 겨울 파주군 광탄면 발랑리 뒷산에서 땅굴 생활할 때 사진이 나왔다. 문득 그 시절을 되돌리자 감개무량 했다. 군 복무 시절, 나는 우리 대대 내 초급장교 가운데 동료들이 가장 부러워했던 파견대장 생활을 비교적 오랫동안 한 셈이다. 평소 술을 습관적으로 마시지 않는다는 것을 상급 지휘관들이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곳 파주군(현 파주시) 광탄면 발랑리는 지난날 깊은 산중으로, 요즘과 같은 동지 철은 오전 9시 무렵에 해가 뜨면 오후 4시 경이면 해가 지는, 하루 15시간 이상은 밤이었다. 그때는 하루 종일 산야를 누비면서 노루처럼 뛰어다녀도 다리 아픈 줄 몰랐다.
 
  파주시 광탄면 발랑리 뒷산 땅굴 막사 앞에서(1970. 12.)
ⓒ 박도
후일 2009년 10월 26일, 안중근 의사 하얼빈 의거 100주년 기념일을 맞아 그분의 마지막 행적 150여 일을 곧이곧대로 답사했다. 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중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을 거쳐 다롄, 뤼순까지 거치는 대장정이었다.

그때 안중근 의사 마지막 여정인 다롄과 순국지 뤼순의 유적지를 이틀 동안 현지 안내인의 안내로 답사하는데, 둘째날은 뤼순 일대로 뤼순역, 뤼순 소재의 일본 관동지방법원, 안 의사가 순국한 뤼순 감옥, 사형수 무덤을 둘러 본 뒤, 마지막 답사로 러일전쟁의 최대 격전지 203고지로 갔다.

이틀 동안 강행군으로 지친 현지 젊은 안내원은 거기에서는 고지 아래에서 지형 설명으로 끝내려고 했다. 그래서 내가 그에게 말했다.

"여기서 쉬세요."

나는 그 말을 남긴 뒤 혼자 203고지로 올라갔다. 잠시 후 그가 헐떡이며 내 뒤를 따랐다.

"어르신! 산삼을 잡수셨습니까?"
"난 그런 것, 먹어본 적이 없소."
"평소 운동을 많이 하시는가 봅니다."
"나요? 보병 땅개 출신이오."
"어쩐지…."
 
 뤼순 203고지 정상에 전시된 러일전쟁 당시의 일본군 유탄포. 일본은 이 유탄포 화력 덕분에 러시아 203고지를 함락시킬 수 있었다고 한다.
ⓒ 박도
   
발로 뛰며 보낸 청년시절

나는 고교 4년 동안, 군복무 2년 4개월 동안, 해마다 워커(군화)를 한두 켤레 갈아 신을 정도로 서울 시내 골목 골목 길을, 광주보병학교 상무대를, 서부전선 산야를 누볐다.

늘그막에 시민기자로 중국 지린성 봉오동, 어랑촌, 청산리 전적지, 그리고 우리나라 호남의병 전적지도 거의 빠트리지 않고. 내 발길로 모조리 답사를 하면서 사진 찍고 그날 저녁에는 답사기를 쓰면서 십 수년을 보냈다.
 
 203고지에서 바라본 뤼순 항으로 천연요새의 지형이었다.
ⓒ 박도
안중근 답사기는 매우 어렵게 전 코스를 강행군하고, 2010년 3월 26일 안 의사 순국 100년째 날에 펴냈는데, 공교롭게도 그날 천안함 사건이 터졌다. 그러자 모든 게 묻혀 버렸다. 보통 사람은 시운을 잘 타고 나야 하는데, 나나 책을 펴낸 눈빛출판사나 억세게 재수가 없었다.

하지만 내가 다녔던 그 길은 이제는 그대로 다시 답사할 수 없는(그때의 열차 노선은 시대에 따라 승객 감소로 폐선됐기에) 역사의 뒤안길로 묻혀버렸다. 언젠가 새삼 내 항일 유적 답사기가 빛을 볼 날이 올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