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에 독일·폴란드도 갈린다…푸틴 노림수, 내년이 더 섬찟 [우크라이나 전쟁 10개월]
우크라이나 전쟁 10개월-무엇을 남겼나 ㊦
소비자물가 상승률 10%(유로존 11월 전년 대비), 내년 예상되는 유럽연합(EU) 경제성장률 0.3%.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직격탄을 맞아 만신창이가 된 유럽 경제의 현주소다. 경제 위기의 시작은 전쟁발 에너지 공급 충격이었지만, 이로 인해 수 년 간 곪아있던 유럽 내 문제가 터졌다.
━
뚜렷한 성장동력 없던 유럽 경제, 고물가ㆍ저성장 ‘쌍두괴물’ 철퇴
시작은 에너지발 인플레이션이었다. EU가 수입하는 천연가스의 40%를 쥐고 있는 러시아가 서방의 경제 제재에 대항해 에너지를 무기 삼아 가스 수출을 의도적으로 줄인 게 원인이었다. “유럽에 경제 위기를 촉발하고 정치적 분열을 노린 푸틴의 의도”(폴리티코)는 적중했다. 당장 쓸 에너지가 부족해진 것은 물론, 에너지ㆍ원자재 가격이 오르며 기업 비용이 증가해 투자는 줄어들었다.
반면 물가는 줄줄이 올랐다. 지난해 11월부터 상승세를 보이던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의 소비자물가는 전쟁 이후 더욱 가파르게 오르기 시작해 지난 10월, 상승률 10.6%를 기록했다. 1997년 집계 이후 최고치였다. 이코노미스트는 “석유생산국들이 딱히 증산할 생각이 없기에 에너지 가격은 계속 비쌀 것”이라며 “내년 인플레이션은 많은 사람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높은 수준일 것이다”고 진단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뚜렷한 성장동력이 없던 유럽의 문제가 여실히 드러났다. 이코노미스트는 그렇지 않아도 “고령화와 늘어날 대로 늘어난 복지 비용이 유럽 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는데, 에너지 위기로 보조금이 더욱 늘어 상황이 더욱 심각해졌다”고 분석했다. EU 특유의 복잡한 규제로 신생 산업의 성장이 쉽지 않았단 자성도 나온다. 올해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몇 년간 억눌려 있던 소비심리가 폭발해 경제를 부양했지만, 내년에는 그런 요인마저 보이지 않는다.
유럽 경제를 이끄는 산업 대부분이 에너지 집약도가 높단 점도 문제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철강ㆍ금속ㆍ화학ㆍ식품 가공 산업 등이 모두 큰 영향을 받았다”며 “지금까진 보조금으로 겨우 버텼지만 공장을 폐쇄하거나 생산량을 줄이는 곳들이 늘고 있다”고 보도했다. 관련 산업이 발달한 독일의 출혈은 상당하다는 것이 FT의 설명이다. 이런 여러 이유로 경기침체까지 덮쳐 1970년대 마지막으로 등장했던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와 물가상승이 동시에 옴)’이 현실화하고 있단 보도가 쏟아진다.
유럽 내부 분열 더욱 심화하고, 글로벌 경기도 도움 안 돼
그 단면을 엿볼 수 있는 장면이 지난 15일에 있었다. EU 정상들이 ‘9차 러시아 제재안’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폴란드와 발트 3국은 더 강력한 조치를 원한 반면 독일 등 서유럽은 꺼렸다. 러시아와 가까운 동유럽에는 ‘안보’가, 러시아산 가스 의존도가 높은 독일 등에는 ‘경제’가 더 중요해서다. 이번 달 초 러시아산 원유 가격 상한가를 정할 당시에도 비슷한 갈등 구도가 있었다. 19일에는 가스 가격 상한제 도입에 합의했지만, 회원국 간 견해차가 커 ‘부작용이 발생할 경우 상한을 즉각 해제한다’는 단서를 달았다. 물가를 잡기 위한 고금리 기조에 대한 생각도 각기 다르다.
갈등의 층위는 다양하지만 특히 ‘맏형’ 독일에 대한 경계심이 높다. 전쟁으로 인한 경제적 타격을 심하게 받은 독일은 에너지 보조금을 대대적으로 풀며 ‘단일 시장을 훼손하지 마라’는 지적을 받았다. 독일은 2017년 이후 최대 경제적 파트너로 부상한 중국을 놓칠 수 없단 의지로 다가서고 있지만, 다른 국가들은 시진핑 주석의 독재에 명분만 준다고 비난한다. “유럽을 희생시키며 자신의 이익만 추구한다”(아메리칸 프로스펙트)는 비판이다.
이런 분열 속에서 글로벌 경제 역시 유럽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코노미스트는 “에너지 위기와 고금리, 달러 강세로 전 세계적으로 성장 둔화가 전망된다”며 “에너지 가격이 하락하고 미국의 물가가 잡혀야 글로벌 성장이 유럽의 회복을 뒷받침할 텐데 2023년에 이를 기대하긴 무리수”라고 보도했다. 설상가상, 미국과는 자국 전기차 혜택을 주며 보호무역주의 논란을 부른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으로 갈등을 빚는 중이다.
‘에너지 위기’ 급한 불 꺼야 하지만 단기간 극복 어려워
가장 먼저 꺼야 할 불은 역시 ‘에너지 위기’다. EU는 러시아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원자력ㆍ친환경 에너지 등의 활용을 늘리고 수입처를 다각화하겠단 계획이다. 관련 인프라도 빠르게 구축 중이다. 그러나 전쟁발 에너지 위기가 2026년까진 갈 것이란 전망(블룸버그통신) 속에서 단기간에 되는 일이 아니다. 석탄발전소 가동을 늘려야 한단 의견에도 힘이 실리고 있어, 장기적으론 ‘탈원전ㆍ친환경’ 딜레마에 처할 위험도 크다.
임주리 기자 ohmaju@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썩은 좀비도, 웃는 꽃도 그의 작품…이 작가가 털어놓은 개인사 | 중앙일보
- 해인사 '파계 스캔들' 뒤엔…절집 담 넘은 종단 권력 싸움 | 중앙일보
- 아침 9시 만취운전 참극…채소 팔던 할머니 덮친 40대 징역 3년 | 중앙일보
- '이재명' 뛰어넘은 '난방비' 쇼크…여성들 검색량 2배 더 많았다 | 중앙일보
- 조국 사태도 이들 촉에서 시작…여의도 저격수 뒤 2700명 정체 | 중앙일보
- "없애니 혁신 터졌다" 삼프로TV·오아시스, 혹한기에 IPO 비결 | 중앙일보
- "앗 여기가 김태리 울며 뛰던 곳"…외국인 홀린 'K드라마 명소' | 중앙일보
- 공무원들 내년 총선까지 일 안하고 논다? 냉소 부른 그 사건 [장세정의 시선] | 중앙일보
- [단독] 국민연금 보험료율 9%→15% 합의, 소득보장서 갈렸다 | 중앙일보
- "영어 대신 아랍어"…배울 엄두도 못 냈던 이 언어가 뜨는 이유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