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혼부부 10쌍 중 4쌍은 자가 주택에 거주…집값은 연봉의 7배

진욱 매경이코노미 인턴기자(economy03@mk.co.kr) 2022. 12. 21. 18:5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토연구원 2021년 주거 실태 조사 결과
신혼부부 절반은 주택 구입자금 대출 지원 원해
서울의 아파트 (출처=연합뉴스)
자가에 거주하는 신혼부부가 전체의 40%를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대부분이 아파트에 살고 있으며 주택 가격은 연소득의 약 7배 수준이다.

21일 국토교통부는 국토연구원의 2021년도 주거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총 5만1000가구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조사 결과 혼인한 지 7년 이하인 신혼부부 가구의 경우, 43.9%가 자가에 거주하고 있으며 53%는 임차, 3.1%는 무상 거주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주택 유형은 아파트가 72.5%로 가장 많았고 단독주택(12.7%)과 다세대주택(9.7%)이 뒤를 이었다.

전국 신혼부부 자가 가구의 연소득 대비 주택 가격 배수(이하 PIR)는 6.9배로 전년(5.6배)보다 증가했다. 전국 임차 가구의 월소득 대비 월 임대료 비율(이하 RIR)은 18.9%로 전년 대비 0.4%포인트 소폭 상승했다.

신혼부부 가구 중 ‘사람답게 살 수 있는 최소한의 주거 조건’을 뜻하는 ‘최저 주거 기준’에 미달한 가구 비율은 2.4%로 일반 가구(4.5%)보다 낮았으나 평균 가구원 수가 2.81명으로 일반가구(2.33명)보다 많아서 1인당 주거 면적(27.5㎡)은 일반 가구(33.9㎡)보다 좁다.

가장 필요한 주거 지원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약 50%에 달하는 신혼부부들이 ‘주택 구입자금 대출 지원’이라 답했으며 27.8%가 ‘전세자금 대출 지원’, 6.4%가 ‘임대 후 분양 전환 공공임대 주택 공급’이라고 답했다. 가구주가 청년(만 19세~34세)인 가구에서는 임차 가구가 81.6%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자가(13.8%)와 무상(4.7%)을 합친 것보다 4배가량 높았다. 주택 유형은 단독주택(37.5%), 아파트(33.8%), 다세대(11.7%) 순으로 많았다.

청년 자가 가구의 전국 PIR은 6.4배로 작년(5.5배)보다 증가했다. 임차 가구의 전국 RIR은 16.8%로 전년과 동일했다. 청년 최저 주거 기준 미달 가구 비율은 7.9%로 일반 가구(4.5%)보다 높았고 1인당 주거 면적(30.4㎡)도 일반 가구(33.9㎡)보다 좁았다. 청년들이 꼽은 가장 필요한 주거 지원은 ‘전세자금 대출 지원(38.1%)’이었고 ‘주택 구입 자금 대출 지원(23.8%)’ ‘월세 보조금 지원(17.4%)’이 뒤를 이었다.

[진 욱 인턴기자]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