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록페는 죽었다?①] ‘포화’ 상태였던 록 페스티벌의 현주소

박정선 2022. 12. 21. 07:3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0년대 수도권에만 초대형 록페 5개 격돌
현재는 '펜타포트' 비롯 전국 3개 가량 운영
"록페스티벌 정체성에 의문...입지 좁아지는 록페"

1999년 7월 말, 인천 송도 시민공원엔 수많은 젊은이들이 몰려들었다. 한국 최대 규모의 록 페스티벌의 역사적인 날을 함께 하려는 열기를 가득 담은 행렬이었다.


당시 ‘왜 페스티벌을 개최하는가, 이 당에 록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라는 기치를 내건 ‘트라이포트 록 페스티벌’(Triport Rock Festival)은 드림 시어터, 딥 퍼플,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프로디지 등 외국 유명 밴드들과 시나위, 크래쉬, 크라잉넛, 자우림 등 국내 밴드들을 내세워 국내 록 팬들을 인천 송도로 향하게 했다.


ⓒ펜타포트페스티벌

기념비적인 폭우로 첫날 크래쉬, 드림 시어터, 딥 퍼플 등의 공연만 간신히 진행되고 다음날 공연은 모두 취소됐지만, ‘트라이포트 록 페스티벌’은 한국 대중음악사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국 대중음악의 질적 도약과 음악축제의 문화를 한 단계 도약시키는 결정적 계기가 됐던 것도 사실이다.


같은 해 9월에는 현재 연속적으로 개최되는 최장수 국내 록페 타이틀을 달고 있는 ‘동두천 락 페스티벌’이 동두천에서 개최됐고, 이를 계기로 국내 록 페스티벌이 쏟아져 나왔다. 이듬해인 2000년에는 부산시가 비용을 대는 무료 축제인 ‘부산 국제 록 페스티벌’이 처음 열렸고, 서태지가 한국과 일본에서 동시에 열어 위성 생중계로 연결한 ‘ETP페스트’도 2001년 처음 시작됐다.


단 한 차례 열리고 사라졌던 비운의 ‘트라이포트 록 페스티벌’이 2006년에 ‘인천 펜타포트 록 페스티벌’로 부활했다. 예스컴에서 이름을 바꾼 아이예스컴과 99년 당시 예스컴에 있다가 독립한 김형일 대표의 기획사 옐로우나인이 공동주최자로 나섰다. 펜타포트 록 페스티벌은 이후 해마다 꾸준히 열리며 국내에 록 페스티벌 문화를 자리 잡게 했다.


하지만 ‘펜타포트 록 페스티벌’은 2009년 2개의 페스티벌로 쪼개지는 사태를 맞게 됐다. 갈등을 빚어오던 두 공동주최사가 갈라서면서 아이예스컴 주최의 ‘인천 펜타포트 록 페스티벌’과 옐로우나인 주최의 ‘지산밸리 록 페스티벌’이 동시에 관객을 찾았다. 결과는 해외 밴드 섭외를 주로 맡아온 옐로우나인의 완승이었다. 출연진 이름값이 더 우세했기 때문이다.


2010년대는 ‘록 페스티벌 전성기’로 불렸다. 투자자로만 나섰던 씨제이이앤엠(CJ ENM)이 아예 지산밸리 록 페스티벌 주최사로 나서면서 2012년 ‘지산밸리 록 페스티벌’은 세계적인 밴드 라디오헤드를 출연시켜 역대 최다 관객인 연인원 11만명을 모았다. 이를 계기로 록 페스티벌은 ‘여가 문화’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


2012년 '지산밸리 록 페스티벌' 무대에 선 라디오헤드 ⓒCJ ENM

씨제이이앤엠에서 나온 최성욱 대표가 ‘난타’로 유명한 송승환 회장의 피엠시(PMC)에 들어가 2012년 ‘슈퍼소닉’이라는 새로운 록 페스티벌을 출범시키기도 했다. 서울 방이동 올림픽공원에서 열리는 도심형 페스티벌을 차별점으로 내세웠다. ‘지산밸리 록 페스티벌’이 기간이 겹치는 일본 후지 록 페스티벌과 출연진을 공유했다면, ‘슈퍼소닉’은 일본 ‘서머소닉 페스티벌’과 출연진을 공유했다. 첫해부터 스매싱 펌프킨스, 뉴오더, 티어스 포 피어스, 고티에 등 화려한 출연진을 섭외할 수 있었던 이유다.


이밖에도 ‘밸리 록 페스티벌’이 지산에서 안산으로 자리를 옮겨가자, 장소를 제공하던 지산 포레스트 리조트가 독자적인 페스티벌 ‘지산월드 록 페스티벌’을 열기도 했고, ‘슈퍼콘서트’라는 이름으로 세계적인 팝스타들의 내한공연을 주최해온 현대카드도 ‘현대카드 슈퍼콘서트 시티브레이크’라는 이름으로 음악축제를 열었다. 뿐만 아니라 ‘메탈페스트’ ‘원 핫 데이’ 등 1회성 록 페스티벌도 종종 열렸다.


한때 수도권에만 초대형 록페스티벌이 5개가 격돌하는 과열 양상을 보였던 것과 달리 현재의 록페스티벌 시장은 잠잠하다. 현재는 ‘펜타포트 록 페스티벌’ ‘동두천 록 페스티벌’ ‘부산국제록페스티벌’ 말고는 모두 문을 닫았다. 남아있는 록 페스티벌마저도 라인업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장르적 범위가 넓어지면서 사실상 ‘록 페스티벌’로 불리기엔 민망한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이미 일회성 페스티벌을 비롯한 록 페스티벌의 성공률이 낮을 것으로 전망해왔다. 레이블 불가마 싸운드 한상태 대표는 “한국 대중음악에서 록 음악이 주류인 적은 없었다. 오히려 한국에서 록 음악이 갖는 시장성과 장르의 위상에 비해 페스티벌이 너무 많았던 것이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순수하게 록 음악만을 즐기는 팬들로는 수입을 창출하기 어려우니 페스티벌 주최 측에서는 수입을 확보할 수 있는 국내 아티스트를 섭외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록 음악을 즐기는 팬들은 주최 측의 결정에 반감을 가지게 됐다. 국내의 록 페스티벌의 정체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악순환이 발생하면서 록 페스티벌의 입지가 좁아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