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콘 30%가 서울대 출신…하지만 학교 도움은 거의 없어”
오세정 서울대 총장 “창업 시스템 정착시켜
‘학교의 도움받아 성공했다’는 평가 받고 싶어”
이광형 KAIST 총장은 ‘1랩1스타트업’ 강조해
“행정 절차 줄였더니 2년 새 창업 4→17개로”
“토스와 두나무, 직방 등 한국 유니콘(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의 비상장 기업)의 30%는 서울대 출신이 창업했습니다. 하지만 이들이 성장하는 데 있어 서울대가 도와준 건 거의 없습니다.”
오세정 서울대 총장은 20일 서울대 문화관에서 열린 ‘혁신창업국가 대한민국’ 국제 심포지엄에서 “교내에 창업 시스템을 정착시켜 뒤이어 나오는 유니콘에는 ‘학교의 도움을 받아 좀 더 쉽게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싶다”며 이렇게 말했다. 오 총장은 이날 ‘대한민국 혁신창업의 주요 성과’를 주제로 발표했다.
오 총장은 미국 피츠버그와 디트로이트를 비교하면서 지역 경제를 이끄는데 대학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그는 “피츠버그와 디트로이트는 각각 제철과 자동차로 대표되지만 산업 쇠퇴와 함께 지역이 몰락하고 있었다”며 “다만 피츠버그는 카네기멜런대와 피츠버그대를 중심으로 로봇을 새로운 주력 사업으로 삼아 지역경제를 성장시키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서울대도 당연히 이런 일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서울대는 창업 지원을 위한 전담 조직과 특허기술 이전을 통한 기술사업화부서를 만들었다. 창업보육센터에서는 대학 안팎의 혁신 창업가에게 자금·공간·제도 등을 지원한다. 서울대 인근에는 ‘관악S밸리’를 조성해 창업 생태계와 연계했다. 그 결과 서울대 교원이 창업한 120곳 중 총 14곳이 상장에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1랩(연구실) 1스타트업’이라는 모토를 내걸고 혁신창업을 지원하고 있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카이스트 혁신창업 비전과 성과’ 주제로 한 발표에서 “교수나 학생이 참여해 모든 랩마다 회사 하나씩 세우자는 목표를 세웠다”고 소개했다.
동시에 KAIST는 창업에 장벽이 됐던 수많은 행정 절차를 간소화하고 학내 규정도 바꿨다. 이전엔 교수가 창업하기 위해서는 학과장과 단과대학장, 총장까지 승인을 받아야 했다. 승인에만 6개월이 걸렸는데, 이제는 학과 승인만으로 창업이 가능하다. 또 학생들이 창업하면 무기한으로 휴학할 수 있도록 휴학 제한도 없앴다.
그 결과 2년 전 4개뿐이던 교수 창업이 매년 2배씩 늘어 지난달엔 17개가 됐다. 학생이 창업한 기업 수는 지난해 66개, 올해 11월에는 57개다. 이 총장은 “목표는 10년 후 연 1000억원의 기술 사업화 수입”이라며 “학생과 교수진이 창업하고 잘되면 학교에 기부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학교 재정 자립도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박해리 기자 park.haelee@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픔 참다 치아도 부러져"…'희귀병 투병' 신동욱 최근 근황 | 중앙일보
- 얼마나 좋았으면...월드컵 우승 트로피 안고 잔 메시 | 중앙일보
- ‘무엇이든 숫자로 파악하라’…삼성맨 아빠가 63점인 이유 | 중앙일보
- 의붓딸 엉덩이 찌른 주사놀이…오은영도 놀란 그 장면 결국 삭제 | 중앙일보
- "우리 동네 아이스링크 됐다"…매년 반복되는 빙판길의 비밀 | 중앙일보
- 김고은, 손흥민과 열애설에 "국민으로 응원…일면식도 없다" | 중앙일보
- "마스크 쓸어간 中보따리상, 이제 감기약 노린다" 첩보…무슨일 | 중앙일보
- "같이 칼춤 춰줄 망나니 필요해"…달달한 송혜교는 사라졌다 | 중앙일보
- MB 광우병 때도 없던 일…尹퇴진 집회 간 장경태 "계속 갈 것" | 중앙일보
- 백지 한장이 '시 황제'를 뒤흔들었다, 봉쇄사회까지 찢었다 [2022 후후월드③]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