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금 인상 동의했던 교육차관 "아직 타이밍 아냐"
최근 각종 대학 관련 규제를 대폭 완화하는 정책을 내건 교육부가 등록금 규제 완화에 대해서는 “아직 이르다”며 선을 그었다. 등록금 자율화가 필요하다는 데에는 정부도 공감하고 있지만 학생·학부모 부담을 고려해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2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출입기자단 간담회를 열고 최근 교육부가 발표한 대학 규제 개혁안과 유보통합 추진계획 등에 대해 설명했다. 대학가에서는 규제 완화를 반기면서도 '규제 개혁 핵심인 등록금 문제가 빠져있다'는 반응이 나온다. 이에 대해 장 차관은 “지금 경제 상황이나 학부모·학생의 부담을 고려하면 타이밍이 적절치 않다. 재정 당국과의 공감대도 있어야 하기 때문에 지금 상황에선 등록금 문제를 검토하는 게 맞지 않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높은 물가상승률에 등록금 인상 '속도조절'
반년 전인 지난 6월만 해도 장 차관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의 총장 세미나에서 “교육부도 등록금 인상 방향에 공감한다”고 말한 바 있다. 당시 장 차관은 “재정당국과 협의하고 있는데, 1~2년 이상 끌 생각은 아니고 조만간 결론을 내려 말씀드리겠다”고 말해 대학가에서는 등록금 인상 기대감이 커지기도 했다.
'반값등록금' 요구가 거세진 이후 정부는 14년간 등록금 인상을 막아왔다. 대학 재정난이 심각해지면서 현 정부에서는 등록금 인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도 "원칙적으로 등록금 규제를 푸는 것이 대학 경쟁력에도 좋다"고 말한 바 있다. 하지만 최근 물가가 급격히 오르는 경제 상황을 고려하면 정부가 먼저 나서서 등록금 규제를 풀어주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대학 규제 개혁, 지방대가 더 빨리 활력 회복할 것”
대학 규제를 풀면 수도권 대학만 유리하다는 우려에 대해 장 차관은 “단편적으로 볼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앞서 교육부가 대학 설립 요건 규제를 완화하고 학생 증원·학과 신설 등에 대한 자율권을 모든 대학에 확대한다고 밝히자, 지방 대학에선 “수도권 대학의 숙원사업만 해결해줬다”, “수도권 정원 늘리면 지방대는 더 빨리 고사한다”는 비판이 나왔다.
장 차관은 “지방대는 규제 개혁에 더해 충분한 재정까지 뒷받침해줄 계획이라 수도권보다 지방대가 더 빨리 활력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지방자치단체와 지방대학의 협력체계를 강화해 지방단위 교육을 회복시킬 것”이라고 했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각 지자체에 고등교육을 담당할 교육부 공부원도 파견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다. 이 외에 재정 지원과 연계된 대학평가를 정부 주도의 상대평가 방식에서 대교협·사학진흥재단이 시행하는 절대평가 방식으로 재편해 오는 2025년부터 적용하기로 했다.
“유보통합 교사, 하향평준화는 곤란”
각 지역의 ‘명문고’ 설립 방안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장 차관은 “시·도 교육감들이 지역사회에서 새로운 형태의 고교를 설립해 운영한다고 제시한다면 그 의지를 존중하겠다는 게 교육부의 생각”이라며 “이전 정부에서 외고·국제고·자사고를 일반고로 전환하는 시행령으로 고교 체제를 묶어놨는데, 다양한 형태의 고교를 지원하는 고교 체계 개편 방안도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라고 했다.
이후연 기자 lee.hooyeo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키스만 해, 성관계는 안해"…중국 대학생에 퍼지는 '입친구' | 중앙일보
- 폭설때 사라진 광주 중학생, 실종 나흘만에 이곳서 발견 | 중앙일보
- 제트스키 김성원 선수, 태국 대회서 사망…"커브 돌다 사고" | 중앙일보
- 믿었던 트레이너의 배신…샤워실서 여성 PT회원 몰카 찍었다 | 중앙일보
- 올해도 97만원 토해낼건가, 지금도 안 늦은 연말정산 팁 | 중앙일보
- 대통령 '소변 실수' 생중계 직후…공포소문 확산에 기자들 덜덜 | 중앙일보
- "잠도 자지말고 일하셔야 함"…최전방 공격수 변신한 원희룡 | 중앙일보
- '태진아 아들' 이루, 가드레일 받고 사고냈다…음주 측정 결과 | 중앙일보
- 온라인 판매 대박난 박재범 소주…"왜 전통주 수혜 받나" 논란 | 중앙일보
- 70세 대통령의 핵 겁박…세계가 싫어해도 국내 지지율 79%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