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전쟁發 에너지 위기, 2026년까지 간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인한 유럽의 피해 규모만 1조달러(한화 약 1310조원)에 이른다는 분석이 나왔다.
러시아가 가스 공급을 줄이고 있는 데다 코로나 봉쇄를 푼 중국의 에너지 수요 급증까지 가세할 경우 글로벌 각국의 에너지 확보 전쟁이 가열, 2026년까지 에너지 위기가 지속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 가계·기업 재정 지원 여력은 한계
"우크라 전쟁 후 에너지 가격 급등…유럽 피해 규모만 1조달러"
[아시아경제 권해영 기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인한 유럽의 피해 규모만 1조달러(한화 약 1310조원)에 이른다는 분석이 나왔다. 러시아가 가스 공급을 줄이고 있는 데다 코로나 봉쇄를 푼 중국의 에너지 수요 급증까지 가세할 경우 글로벌 각국의 에너지 확보 전쟁이 가열, 2026년까지 에너지 위기가 지속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18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에너지 가격이 치솟으면서 소비자, 기업이 약 1조달러에 달하는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정됐다.
블룸버그는 "1조달러 규모의 에너지 청구서는 위기의 시작일 뿐"이라며 "글로벌 가스 가격 불안이 2026년까지 이어지면서 에너지 가격 급등이 앞으로 수년간 지속되고, 정부도 더 이상 지원할 여력이 없는 상태에 처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럽연합(EU)은 지난 여름부터 에너지 비축에 사활을 걸면서 올 겨울 러시아산 천연가스 의존도를 낮추는 동시에 가스 창고를 채우는 진전을 이뤘다. 문제는 내년 겨울이다. 줄어든 가스 비축량을 다시 늘려야 하지만 러시아가 가스 공급을 줄이고 있고 미국, 카타르 등의 액화천연가스(LNG) 추가 생산이 가능해지는 2026년까지는 여전히 공급이 부족한 상태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서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EU가 이미 가스 수요를 500억㎥ 가량 억제했지만, 러시아가 유럽으로 가는 가스관을 완전히 잠가버리고 중국의 LNG 수입이 2021년 수준으로 늘어날 경우 내년엔 수요를 270억㎥ 더 억제해야 할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이 가스 수입을 늘리면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중국은 올해 코로나 봉쇄로 경제 활동이 위축되며 가스 수요가 줄었는데, 감소량이 전 세계 공급의 5%에 달해 글로벌 가스 가격이 더 치솟지 않도록 그나마 안정시킨 측면이 있다. 그러나 중국해양석유총공사(CNOOC)의 에너지경제연구소에 따르면 봉쇄를 풀기 시작한 중국이 내년엔 LNG 수입량을 올해보다 7% 늘릴 전망이다. 여기에 일본 등 다른 아시아 국가도 가스 비축에 나서면서 에너지 확보 전쟁이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재정 여력이 한계에 달했다는 점도 문제로 거론된다. 유럽 정부는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는 가계, 기업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11월 말까지 7000억유로(약 970조원) 이상을 지원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독일이 국내총생산(GDP)의 7.4% 규모인 2460억유로(약 340조원)를 지원해 정부 지원 규모가 가장 컸고 다음으로 영국(970억유로·GDP 3.5%), 이탈리아(907억유로·GDP 5.1%), 프랑스(692억유로·GDP 2.8%), 네덜란드(439억유로·GDP 5.1%), 스페인(385억유로·GDP 3.2%) 순이었다. 그 결과 EU 회원국의 절반 가량이 정부 부채가 GDP의 60%를 초과하면 안된다는 재정준칙 기준을 벗어나는 상황에 맞닥뜨렸다.
벨기에 소재 유럽 씽크탱크인 브루겔은 "기업과 소비자에 대한 7000억달러 규모의 정부 지원이 타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었지만 비상 사태는 수년간 지속될 것"이라며 "금리인상과 경기침체가 가시화되면서 이 같은 지원도 더이상 감당하기 어려워 보인다"고 전망했다. 컨설팅 회사 S-RM의 마틴 데브니시 이사는 "(정부가 지원한) 구제금융과 보조금 등을 모두 합하면 어마어마하게 큰 돈이 될 것"이라며 "내년엔 정부가 위기 관리에 나서기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돈 많아도 한남동 안살아"…연예인만 100명 산다는 김구라 신혼집 어디? - 아시아경제
- 버거킹이 광고했던 34일…와퍼는 실제 어떻게 변했나 - 아시아경제
- "한 달에 150 줄게"…딸뻘 편의점 알바에 치근덕댄 중년남 - 아시아경제
- "어떻게 담뱃갑에서 뱀이 쏟아져?"…동물밀수에 한국도 무방비 - 아시아경제
- 장난감 사진에 알몸 비쳐…최현욱, SNS 올렸다가 '화들짝' - 아시아경제
- 가수 벤 "아이 낳고 6개월만에 이혼 결심…거짓말에 신뢰 무너져" - 아시아경제
- "10년간 손 안 씻어", "세균 존재 안해"…美 국방 내정자 과거 발언 - 아시아경제
- "무료나눔 옷장 가져간다던 커플, 다 부수고 주차장에 버리고 가" - 아시아경제
- "일부러 저러는 건가"…짧은 치마 입고 택시 타더니 벌러덩 - 아시아경제
- '초가공식품' 패푸·탄산음료…애한테 이만큼 위험하다니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