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채용전망]대기업, 고용 늘리기 어렵다는데…미래모빌리티·배터리는 기대감

문채석 2022. 12. 16. 07: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래' 강조하지만 인재채용 주춤
USMCA 관세 때문에 증설경쟁 붙은
배터리 제외 보수적 기조 뚜렷
지난달 8일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2022 관광산업 일자리 박람회'에 참가한 구직자가 채용게시판을 보고 있다./강진형 기자aymsdream@

[아시아경제 문채석 기자, 유현석 기자, 최서윤 기자] 고용시장의 전체적인 흐름을 이끄는 대기업들이 내년 채용계획을 보수적으로 잡았다. ‘줄이진 않더라도 늘리긴 힘들다’는 기조가 뚜렷한 상황. 중국 등을 제쳐야만 살아남을 수 있는 전기차배터리 등 설비 투자를 늘리는 일부 업종만 채용 증가를 시사한 상태다. 지난 5월 윤석열 대통령 취임 후 주요 기업들은 일제히 대규모 투자, 채용 계획을 발표했다. 5월 장미빛이던 고용 전망은 연말엔 색이 바랬다.

16일 산업계 의견을 종합하면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에너지솔루션 등 IT·모빌리티·배터리 기업 대부분이 내년 고용 계획을 확정하지 못했다. 설비 투자를 올해보다 50%나 줄이기로 한 SK하이닉스를 비롯한 대부분 기업은 "채용을 줄이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제를 깔면서도 "늘리기도 어렵다"는 반응을 보였다.

지난해 말 대비 상반기 기준 국내 임직원이 1000명 이상 늘어난 업체는 삼성전자(11만3485명→11만7904명·4419명 증가), LG엔솔(9564명→1만715명·1151명 증가) 등을 제외하면 찾아보기 어렵다. LG엔솔의 경우 2020년 12월 분사 후 갓 2년 된 기업이다. 조직이 정상적으로 돌아가기 위해선 사람이 더 필요한 상황이다. 같은 기간 LG전자는 1707명, 현대차는 1309명 직원이 줄었다.

국내외 경기가 얼어붙자 대기업들은 내년 고용 규모를 줄이려 한다. 우선 전자업계에선 수요 감소로 인한 반도체 등 전반적인 부품 가격 하락과 재고 증가라는 '겹악재' 때문에 고전 중이다. 불황이 고용방침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는 구조다. 한 전자업체 관계자는 "내년엔 경영환경 불확실성 확대 여파로 절대적인 채용 규모는 줄 수 있다"면서도 "AI, SW 등 핵심 분야에 대한 채용 활동은 적극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대차는 2019년부터 채용 방식을 바꿨다. 신입사원 채용 시 각 현업 부문이 필요한 사람을 직접 뽑는 '상시 공개채용' 방식으로 전환했다. 특히 올해부터는 홀수월의 1일마다 부문별 채용 공고를 내는 방식으로 변경했다. 지원자들의 혼란을 막기 위해 부문별 필요 인원을 한 번에 공고하는 것이다.

내년 채용 규모는 미정이다. 현재 환율이나 원자재 가격 등 다양한 부분에서 변수가 많은 만큼 쉽게 예단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다만 시계열을 넓혀 보면 채용 규모는 소폭 늘고 있다. 전자 업계와 달리 자동차 업계는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달리고 있는 중이기 때문이다.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의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각사는 7530명, 477명, 888명 등 총 8895명을 신규 채용했다. 이는 2020년 7803명보다 1092명이 늘어난 수치다. 세부적으로는 현대차가 2020년보다 434명을 늘렸다. 현대모비스는 888명을 뽑아 전년(298명) 대비 3배 가까운 인원을 채용했다. 기아도 68명을 늘렸다.

특히 전통적인 내연기관 쪽보다는 소프트웨어, 자율주행, 도심항공교통(UAM), 로보틱스 미래모빌리티 쪽에서 사람이 더 필요한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기존에 있던 조직은 어느 정도 다 갖춰져 있기 때문에 채용 인원이 적다"면서 "미래모빌리티 분야는 이제 만들어지고 커지고 있기 때문에 그런 쪽 위주로 많이 뽑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배터리 업계는 미국 내 관세 혜택 때문에 설비 증설을 해야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채용을 늘려야 하는 측면이 있다고 말한다. 적어도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 발효로 무관세 혜택이 축소되는 2025년까지는 이런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는 게 중론이다. 이때부터 현지 부품 75% 이상을 쓴 자동차에 대해서만 무관세 혜택을 주기 때문에 세계 배터리 업체들은 미국 내 설비 투자를 폭발적으로 늘리고 있다. 사람이 필요할 수밖에 없다.

조선업계의 경우 협력업체 생산직군은 구인난에, 조선 3사(한국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사무직 기술직군은 구직난에 각각 빠져 있다. 비대칭적인 노동 격차가 두드러지는 전형적인 '이중구조'다. 소위 '3D'로 불리는 하청 생산직 기피 현상은 여전하고, '바다의 테슬라'로 불리는 자율배 등 첨단 기자재를 개발하는 조선 3사 기술 정규직 수요는 높다.

재계는 업종을 가리지 않고 '3고'(물가·금리·환율 폭등 현상) 때문에 경영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인 만큼 획기적인 정책 지원을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추광호 전국경제인연합회 경제본부장은 "최근 원자재가격 급등과 3고 현상, 수출 감소 등이 겹치면서 경기 침체 가능성이 커져 고용시장에 부정적 영향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정부와 국회가 규제 개혁, 신산업 육성, 조세부담 완화 등 적극적인 정책 대응으로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면 기업이 보다 적극적으로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유현석 기자 guspower@asiae.co.kr

최서윤 기자 sychoi@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