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가 앉자마자 도망쳤다"…임산부 배려석에 설치된 이것

현예슬 2022. 12. 10. 10:5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지하철 2호선 임산부 배려석 자료사진. 연합뉴스


"임산부가 아니시라면 자리를 비워주시기 바랍니다"

광주 도시철도 차량 임산부 배려석에 설치된 센서가 눈길을 끌고 있다.

8일 광주 도시철도공사에 따르면 공사는 지난 9월 차량 2대에 2개씩, 모두 4개 임산부 배려석 위에 적외선 센서를 설치했다.

광주 지하철은 4량으로 편성돼 총 8개 임산부 배려석이 있는데, 이 가운데 2좌석에 시범 설치했다.

센서를 통해 승객 착석을 감지하면 곧바로 "임산부 배려석에 앉으셨습니다. 임산부가 아니시라면 임산부를 위하여 자리를 비워주시기를 바랍니다"라는 안내 문구가 흘러나온다.

임산부나 노약자가 아닌 승객이 자리에 앉았다가 안내를 듣고 겸연쩍게 일어나는 모습도 목격된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방금 남자가 앉자마자 음성 메시지가 나와서 사람들 시선이 확 쏠렸다"며 "남자가 눈치를 보면서 당황하더니 허겁지겁 도망쳤다"고 적은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네티즌들은 "임산부 아니면서 모른 척 앉아 있던 사람들이 불편했는데 잘했다", "임산부가 와도 양보하지 않는 사람들 너무 많았는데 좋은 것 같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반면 "배려는 강제가 아니다", "임산부가 보이면 비켜주면 되는데, 왜 멀쩡한 자리를 비워둬야 하냐"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광주 도시철도공사 관계자는 "직원들이 임산부 배려 정책을 고심한 끝에 시범적으로 운용해보기로 했다"며 "시민 반응, 여론을 파악해 공식화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현예슬 기자 hyeon.yeseul@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