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77% "SNS가 정치 양극화 심화시킨다"

김정완 2022. 12. 7. 22: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7명 이상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로 인해 정치적 양극화가 더 심화한다고 인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여론조사 전문 퓨리서치센터는 6일(현지시간) 한국, 미국, 일본, 영국을 비롯한 19개국 국민을 대상으로 한 SNS 및 인터넷과 민주주의에 대한 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네덜란드 이어 3번째 높은 응답
'자국 내 민주주의' 한국인 절반 '불만족'
[이미지출처=픽사베이]

[아시아경제 김정완 기자]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7명 이상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로 인해 정치적 양극화가 더 심화한다고 인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여론조사 전문 퓨리서치센터는 6일(현지시간) 한국, 미국, 일본, 영국을 비롯한 19개국 국민을 대상으로 한 SNS 및 인터넷과 민주주의에 대한 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조사 결과 한국 국민의 약 77%는 'SNS가 정치적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19개 조사 대상국 중 미국(79%) 네덜란드(78%)에 이어 3번째로 높은 수치다. 응답자 전체 평균 응답은 65%였다.

퓨리서치센터는 "한국과 미국은 지지하는 정당에 따른 갈등이 빈번히 나타나고 있다"며 "전반적으로 이런 경우 SNS가 정치적 양극화를 심화시킨다는 인식이 더 강하게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19개국 응답자 약 57%는 'SNS가 자국 민주주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답했고,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응답은 35%였다.

민주주의에 대한 SNS 영향을 가장 긍정적으로 평가한 국가는 싱가포르(76%), 가장 부정적으로 평가한 나라는 미국(64%)이었다. 한국은 긍정적이라고 답한 비율이 61%, '부정적 영향'(32%)의 약 두 배로 나타났다.

현재 자국 내 민주주의 제도의 만족도에 관한 질문에 대해서는 한국 국민의 50%가 '만족', 49%는 '불만족'이라고 각각 답변했다. 만족도가 가장 높은 나라는 스웨덴(79%), 만족도가 가장 떨어지는 나라는 스페인(31%)이었다.

정치 시스템상 자신의 의견이 정치에 어느 정도 반영된다고 보는지를 묻는 질문에 한국 응답자의 53%가 '전혀 또는 별로 반영되지 않는다'고 답했다. '자신의 의견이 반영된다'는 응답은 45%였다. 이는 19개국 평균 65%가 '반영되지 않는다'고 답한 것보다는 높은 수치다.

이번 조사는 미국 성인 3581명, 한국 등 미국 외 지역 성인 2만944명을 대상으로 올 2월부터 6월까지 전화, 면담, 온라인 설문 등의 방식으로 진행됐다.

김정완 기자 kjw106@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