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내년 1월 실내 마스크 해제 검토하는데…찬성 43.7% vs 반대 30% [민심레이더]

문지민 매경이코노미 기자(moon.jimin@mk.co.kr) 2022. 12. 7. 16:1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진보 진영은 반대 62%로 많아
12월 7일 서울의 한 대형 서점에 설치된 마스크 착용 안내문. (출처=연합뉴스)
정부가 내년 1월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달 중 기준을 확정하고, 기준이 충족되면 의무화를 해제한다는 방침입니다. 당초 방역당국은 코로나19가 유행하는 겨울을 넘기고 내년 3월쯤 의무화를 해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죠. 만약 1월 말에 해제된다면 시점이 한 달 이상 앞당겨지는 셈입니다.

한덕수 국무총리도 최근 1월 말 의무화 해제를 암시하는 발언을 했는데요. 한 총리는 12월 6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내년 1월 말쯤 의무화를 해제할 수 있는 요건에 도달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는 단계”라고 말했습니다. 백경란 중앙방역대책본부 본부장도 12월 7일 브리핑에서 “마스크 착용을 자율적으로 이행하는 시기는 내년 1월에서 늦어도 3월 사이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죠.

정부가 의무화 해제 시점을 앞당기려는 이유는 최근 일부 지방자치단체와 여권에서 급격히 번지는 논란 때문이죠. 대전시와 충청남도는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독자적으로 해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실효성이 없는 데다 주민 불편만 크다는 이유죠.

여권에서도 지자체들의 독자 행보에 동조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상황입니다. 차기 국민의힘 당권주자로 꼽히는 권성동 의원과 하태경 의원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이들 지자체를 지지한다”고 공개적으로 밝혔죠. 여당에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를 공개적으로 요구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지자체와 여권을 중심으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해제에 대한 요구가 커지는 상황에서 국민들의 생각은 어떨까요? 20만명의 회원을 보유한 정치 데이터 플랫폼 ‘옥소폴리틱스’가 43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 43.7%가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를 해제해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의무화 해제에 반대한다는 응답은 30%에 그쳤죠.

정치 성향이 보수적일수록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해제에 찬성하는 의견이 많았는데요. 보수 진영 응답자 77.4%가 해제에 찬성한다는 의견을 나타냈습니다. 중도보수(61%)와 중도(56.9%)에서도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찬성한다는 입장을 내비쳤죠. 중도보수 성향의 한 20대 남성은 “전 세계에서 실내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하는 국가는 손에 꼽힐 정도로 적다”며 “세계적인 흐름인데도 여전히 마스크를 강제로 착용하라는 것은 이해가 안 된다”고 말했습니다.

반면 진보(62.2%)와 중도진보(41.3%) 진영에서는 반대한다는 응답이 더 많았습니다. 진보 성향의 한 20대 남성은 “이미 실내에서도 마스크를 벗고 다니는 사람들이 점점 늘고 있지만 굳이 겨울철 바이러스가 유행하는 시기에 공식적으로 의무화를 해제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말했죠.

특히 연령이 낮을수록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를 해제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는데요. 10대(47.6%), 20대(50.4%), 30대(44.1%)에서는 의무화 해제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높게 조사됐습니다. 반면 40대(53.1%), 50대(47.8%), 60대(45.5%)에서는 반대 의견이 많았죠.

[문지민 기자]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