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과거 대우그룹서 260억원 대출 사실 숨겼다"…왜

서유진 2022. 12. 6. 21:5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채무 때문에 대북정책에 적극적이었단 논란 피하려한 듯"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대우그룹으로부터 대출을 받았던 사실을 대통령 재임 시절 숨겼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역사상 첫 북미정상회담에 나섰던 트럼프 대통령이 대우와의 채무관계 때문에 대북정책에 적극적이었다는 논란을 피하려 일부러 채무 기록을 누락시켰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사진)이 재임시절 대우에서 약 260억을 대출받은 사실을 숨겼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사진 트위터 캡처

미국 포브스는 4일(현지시간) 티시 제임스 뉴욕주 검찰총장이 확보한 트럼프 그룹 문건에 'L/P DAEWOO(대우)'로 표시된 1980만 달러(약 262억원)의 미신고 채무가 있었다고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사진)이 과거 대우그룹에서 약 260억을 대출받은 사실을 숨겼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로이터=연합뉴스

포브스에 따르면 트럼프와 대우의 관계는 25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대우는 1997년 뉴욕시 맨해튼의 고층건물 트럼프 월드타워 개발 사업에 참여했다. 그 뒤 1999년~2007년 트럼프와 대우는 한국에서 6개 부동산 사업을 진행했다.

2002년 여의도 용호로(KBS별관 앞 도로) 주변에 들어선 대규모 주상복합건물인 트럼프월드 건물 2개동의 모습. 중앙포토

포브스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채무가 트럼프월드 타워 사업과 관련한 라이선스 비용 일부를 대우와 분담하기로 한 합의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채무액은 2011년~2016년 1980만 달러로 유지되다가 그가 대통령으로 취임한 지 5개월이 지난 2017년 6월 30일 430만 달러(약 57억원)로 확 줄었다. 닷새 뒤인 2017년 7월 5일에는 채무액이 아예 사라졌고 대출금을 갚은 주체는 명시되지 않았다. 포브스는 "트럼프 전 대통령은 대차대조표에서 부채를 지우려고 약간 긴급하게 행동한 것 같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조직 내부 서류에는 대우와 관련된 부채가 등장했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선 기간과 대통령 취임 후 제출한 재산 내역에는 해당 부채가 누락돼 있다.

이는 2016년 대선 당시 트럼프 측이 "트럼프 후보는 100% 지분을 소유한 회사와 관련된 부채는 모두 공개했다"고 말했던 것과 위배된다고 포브스는 지적했다.

포브스는 "대우는 1990년대 중반 독점적 대북 사업권을 쥔 유일한 남한 기업이었다"라며 "만약 트럼프가 대통령이었을 때 이 부채의 존재가 알려졌다면 이해충돌 우려가 제기됐으리라는 데 의심할 여지가 거의 없다"고 지적했다.

매체는 이어 "전직 대통령이 그토록 오랫동안 채무를 숨길 수 있었다는 사실은 정부의 윤리 보호 장치가 얼마나 취약한지, 그리고 트럼프가 2024년 대선에 재출마하면서 얼마나 쉽게 그 장치를 통과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고 전했다.

서유진 기자 suh.youji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