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정부가 외교 무대 서는 날 와야”...‘글로컬리즘’ 앞장서는 지자체장들

반진욱 매경이코노미 기자(halfnuk@mk.co.kr) 2022. 12. 6. 11:3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동 인터뷰]
이철우 시도지사협의회 회장·유정복 시도지사협의회 부회장
유 부회장 “지방 글로벌 역량과 국가 경쟁력 결합 땐 막강 외교력”
이 회장 “인구 문제 해결 위해 지방에 이민 정책 권한 부여해야”
유정복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부회장(좌). 이철우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장(우) (경상북도청 제공)
12월 2일 서울 그랜드 하얏트 서울에서 시도지사협의회(이하 시도협)가 주관하는 ‘2022년 주한외국공관장 초청간담회’가 열렸다. 13회를 맞는 이번 행사에서 역대 최대 규모의 주한대사들이 참석, 성황을 이뤘다. 행사에 참석한 지자체 관계자들은 “지자체와의 협력에 관심을 갖는 주한 대사의 수가 부쩍 늘어났다”고 입을 모았다. 외교 일선에 중앙정부와 함께 지방정부가 함께 나서야 한다는 분위기가 현장에서는 감지됐다.

행사에 참석한 이철우 시도협 회장(경북도지사)과 유정복 시도협 부회장(인천광역시장)도 이런 분위기에 동의한다고 밝혔다. 두 지자체장은 “외교가 중앙정부의 전유물이던 시대는 끝났다. 이제는 지역과 글로벌이 하나가 된 ‘글로컬리즘(Glocalism)’의 시대”라고 강조했다. 다음은 이철우 회장, 유정복 부회장과의 일문일답.

Q. 행사장에서 많은 주한 대사들과 이야기를 나눴다. 주로 어떤 이야기가 오갔나.

이철우 회장: 한국의 지자체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었다. 많은 대사들이 경상북도가 자매결연을 한 자국 도시가 있는지 질문을 던졌다. 현재는 거의 없다. 현재 자매결연을 한 도시는 9개밖에 없다. 이 사실을 들려주니 경상북도와 자매결연을 하고 싶다며 강한 관심을 드러냈다. 옛날과 다르다. 과거에는 경상북도가 먼저 하자고 해도 안 하는 곳이 많았다. 한국의 위상이 올라가니, 한국을 구성하는 지자체를 바라보는 시선도 바뀌었다. 경북을 자국에 알리고 싶다는 대사들이 많았다.

유정복 부회장: 인천이 가진 글로벌 역량을 활용하고 싶어 하는 대사들이 많았다. 인천은 한국의 관문인 인천국제공항과 대형 항만인 인천항이 있다. 국제기구도 들어와 있다. 인천이 가진 경쟁력과 자국이 가진 경쟁력을 합쳐서 다양한 협력이 나올 수 있다고 많은 대사들이 강조했다.

Q. 가장 인상 깊었던 국가의 주한 대사는 누구였는지 궁금하다.

이철우 회장: 독일이 인상 깊었다. 독일 대사는 왜 독일에 안 오냐고 질문을 던지기도 했다. 그동안 독일과 경상북도는 자매결연이 없었다. 교류가 적었던 점은 반성해야 한다. 사실 지방 균형 발전 부분은 독일을 많이 배워야 한다. 독일은 지방자치가 상당히 잘 자리 잡은 나라다. 16명 장관의 출신 대학과 출신 주가 다르다. 같은 주 같은 대학 출신이 없다. 중앙정부 구성부터 지방 균형 발전에 대해서 신경을 많이 쓴다. 우리는 일방적이다. 사람을 골고루 등용해야지, 지방 출신을 골고루 등용해야 발전이 된다. 지방 시대를 열기 위해서는 (독일과 같은 국가를)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유정복 부회장: 인천의 지역적 특성에 주목하는 대사들이 많았다. 이스라엘 대사는 자국의 항공기 부품 산업에 대해 이야기를 해왔다. 현재 항공기 제조 부품 기술은 이스라엘이 최고다. 한국 최대의 공항인 인천국제공항이 자리 잡은 인천과 산업적으로 협력할 사안이 많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농업 수출 강국인 네덜란드, 디지털 정부 시스템이 강점인 에스토니아 대사들과의 대화도 인상 깊었다.

Q. 지방정부가 외교 무대 일선에 나가야 한다는 주장이 흥미롭다.

이철우 회장: 세계화 시대에 국가가 바뀌려면 지방정부가 외교 일선에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현재 많은 지자체가 젊은 인구 부족 문제에 시달린다. 이를 지방정부에게 비자 발급 권한을 양도하면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 자매결연 도시의 우수 인력을 지역 대학교의 대학생으로 초빙하고, 그들의 친인척도 한국에 오도록 돕는 식이다. 도청 공무원이 직접 그들을 관리하면 적응 등 문제도 해결하기 쉽다. 그들이 한국에 적응을 잘하면 최종적으로는 지방정부가 직접 이민도 받아줄 수 있다. 세계화와 동시에 인구 부족 문제도 어느 정도 해결하는 셈이다. 현재는 대부분 권한이 중앙정부에 집중돼 있다. 새로운 시대를 열기 위해서라도 지방정부에 어느 정도의 권한을 줘야 한다.

유정복 부회장: 지방도 이제는 외교의 무대가 돼야 한다. 현재 인천시는 2023년에 열릴 공관장 초청 행사를 계획하고 있다. 한국에 있는 대사들이 직접 한국 지방의 현장을 보고 그들이 느끼고 판단하게 만들자는 취지다. 서울에 앉아 지방을 연구한 자료만 보고 이해하는 것과 직접 그 현장에 가는 것은 차원이 다른 문제다. 한국의 지역마다 다른 특성을 직접 파악하고 자국과의 가교 역할을 하는 진정한 ‘대사’가 되는 것이다. 지역에 직접 오면 왜 인천이 APEC 장소로 적합한지, 부산이 2030 엑스포에 최적인 도시인지 외교관들도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Copyright © 매경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