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칫덩이' 커피 찌꺼기로 반도체 폐수 정화한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골칫덩이' 커피 찌꺼기로 반도체 폐수를 정화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이민욱 구조용복합소재연구센터 박사 연구팀이 김영관 동국대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생활폐기물로 버려지는 커피 찌꺼기와 생분해성 고분자를 복합화해 구리이온 제거용 나노복합필터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골칫덩이' 커피 찌꺼기로 반도체 폐수를 정화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이민욱 구조용복합소재연구센터 박사 연구팀이 김영관 동국대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생활폐기물로 버려지는 커피 찌꺼기와 생분해성 고분자를 복합화해 구리이온 제거용 나노복합필터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커피 한 잔을 내릴 때 사용되는 커피콩의 단 0.2%만이 우리가 마시는 커피가 되고, 나머지 99.8%의 찌꺼기는 버려지는데 우리나라에서만 연간 약 15만t에 달한다. 매립시 온실가스가 발생하고, 소각해도 다량의 탄소가 발생한다.
커피 찌꺼기의 표면은 다공성 구조일 뿐 아니라 음전하를 띠고 있는 다양한 기능기들로 구성돼 있다. 이에 기존에도 양전하를 띠는 폐수 속 중금속을 흡착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반도체 폐수 속의 중금속은 신장, 간, 뇌와 같은 인체 주요 장기에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데, 최근 반도체 생산 증가로 배출량이 늘고 있다. 구리를 비롯한 반도체 폐수 속의 중금속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정제기술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다.
문제는 커피 찌꺼기를 물에 푸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쓰고 난 커피 찌꺼기를 다시 수거해야 한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KIST 전북분원이 보유한 복합소재 기술을 활용해 흔히 사용하는 캡슐커피 안의 커피 찌꺼기를 수거한 후 세척이나 불순물 제거와 같은 별도의 전처리 공정 없이 생분해성 플라스틱인 PCL(Poly Capro Lactone)과 함께 용매에서 균일하게 복합화했다. 이후 이를 전기방사해 매우 촘촘하고 균일한 형태의 커피 찌꺼기와 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나노복합필터를 제조했다. 이렇게 제조된 소재는 초기농도 100μM(마이크로몰라)의 폐수에서 4시간 안에 90% 이상의 중금속 제거 효율을 달성해 음용수 기준을 만족할 수 있었다. 캡슐 커피 1개(약 5g)으로 약 10리터의 폐수를 정화할 수 있는 나노복합필터를 제조 가능하다.
KIST 이민욱 박사는 “이번 연구는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폐기물을 간단하게 복합 소재로 만들어 경제적이면서도 친환경적인 수처리 기술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는 커피 찌꺼기를 표면처리 하거나 다른 자연소재를 탐색해 친환경적이면서도 성능이 높은 다양한 필터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수자원 처리 분야의 국제 학술지 '저널 오브 워터 프로세스 엔지니어링(Journal of Water Process Engineering)'(IF: 7.34, JCR 분야 상위 7.5%) 최신호에 온라인 게재됐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우리 댕댕이만 두고 갈 순 없잖아요"…'펫팸족' 수요 못따라가는 인프라[청춘보고서] - 아시아경
- "日 오염수 반대" 외치던 김남국, 추석에 도쿄서 포착 - 아시아경제
- "먹이고 재워줘" 명동성당 방화미수 20대… 성당은 "선처를"[서초동 법썰] - 아시아경제
- "학폭 논란에 친구들과 생기부 공유해요"…초중고 생기부 찾는 2030 - 아시아경제
- "'노스 코리아'라 부르지 말라" 불쾌감 드러낸 北, 우리 선수단은 '괴뢰'로 표기 - 아시아경제
- '스벅 기프티콘' 쓰려고 돈 더 안내도 된다…연말부터 차액 적립 - 아시아경제
- '성착취' 日 대형 기획사 쟈니스, 사명 변경…광고업계도 비상 - 아시아경제
- "처벌 못하는 거 알아" 촉법소년 2배 급증 1만6000명…"적용 연령 낮춰야" - 아시아경제
- 다른나라에도 '개천절'이 있을까…국가마다 서로다른 건국기념일 - 아시아경제
- [콕!건강]길었던 연휴 후 찾아오는 '명절증후군'…이렇게 예방하세요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