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화재배 AI와 함께하는 바둑 해설] 흑의 의도를 비틀다

2022. 11. 30. 00: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본선 32강전〉 ○ 박정환 9단 ● 커제 9단

장면 2

장면 ②=바둑이 자꾸만 추상화를 닮아간다. 우하의 형태는 이렇게 놔두는 게 정답일까. 가만 생각하면 정답은 누구도 모를 것이다. AI조차 딱 집어 권하는 수가 없다. ‘모르겠으면 손 빼라’는 격언이 있다. 커제는 그 격언을 실천하는 중일까. 흑1, 3은 AI 이후 정석화 된 수순이고 수습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데 백4에서 갑자기 손 빼고 5로 달려간 것은 또 무엇인가. 흑5의 의도를 간파한다면 그걸 적절히 비틀 수 있다.

참고도

◆참고도=흑의 의도는 패를 노리는 것이다. 백1로 응수하면 흑은 2, 4로 패를 건다. 정석은 흑4가 아니고 곱게 잇는 것이지만 지금은 우하 쪽에 팻감이 있으므로 패를 감행할 수 있다. 그렇다면 흑▲의 역할은 무엇인가. 패를 져서 이곳이 백 집으로 굳어질 때 흑▲와 백1의 교환은 흑의 이득이 되는 것이다. 고차원의 계산법이다.

실전진행

◆실전진행=박정환은 즉각 백1로 잡아버렸다. 흑2엔 백3의 못질. 한데 못질이라면 흑4 쪽이 더 값나가는 게 아닐까. 좌변 쪽이 모두 흑집이 되었기 때문이다. 심판관 AI 한테 물어보니 “아니다. 백이 좋다”고 한다. 백의 승률 60%.

박치문 바둑칼럼니스트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