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엔 차벽‧인터넷 차단…中 ‘백지 시위’ 원천 봉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정부가 제로 코로나 반대 '백지 시위'를 원천 봉쇄하고 나섰다.
도심 거리마다 경찰을 대거 투입해 사람들이 모이는 것을 막고 시위 소식을 접할 수 없도록 인터넷 여론도 차단하고 있다.
지난달 중국 공산당 20차 전국대표대회(당 대회) 전 '시진핑 파면' 현수막이 내걸렸던 베이징 쓰퉁차오 일대에서 진행될 예정이던 시위도 경찰의 삼엄한 경비 탓에 무산됐다고 한다.
봉쇄 반대 시위가 대대적으로 벌어진 이후에도 중국 관영 매체는 제로 코로나 성과 띄우기에 나섰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위 참가자에게 전화 걸어 “왜 갔나” 압박
中관영 매체는 “제로 코로나 우수” 선전
중국 정부가 제로 코로나 반대 ‘백지 시위’를 원천 봉쇄하고 나섰다. 도심 거리마다 경찰을 대거 투입해 사람들이 모이는 것을 막고 시위 소식을 접할 수 없도록 인터넷 여론도 차단하고 있다. 시위 참가자들에게는 일일이 전화를 걸어 심리적 압박감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29일 베이징 량마차오 거리에는 사람보다 경찰이 더 많았다. 이틀 전 수백 명의 시민들이 모여 “봉쇄를 해제하라” “PCR(유전자증폭) 검사 대신 자유를 달라”고 외치며 시위를 벌였던 장소라는 게 무색할 정도로 한산했다. 당국은 전날 밤 거리 조명을 모두 끄고 지나가는 사람들을 상대로 불시에 신분증 검사를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스마트폰에 트위터나 텔레그램 등 외국 소셜미디어(SNS)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했는지, 외국 SNS를 이용할 수 있는 가상사설망(VPN)을 깔았는지 등을 확인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당국이 시위 참가자들을 옥죄기 시작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량마차오 시위에 참석한 한 여성은 AFP통신에 “경찰이 내 친구 집으로 찾아가 량마허에 갔었는지 물었다”며 “어떻게 알고 시위 현장에 갔는지 사람은 얼마나 많았는지 등을 구체적으로 캐물었다”고 말했다. 지난달 중국 공산당 20차 전국대표대회(당 대회) 전 ‘시진핑 파면’ 현수막이 내걸렸던 베이징 쓰퉁차오 일대에서 진행될 예정이던 시위도 경찰의 삼엄한 경비 탓에 무산됐다고 한다. 백지 시위에 불을 당긴 상하이에는 우루무치 거리를 중심으로 차단벽이 설치됐고 후베이성 우한 일부 도로에는 차벽이 세워졌다.
봉쇄 반대 시위가 대대적으로 벌어진 이후에도 중국 관영 매체는 제로 코로나 성과 띄우기에 나섰다. 신화통신은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이 460만명의 생명을 구했다”고 주장한 영국 경제학자의 인터뷰 기사를 온라인 기사로 공유했다. 존 로스 전 런던시장 경제고문은 중국 매체 관찰자망 인터뷰에서 “중국의 코로나19 사망자는 5000명이 조금 넘고 미국에선 100만명 이상이 사망했다”며 “중국의 사망률이 미국과 같았다면 470만명이 숨졌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중국이 미국식 개방 정책을 폈다면 460만명의 중국인이 죽었을 수도 있다는 얘기”라며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이 이들의 생명을 구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서방에서 코로나19가 종식됐다는 건 터무니 없는 이야기”라며 “중국은 전염병 확산 상황에서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곳”이라고 말했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 벤투 감독 손길도 뿌리친 손흥민…논란 터진 이 장면
- 조규성 멀티골 화끈했지만…가나에 석패한 한국, 16강 ‘빨간불’
- 16강 가려면… 포르투갈 꺾고, 가나가 우루과이 못 잡아야
- 10대 제자 몰래 찍고 만지고… 또 쇼트트랙 코치 입건
- 백범 김구 증손녀와 태국 최대 재벌가 아들 결혼
- 초등생에 “남의 놀이터 오면 도둑”…입주자 대표 약식기소
- 태연도 당했다…2500억 사기 혐의 일당 검찰 송치
- “사망신고 못해요, 진짜 사라질까봐” 멈춘 유가족의 삶
- “숨진 고교생 형, 최근 현장실습 월급받고 기뻐했는데”
- 선관위 ‘자녀특혜’ 감사만 수용…감사원 “범위는 우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