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정권교체! 백지혁명으로 이어지나? 中 금융위기 우려…한국으로 전염? [한상춘의 지금 세계는]

정연국 기자 2022. 11. 29. 08:1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정연국 기자]
경제봉쇄로 시작된 시진핑 퇴진운동이 이제는 시진핑 교체운동으로 그 도를 넘어서고 있다는데요. 이에 따라 차이나 엑소더스와 차이나런 현상이 더 가속되면서 금융위기 우려가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그 어느 국가보다… 중국경제 의존도가 높은 우리 입장에서도 큰 충격이 우려되는데그래서 오늘은 이 내용을 알아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 나와 계십니다.

Q. 오늘도 미 증시는 중국 사태를 예의주시하는 분위기죠?

- 美 증시, 中 사태 주시…’3대 지수’ 하락

- 시진핑과 공산당 퇴진 운동, 어디까지 가나?

- 공급망 훼손과 글로벌 인플레, 재점화되나?

- 내일 브루킹스연구소에서 파월 연설 ‘주목’

- 中 사태에 대해 어떤 견해를 내놓을까?

- 바이든 정부, 中 사태 대해 신중한 자세 견지

- 월가, 10월 인플레 둔화 호재 희석될지 주목

Q. 코로나 사태에 따른 경제 봉쇄 조치로 시작된 “시진핑 물러가라” · “공산당 물러가라”는 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진핑 교체운동으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하죠?

- 시진핑 정부, 제로 코로나 목표 ‘경제 봉쇄’

- 경제 봉쇄 조치 반발, 잠복왔던 경제고통 폭발

- 발단, 신장 위구르의 우루무치 화재 사태 방치

- 중국 권력의 양대 축, 시진핑 영수와 공산당

- “시진핑은 물러가라” · “공산당은 물러가라”

- Regime Change!, 본격적인 정권교체 운동

- 백지혁명, 제3의 천안문 사태로 시진핑 교체?

Q. 문제는 시진핑 정부의 적극적인 진압정책에도 불구하고 그 운동이 중국 내부뿐만 아니라 세계 전역으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거죠?

- 시진핑 정부 진압 불구, 전 세계로 확산 움직임

- 상하이·베이징·우한에서 중국 전역으로 확산

- 런던·파리·샌프란시스코·홍콩·서울에서 동참

- 강력한 배후세력, 조기 진압 쉽지 않을 듯

- 反시진핑 세력 결집, 공산당 내부도 균열 조짐

- 시진핑의 견제당했던 빅테크 기업인들도 동참

- 바이든 정부의 대중 견제도 작용한 것 아닌가?

Q. 가장 우려되는 것은 이번에 중국 사태로 인해 글로벌 인플레가 다시 확산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점이죠?

- 올해 세계경제와 증시, 인플레와 지루한 싸움

- 70개국 이상 금리인상…57개국이 빅스텝 밟아

- FT와 무디스 “10월을 정점으로 인플레 둔화세”

- 주요국가, 10월을 정점으로 인플레 둔화 뚜렷

- 미국·독일·캐나다 등 선진국, 인플레 둔화세

- 브라질·멕시코 등 핵심 신흥국도 인플레 안정

- 시진핑 퇴진 사태로 글로벌 인플레 재점화되나?

Q. 중국 금융시장이 난기류에 빠지고 있는데요. 주가가 연일 하락하고 있는 가운데 위안화 가치가 폭락하지 않았습니까?

- 차이나 엑소더스·차이나런 현상 ‘갈수록 심화’

- 차이나 엑소더스, 中에 진출한 외국기업 이탈

- 차이나런 의미, “일단 중국을 벗어나고 보자”

- 中 주식도 위안화도 부동산도 버리자 ‘공동화’

- 위안화 가치, 역외와 역내 ‘모두 하락’

- 중국·홍콩 등 중화경제권 증시도 연일 하락

- 올해 4분기 성장률, 마이너스로 전락할 우려

Q. 시진핑과 공산당 퇴진운동이 전개되면서 일부 중국 국민들이 위안화를 공중에 뿌리기도 한다는데요. 어떻게 해석해볼 수 있을까요?

- 일부 중국 국민, 위안화를 공중에 뿌려 ‘주목’

- 오히려 최대 경제패권국인 美 달러화 사들여

- 시진핑, 위안화 국제화 과제 추진 ‘최우선 순위’

- 제3 시진핑과 공산당 저항 운동으로 예의주시

- ‘외교의 달인’ 바이든, 中의 아킬레스건 겨냥

- 中이 당면한 현안 중 최대 약점은 ‘신용경색’

- 달러 강세→ 中 내 외자이탈→ 신용경색 심화

- 금융위기와 제3 천안문 사태→ 시진핑 위기

Q. 상황이 이렇다보니, 시진핑 정부가 저항 세력과 기득권층을 함께 몰아내기 위해 화폐개혁을 추진할 것이라는 소문도 만만치 않게 확산되고 있지 않습니까?

- 1년 전 가상화폐 조치, 모디 조치와 ‘거의 동일’

- 모디 정부, 작년 2월 비트코인 사용 전면 금지

- ’부패의 온상’ 비트코인, 제2 모디 화폐개혁 평가

- “시진핑, 모디식 화폐개혁 추진할 것”이라는 소문

- 2016년 11월 9일을 기준으로 新舊 화폐 전격 교체

- 2016년 11월 30일 24시를 기준으로 구화폐 ‘휴지’

- 中, 화폐개혁 이후 리커노믹스에서 시지노믹스

Q. 문제는 우리나라인데요. 중국 사태가 악화됨에 따라 금융위기까지 우려될 뿐만 아니라 우리 경제에 전염될지 여부도 최대 관심사이지 않습니까?

- 文 정부, ‘安美經中…대중국 경제의존도 높아

- 韓 금융시장, 주가 떨어지고 환율 급등할 조짐

- 대중 수출의존도 25%, 내년 성장률 마이너스?

- 中 금융위기, 한국에 전염될지 ‘초미의 관심사’

- 3대 방호벽 구축, 1997년 외환위기 때와 달라

- 외환보유 확충·순채권국·다양한 환헤지 구축

- 원-위안화 간 동조화, 작년 ‘0.7’→ 올해 들어 ‘0.3’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 이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정연국 기자 ykjeong@wowtv.co.kr

Copyright © 한국경제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