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왕 거처한 강화 묘지사지서 대형 온돌 발견

이종길 2022. 11. 28. 11: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려가 몽골 침략에 맞서 수도를 강화도로 옮긴 뒤 사용했다고 추정되는 건물에서 대형 온돌을 설치한 흔적이 확인됐다.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는 고려 사찰 유적으로 판단되는 강화 묘지사지(묘지사 절터)에서 전통 난방 방식인 온돌을 사용한 흔적을 발견했다고 28일 전했다.

'고려사(高麗史)'에 따르면 강화 묘지사는 1264년 고려 원종이 마니산 참성단에서 초제(醮祭)를 지내기 전에 거처했던 사찰로 전해진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열기가 'ㄷ' 형태로 회전하면서 방 덥힌 뒤 빠져나가는 구조"

고려가 몽골 침략에 맞서 수도를 강화도로 옮긴 뒤 사용했다고 추정되는 건물에서 대형 온돌을 설치한 흔적이 확인됐다.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는 고려 사찰 유적으로 판단되는 강화 묘지사지(묘지사 절터)에서 전통 난방 방식인 온돌을 사용한 흔적을 발견했다고 28일 전했다. '고려사(高麗史)'에 따르면 강화 묘지사는 1264년 고려 원종이 마니산 참성단에서 초제(醮祭)를 지내기 전에 거처했던 사찰로 전해진다. 초제는 무속신앙이나 도교에서 별을 향해 지내는 제사다.

묘지사의 정확한 위치나 연력은 파악되지 않았다. 마니산 동쪽의 초피봉 남사면에 있었다고 추정될 뿐이다. 연구소는 이곳에서 축대를 쌓아 만든 평탄한 건물터를 조사했다. 그 결과 위쪽에서 동쪽 일부를 제외한 방 전체에 온돌이 깔린 흔적을 찾았다.

건물터 규모는 동서 너비 16.5m, 남북 길이 6.3m. 건물은 가로 다섯 칸, 세로 두 칸 크기로 추정된다. 방 양쪽에 온돌이 분리돼 설치된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소 측은 "아궁이를 통해 유입된 열기가 'ㄷ' 형태로 회전하면서 방을 덥힌 뒤 연기 구멍으로 빠져나가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온돌방에 설치된 고래둑(열기가 통과하는 통로)은 너비가 40∼60㎝다. 그 위에 얹어진 구들장은 길이가 70∼120㎝다. 지금까지 확인된 다른 온돌 시설물과 비교해 큰 편이다.

방 전체에 온돌을 설치한 시설은 고려 후기부터 등장했다고 여겨진다. 연구소 측은 "13세기 방 전체에 온돌을 설치한 '전면 온돌'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온돌 구조의 변천 과정을 이해하는 중요한 학술 근거가 될 것"이라고 했다. 연구소는 내년까지 묘지사 절터에 대한 조사를 이어간다. 하단 축대 부분도 조사해 사찰의 성격과 구조를 규명할 방침이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