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 대장께서 직접 출전” 류성룡 달력 日서 환수

나성원 2022. 11. 24. 12:2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임진왜란 당시 영의정에 오른 문신이자 '징비록'의 저자인 서애 류성룡(1542∼1607)이 쓴 것으로 보이는 달력이 일본에서 국내로 돌아왔다.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류성룡이 생전 썼던 것으로 추정되는 '유성룡비망기입대통력-경자(柳成龍備忘記入大統曆-庚子)'를 확인해 지난 9월 국내에 들여왔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대통력에는 이순신 장군의 전사 정황에 대한 내용이 쓰여 있어 사료적 가치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순신이 부하들의 만류에도
직접 부대 진두지휘 나선 정황 담겨
지난 9월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국내로 들여온 '유성룡비망기입대통력(경자)' 6월(왼쪽)과 7월 부분. 연합뉴스


임진왜란 당시 영의정에 오른 문신이자 ‘징비록’의 저자인 서애 류성룡(1542∼1607)이 쓴 것으로 보이는 달력이 일본에서 국내로 돌아왔다.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류성룡이 생전 썼던 것으로 추정되는 ‘유성룡비망기입대통력-경자(柳成龍備忘記入大統曆-庚子)’를 확인해 지난 9월 국내에 들여왔다고 24일 밝혔다.

관련 유물이 많지 않은 데다 충무공 이순신(1545∼1598)에 대한 내용도 담고 있어 주목된다.

‘대통력’은 오늘날의 달력에 해당하는 책이다. 책자 형태로 돼 있어 날짜 옆에 일정이나 개인적인 생각 등을 적는데 일종의 다이어리와 비슷했다.

이번에 돌아온 대통력은 경자년(1600년) 한 해의 기록을 담고 있다. 대통력은 국내에서도 남은 유물이 많지 않고 경자년 대통력이 나온 건 이번이 처음이다. 유물의 크기는 가로 20㎝, 세로 38㎝로 A4 종이보다 조금 길다.

책자에는 그날의 날씨, 약속, 병의 증상과 처방 등이 적혀 있다. 글이 적힌 날짜는 총 203일로 지금으로부터 422년 전의 일상이 기록돼 있다.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유성룡비망기입대통력-경자' 언론 공개회에서 대통력이 공개되고 있다. 연합뉴스


문화재청은 “기재된 필적, 주로 언급되는 인물, 사건 정보 등을 토대로 류성룡의 연대기가 기록된 ‘서애선생연보(西厓先生年譜)’ 등을 검토한 결과 그의 수택본(手澤本)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수택본은 소장자가 가까이 두고 자주 이용해 손때가 묻은 책을 뜻한다.

이번 대통력에는 이순신 장군의 전사 정황에 대한 내용이 쓰여 있어 사료적 가치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책의 표지에는 총 83자가 남아있는데 위아래가 일부 잘려져 있는 이 글을 해석하면 ‘여해(汝諧)’라는 이름과 함께 ‘전쟁하는 날에 직접 시석(矢石·화살과 돌)을 무릅쓰자 부장들이 진두지휘하는 것을 만류하며 말했다’고 적혀 있다.

여해는 이순신의 자(字), 즉 충무공을 부르는 또 다른 이름이다.

이어진 글은 “‘대장께서 스스로 가벼이 하시면 안 됩니다.’ (그러나 듣지 않고) 직접 출전해 전쟁을 독려하다 이윽고 날아온 탄환을 맞고 전사했다. 아아!”라고 해석된다.

부하 장수들이 이순신이 직접 진두지휘하는 것을 말리며 ‘대장께서 스스로 가벼이 하시면 안 됩니다’라고 말했다는 부분은 그간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내용이다.

대통력에는 이밖에도 술을 어떻게 담그고 익히는지 제조법을 적은 내용 등도 포함돼 있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고전학자인 노승석 여해고전연구소장에 자료 확인과 번역을 맡겼다. 약 두 달간의 내용 검토 끝에 이순신 장군 관련 기록 등이 확인됐고 재단은 세 차례의 평가위원회를 거쳐 유물을 확보했다. 유물 구입에는 복권기금을 활용했다.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향후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안전하게 보존 관리하면서 조선의 과학 문화재와 함께 류성룡 관련 원천 자료로서 연구·전시 등에 폭넓게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