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사역자의 물음에 답하다” 장신대 글로컬현장교육원 포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장신대(총장 김운용) 글로컬현장교육원이 청년사역자들을 위한 포럼을 마련하고 다음세대를 키우는 사역자들을 위해 힘을 보태고 있다.
박재필 장신대 교수는 23일 "학교 졸업생이나 재학생이 찾아와 호소하는 고민 중에 가장 큰 부분이 청년 사역에 대한 어려움이었다"며 "학교가 학생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기 위해 지속적으로 '청년사역자포럼'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장신대(총장 김운용) 글로컬현장교육원이 청년사역자들을 위한 포럼을 마련하고 다음세대를 키우는 사역자들을 위해 힘을 보태고 있다. 박재필 장신대 교수는 23일 “학교 졸업생이나 재학생이 찾아와 호소하는 고민 중에 가장 큰 부분이 청년 사역에 대한 어려움이었다”며 “학교가 학생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기 위해 지속적으로 ‘청년사역자포럼’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개최한 1차 포럼은 청년 사역의 현주소를 청년 사역자들의 목소리를 통해 듣는 시간이었다. 사역자들은 “청년 사역의 문제는 단순히 교회에 청년들이 모이지 않는다는 차원이 아니다. 청년들은 교회 행사에 동원이 되면서 희생과 헌신을 강요당한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기독 청년들이 모여도 개인적인 필요 해소에만 관심을 둘 뿐 사회적, 지구적 차원의 이슈에 대해서는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2차 포럼에서는 1차에서 제기된 문제에 대한 답을 찾으려 노력했다. 심성수 예능청년교회 목사는 교회 내 독립된 청년교회를 사례로 제시했다. 청년을 위한 복합문화공간을 운영하는 ‘이음’의 김효성 목사와 청년에게 저렴한 가격에 식사를 제공하는 ‘청년문간’ 이문수 신부는 청년들과 접점을 만드는 방법을 공유했다. 강아람 숭실대 교목실장도 대규모 채플 대신 소그룹 채플을 통해 비기독청년들을 만날 방안을 설명하면서 청년 사역자들이 학생들을 위한 멘토 역할을 해 달라고 요청했다.
박 교수는 “3차 포럼에서는 교회 밖에서 청년들을 만나 양육할 수 있는 실제적인 사역 콘텐츠를 제공할 것”이라며 “이 포럼이 청년 사역자들이 서로 교류하는 플랫폼 역할을 감당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을 부탁한다”고 말했다.
박용미 기자 mee@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 엄마의 고민 듣는 ‘엄마들 소모임’… “각자 소명 깨닫도록 머리 맞대죠” - 더미션
- 교회가 불편한 첫 아랍 월드컵 개최국을 향한 호소 - 더미션
- 기도하는 방법 배우려고 목회자 500명이 모였다? - 더미션
- “성탄트리 배달이요∼” 교회가 교회에 아름다운 나눔 - 더미션
- 주민 위해 개방한 교회 주차장 ‘불청객 몸살’… 해법 없나 - 더미션
- 신천지 주말 10만명 행사 강행 도마에 - 더미션
- ‘mRNA 백신’ 초고속 개발에 단초…“코로나19 엔데믹에 기여”
- 신유빈-전지희, 북한 넘고 21년 만의 AG 탁구 金
- 노벨 생리의학상 ‘코로나 백신 개발’ 커리코·와이스먼
- ‘창업자 성착취’ 쟈니스, 사명 바꾼다… 성폭력 피해 신고자만 325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