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지금]2020년11월로 돌아갔다…FTX 사태 '직격탄'

이정윤 2022. 11. 19. 14: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가격 1만6000달러대
2020년 11월로 돌아가
'공포'까지 회복했던 투자심리 '극도의 공포'로
[이미지 출처=로이터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이정윤 기자] 글로벌 3대 가상화폐 거래소 FTX가 유동성 위기로 인해 무너지면서 코인 시장을 이끄는 비트코인도 후폭풍에 시달리고 있다. 루나·테라 사태와 긴축 공포에 이어 FTX 붕괴까지 겹치면서 가격은 2020년 11월로 되돌아갔다.

19일 글로벌 가상화폐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50분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전날보다 1.10% 내린 1만6635달러(약 2234만원)로 집계됐다.

지난 5월 초까지만 해도 3만7000달러대를 유지하던 비트코인 가격은 루나·테라 사태에 기준금리 인상 기조까지 겹치면서 6월 중순에는 1만8000달러대까지 추락했다. 계속되는 금리 인상 여파에도 비트코인 가격은 1만8000달러대를 지지선으로 하며 2만달러대를 넘보기도 했다. 동조화를 보이는 미국 증시가 하락해도 안전자산이라는 인식이 전해지며 오히려 가격이 오르기도 했다.

하지만 FTX 붕괴로 인해 비트코인은 또다시 악재를 맞았다. 1만6000달러대로 가격이 하락하는 것에 더 나아가 코인 시장에 대한 신뢰 문제까지 번졌다.

이번 사태는 가상화폐 전문매체 코인데스크가 FTX 창업자 샘 뱅크먼-프리드가 설립한 가상자산 투자회사 알라메다 리서치의 불투명한 재무구조를 지적하면서 시작됐다. 그러자 세계 최대 거래소 바이낸스의 자오창펑 최고경영자(CEO)는 FTX가 발행한 코인인 FTT를 매각하겠다고 밝혔고 가격은 급락했다. FTT 가격이 급락하면서 FTX는 유동성 문제에 빠졌고 고객들이 자금 인출을 요구하는 뱅크런이 발생했다. 또 바이낸스가 FTX 인수 의사를 밝혔지만 하루 만에 철회하면서 위기는 걷잡을 수 없이 퍼졌다. 결국 FTX는 파산보호 신청을 했다.

FTX 사태의 후폭풍은 전체 코인 시장을 강타했다. 우선 가상화폐 대출업체도 유동성이 막히면서 타격을 받았다. 가상화폐 대출업체 블록파이는 직원 감원과 함께 파산보호 신청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가상화폐 대출 서비스 업체인 제네시스 트레이딩은 지난 16일 "전문 재무 고문과의 협의를 통해 신규 대출과 환매를 일시적으로 중단한다"고 밝혔다. 제네시스 트레이딩은 FTX 계좌에 1억7500만달러가 묶여있다고 밝힌 바 있으며 비정상적 인출 요청이 이어지면서 위기를 맞았다. 아울러 거래소 제미니에도 영향이 전해졌는데 코인을 예치하면 이자를 지급하는 제미니 언 이용자의 자금 상환이 중단됐다. 제네시스 트레이딩과 함께 서비스를 운영해왔는데 제네시스 트레이딩이 신규 대출을 중단하면서 이와 같은 조치를 내린 것으로 파악됐다.

월가에서는 세계 3대 가상화폐 거래소 중 하나인 코인베이스에 대해 신중하게 투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글로벌 은행인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코인베이스에 대해 FTX 사태에 대한 여파를 이유로 등급을 기존 '매수'에서 '중립'으로 하향했다.

[이미지 출처=로이터연합뉴스]

국내도 여파가 전해졌는데 거래소 고팍스는 '고파이 자유형 상품 출금 지연 안내'라는 제목의 공지사항을 통해 코인 예치 서비스인 고파이의 출금이 지연되고 있다고 밝혔다.

고파이 상품은 협력사인 제네시스 글로벌 캐피탈에 의해 제공되고 있는데 글로벌 캐피탈은 상환 요청 급증에 따라 신규 대여와 상환을 잠정적으로 중단했다. 제네시스 글로벌 캐피탈은 앞서 유동성 위기를 맞은 제네시스 트레이딩의 자회사다.

코인 가격이 내려가는 것에 더해 불신까지 커지자 투자심리는 급격히 얼어붙었다. 가상화폐 데이터 제공업체 얼터너티브에 따르면 이날 투자심리를 지수로 표시한 공포·탐욕 지수는 전날과 같은 23점(극도의 공포)으로 나타났다. 이달 6일 지수는 40점을 기록하며 공포 단계까지 상승했다. 그러나 이번 사태가 발생하면서 지수는 하락했고 지난 17일에는 20점(극도의 공포)까지 내렸다. 얼터너티브의 공포·탐욕 지수는 0점으로 갈수록 투자에 대해 비관하는 극도의 공포를 느끼고, 100점에 근접할수록 낙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정윤 기자 leejuyoo@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