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대 구매, 부탁하기도 눈치 보여요”…시각장애인의 생리 분투기
“생리대, 보이지 않아도 고를 수 있나요?” 국민일보 인턴기자들은 이 물음에서 출발해 ‘모두를 위한 생리’에 대해 이야기해보고 싶습니다.
싸늘하다. 아랫배가 조여온다. 이 기분은…. 혹시 생리일까? 오늘 생리대를 챙기고 나왔나 생각하며 가방을 뒤져보지만, 생리대를 찾을 수 없다. 급한 마음에 편의점에 들러 생리대를 사서 나온다.
이 글을 보고 공감한 당신. 당신은 비장애인 여성일 확률이 높다. 방금 설명한 장면은 여성 시각장애인은 쉬이 ‘도전’할 수 없는 모습이기 때문이다.
그간 여성 시각장애인들은 생리혈 위생 처리 제품(생리용품) 구매와 교육에 있어 어려움을 겪어왔다. 지난 수십 년간 가장 대표적 생리용품인 생리대에는 점자가 새겨지지 않았고, 여성 시각장애인들은 생리 교육을 충분히 받지 못했다.
국민일보가 인터뷰한 3명의 여성 시각장애인(40대 직장인 A씨, 20대 유튜버 허우령씨와 고수빈씨)은 서로 매우 다른 삶을 살고 있지만, 이들은 하나같이 “생리용품 구매는 쉽지 않고 생리 교육은 없다시피 했다”고 전했다. ‘월경권’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는 말이다.
월경권이란 월경, 즉 생리하는 모두가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건강한 월경을 겪을 권리를 말한다. 이에 더해 월경으로 인해 차별당하지 않을 권리와 월경과 관련된 정보·서비스 접근권도 포함된다.
지난 4일은 ‘점자의 날’이었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한글 점자가 반포된 1926년 11월 4일을 기념하는 날이다. 그럼에도 여전히 생활필수품에서도 점자를 찾아보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시각장애인들이 필수로 사용해야 하는 물품에 이들의 언어인 점자를 새기는 것은 시혜적인 ‘배려’가 아닌 이들의 당연한 ‘권리’다.
“(댓글을 통해) ‘시각장애인도 생리할 거라 생각 못 했다’는 말을 듣기도 했어요”
지난 10월 25일, 건국대학교 근처 한 카페에서 만난 시각장애인 유튜버 허우령씨는 유튜브 영상을 적극적으로 만든 계기가 무엇이냐는 기자의 물음에 이렇게 답했다.
허씨는 11일 기준으로 9만 8000여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브 채널 ‘우령의 유디오’를 운영하며 시각장애인으로서 세상을 살아가는 이야기를 담아내고 있다. 구독자 10만명이 넘으면 유튜브에서 수여하는 ‘실버버튼’을 ‘점자’로 받는 것이 꿈이다. 그는 1년 전부터 ‘여성 시각장애인의 생리’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처음엔 생리와 관련된 영상을 라디오 형식으로 만들었어요. (생리와 관련해) ‘이런 게 이럴 때 난감하다’는 이야기를 담았는데, 댓글에 ‘시각장애인도 생리할 거란 생각 자체를 못 했다’는 말이 나왔죠.”
허씨는 이런 반응은 생각보다 많은 사람이 해당 주제를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에 나왔다고 봤다.
실제로 허씨의 생리 관련 영상에 달린 댓글엔 해당 주제에 대해 생각해보지 못했다는 반응이 많다. 더불어 타인의 도움으로 구매하라는 등 직접 사는 대신 다른 경로를 택하라는 반응이 많이 보였다.
“가족분들한테 부탁해서 구매하는 건 어때요?”
“쿠팡에서 다 구매 가능하니 밖에서 고생하지 마시고 쿠팡 한번 이용해 보세요.”
하지만 시각장애인에게도 주체적으로 생리용품을 고르고 구매할 권리가 있다. 또 당연한 말이지만, 여성 시각장애인도 ‘생리’에 대해 비장애인과 다름없는 고민을 한다.
40대 직장인 A씨에게 다른 시각장애 여성들과 ‘생리’에 대해 주로 어떤 이야기를 하느냐고 물었다. A씨는 “서로 생리용품을 권하거나 다양한 생리용품에 대해 (일반적인) 이야기를 하는 것 같다. 보통 ‘(생리 주기가) 불규칙적이니까 미리 준비해야 해’라고 말한다”고 전했다.
20대 유튜버 고수빈씨 역시 “그냥 (생리하는) 여자로서의 불편함, 생리통 등을 말한다”며 “수업 듣는데 생리 때문에 집중이 안 된다. 이런 내용을 주로 이야기한다”고 했다.
이들은 시각장애인으로서, 비장애인보다 생리가 더 힘든 부분에 관해서도 이야기했다. 허씨는 “(생리할 것 같으면 생리대가) 아깝지만 미리 착용한다. 날짜 계산을 잘못해서 나흘이나 생리대를 버린 적도 있지만, 미리 하고 있는 게 안전하다”고 말했다. A씨는 “생리가 불규칙적일 때는 어딜 가나 늘 신경을 써야 한다. 특히 많은 사람을 대하는 일을 하기 때문에, 더 신경 쓰고 대비를 많이 해놔야 한다”고 토로했다.
이런 어려움은 여성 시각장애인들이 질 분비물과 생리혈을 쉽게 구별할 수 없다는 데에서 기인한다. 냉은 투명하고 생리혈은 붉기 때문에 ‘색깔’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만, 시각장애가 있는 경우 이를 구분하기 어렵다.
매달 생리용품을 사는 것 역시 시각장애인 여성에겐 어려운 일이다.
“오프라인에서 혼자서 구매하는 것 자체가 어려운 것 같아요. 애초에 편의점이든 마트든 찾아가는 과정 자체도 어려운데, 그럼에도 찾아갈 때가 있어요. 그럼 직원들에게 양해를 구하고 ‘이거 있나요’하고 물어봐요. 남성 직원분들이 계실 때 도시락이나 음식 같은 것은 물어볼 수 있는데, 여성용품 같은 경우는 이분들도 어려워하시지 않나 싶어요. 이게 부끄러운 건 아니지만 한창 10대 때에는 말을 못 했던 것 같아요.”
허씨는 이같이 생리대 구매의 어려움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허씨는 “최근에도 (생리대가) 필요해서 편의점에 갔는데, 무인 매장이어서 도움을 못 받았다”고 했다. 타인의 도움 없이 혼자 오프라인 매장에서 생리대를 구매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고씨는 오프라인 매장의 경우 혼자 가기가 굉장히 어렵다며 “생리하는 것 자체는 부끄러운 일이 아니지만, 어쨌든 누군가한테 부탁해야 하기 때문에 눈치가 보인다”고 말했다. 그래서 그는 혼자 생리용품을 사러 가지 않는다고 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생리대를 ‘고르는 게’ 쉽지 않다. A씨는 주로 주변인의 권유나 먼저 써본 사람의 후기를 듣고 생리대를 선택한다고 한다. 그는 “(판매) 직원들이나 주위에 경험자가 있으면 정보를 듣고 샀던 것 같다”며 쉽지 않은 생리대 구매기를 전했다.
어찌어찌 구매한 생리용품, 이제 어떻게 쓰면 될까? 비시각장애인 여성은 생리 양과 상황에 맞춰 그때그때 적절한 생리용품을 찾아 골라 쓴다.
사실 시각장애인의 ‘진짜 어려움’은 여기서부터 시작된다. 제삼자의 도움을 받는다면 구매까지야 할 수 있지만, 생리용품을 사용할 때마다 주변인에게 중형인지 대형인지 구별해달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이들은 주로 생리대를 신중히 만져보며 크기를 가늠한다. 만져서도 크기 가늠이 쉽지 않을 때는 생리대를 뜯어가며 살펴보기도 한다.
크기 말고도 구별하기 어려운 건 또 있다. 지난 30년간 생리대를 사용해온 A씨는 여전히 날개형 생리대와 일반형 생리대의 구분이 어렵다고 말한다. 그는 날개형을 일반형인 줄 알고 뜯었다가 날개가 붙어버려 생리대를 제대로 쓰기 어려웠던 적이 한두 번이 아니라고 전했다.
탐폰의 경우, 이마저도 통하지 않을 때가 많다. 탐폰은 질 내부에 흡수체를 삽입해서 사용하는 생리용품 중 하나다. 질 내부에 삽입해서 사용하는 탐폰의 특성상, 압축된 형태로 플라스틱 포장이 되어 있어 크기 구별이 쉽지 않다.
허씨는 “생리대는 그나마 만지면 사이즈 관련 구별이라도 할 수 있는데 (탐폰은) 봉지에 들어 있어서 전혀 모른다. 탐폰은 충분히 상자에 점자를 표기할 수 있을 것 같은데”라면서 점자 표기 부재에 대해 아쉬움을 드러냈다.
김은초, 류동환, 박성영, 서지영, 이지민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여성 몸에 불지르고 도주한 40대, 하루 만에 숨진 채 발견
- 용산서 정보계장 사망 전날 동료에게 “다음엔 좋은 모습으로…”
-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여성 몸에 불을…40대 男, 도주
- 생리대가 안 보여요… 이 많은 것 중 읽을 수 있는 건 한 개도 없다
- “살고 싶구나”… 두 눈 빠진 채 사료먹던 페키니즈의 사연 [개st하우스]
- ‘도·개·걸·윷·모!’ 국민 윷놀이, 무형문화재 됐다
- 화성 어린이집서 9개월 아이 사망…얼굴에 베개 올려놔
- 尹, 동남아 정상외교 돌입…옷 갈아입은 김 여사
- “연봉 1억6000만원 이하면 ‘돈’으로 ‘행복’ 살 수 있다”
- “네 관을 에스코트하던 경찰이 이태원 골목에 있었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