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러시아 가속…'1월 크리스마스'였던 우크라 "올해는 12월 25일"

이지영 2022. 11. 12. 15: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전통 복장을 한 시민들이 1월 7일 성탄절을 기념하는 모습. EPA=연합뉴스


우크라이나 정교회가 기존 1월 7일이었던 성탄절을 12월 25일에 기념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탈러시아 행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영국 일간 가디언 보도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정교회의 키이우 교구는 지난달 개최한 교회 회의(시노드·Synod)에서 각 교구가 원한다면 1월 7일이 아니라 12월 25일 성탄절 예배를 진행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은 우크라이나 전역의 약 7000개 교회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키이우 총대주교청의 예브스트라티 조리아 대주교는 강제적 성격을 띤 것은 아니라면서 우선 내달 25일 얼마나 많은 신자가 예배에 참석하는지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우크라이나 정교회는 러시아 정교회와 함께 개신교, 가톨릭의 성탄절보다 13일 늦은 1월 7일을 성탄절로 기념해왔다.

이는 현재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그레고리력’이 아닌 고대 로마 황제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제정한 ‘율리우스력’을 따른 결과다. 러시아 정교회는 이 율리우스력으로 날짜를 헤아린다.

그레고리력은 교황 그레고리우스 13세가 1582년 기존에 쓰이던 율리우스력의 역법상 오차를 수정해서 공포한 것으로 오늘날 거의 모든 나라에서 사용하는 태양력이 그것이다.

가디언은 지난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우크라이나에서 탈러시아의 일환으로 율리우스력에서 벗어나 성탄절을 12월 25일로 앞당기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고 밝혔다.

러시아 정교회 수장인 키릴 모스크바 총대주교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우크라이나 전쟁을 지지한다는 점도 이러한 흐름에 불을 지폈다.

러시아 정부는 사회주의 혁명 이듬해인 지난 1918년 기존에 사용하던 율리우스력 대신 대다수 유럽 국가들이 사용하는 그레고리력을 채택했다. 하지만 러시아 정교회는 율리우스력을 고수해 오고 있다.

조리아 대주교는 전쟁 이전에도 전체 교구민의 3분의 1이 1월 7일이 아닌 서방에서처럼 12월 25일에 성탄절을 기념하고 싶어했지만 지금은 그 수가 더 늘어났다고 밝혔다.

이 밖에도 우크라이나에서는 러시아의 흔적을 지우려는 움직임이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옛 소련 창건자인 블라디미르 레닌의 동상은 하나씩 철거되기 시작했고 우크라이나 문화부는 톨스토이, 푸시킨 등 러시아 문학가의 이름을 딴 거리와 기념물을 어떻게 처리할지 고심하는 상황이라고 가디언은 전했다.

이지영 기자 lee.jiyoung2@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