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에 널린 ‘이 식물’ 코로나 감염 막는다

이해림 헬스조선 기자 2022. 11. 10. 14:4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반도 자생식물인 벌개미취와 더덕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소속 생명과학 연구클러스터 이창준 소장 연구팀은 벌개미취에 함유된 '아스터사포닌 I'과 더덕에 함유된 '란세마사이드 A 사포닌'이 코로나바이러스의 인체 감염을 억제하는 과정을 규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반도 자생 식물인 벌개미취와 더덕에 든 사포닌 성분이 코로나바이러스의 인체 세포 침투를 억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한반도 자생식물인 벌개미취와 더덕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벌개미취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식물로 한반도에서만 자란다. 더덕은 도라지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많이 재배하는 다년생 덩굴식물이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소속 생명과학 연구클러스터 이창준 소장 연구팀은 벌개미취에 함유된 ‘아스터사포닌 I’과 더덕에 함유된 ‘란세마사이드 A 사포닌’이 코로나바이러스의 인체 감염을 억제하는 과정을 규명했다. 경희대학교 약학대학교 장대식 교수와 한국 파스퇴르 연구소 김승택 박사 연구팀이 공동 참여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자신의 외피를 인체 세포의 세포막에 융합시킨 후 세포 속으로 바이러스 유전물질인 게놈 RNA를 들여보냄으로써 인체 세포에 침투한다. 아스터사포닌 I과 란세마사이드 A 사포닌은 코로나바이러스의 외피가 세포막에 융합하는 과정을 막아서 감염 경로를 차단한다.

이를 가능케 한 건 아스터사포닌 I과 란세마이드 A 사포닌의 '형태'다. 이들은 세포막을 구성하는 주요 물질인 콜레스테롤과 분자구조가 흡사하고, 한쪽 가장자리에 당이 길게 붙어 있다. 세포막이 콜레스테롤과 유사한 이들 사포닌의 중앙부를 세포막 안으로 받아들이면 가장자리에 붙어 있는 당들이 세포막 바깥으로 돌출된다. 이 튀어나온 부분이 코로나바이러스의 외피가 세포막에 융합되지 못하게 막는다.

IBS 이창준 소장은 “벌개미취와 더덕을 섭취하면 상기도의 상피세포가 고농도의 아스터사포닌 I과 란세마이드 A 사포닌에 노출된다”며 “무증상환자나 감염 초기 환자의 증상 악화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 아스터사포닌 I과 란세마이드 A 사포닌은 초기 코로나바이러스뿐만 아니라 알파, 베타, 감마, 델타, 오미크론 등 변이 바이러스의 감염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실험은 세포 단계에서 이뤄졌지만, 연구팀은 동물 실험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올 경우 임상시험까지도 가능하리라 전망하고 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항바이러스 연구(Antiviral Research)’의 10월 온라인판과 ‘항균제 및 화학요법(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11월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