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금융톡]3연속 불명예 퇴진…BNK 새 회장, 내부냐 외부냐
[아시아경제 유제훈 기자] ‘자녀 특혜 의혹’으로 김지완 BNK금융지주 회장이 사퇴 의사를 밝힌 가운데, 이사회가 외부 인사도 최고경영자 후보에 추천할 수 있도록 경영승계 관련 규정을 수정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 국정감사에서 여권을 중심으로 김 회장에 대한 의혹 제기와 함께 내부 인사를 중심으로 한 기존 경영승계 과정에 ‘폐쇄성’이 지적돼 온 만큼 또다시 외풍(外風)이 부는 것이 아니냔 우려도 나오고 있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BNK금융지주는 지난 4일 서울에서 이사회를 열어 최고경영자 후보자 추천 및 경영승계 절차 규정을 수정했다. ‘대표이사 회장이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거나 그룹 평판 리스크를 악화시키는 등의 이유로 외부 영입이 필요하다고 이사회에서 인정하는 경우 외부인사, 퇴임 임원 등을 제한적으로 후보군에 추가할 수 있다’는 규정을 없애고, ‘외부 인사를 외부 전문기관의 추천을 받아 회장 후보에 올릴 수 있다’는 내용을 추가한 것이다.
BNK금융지주의 경영승계 규정은 독특한 구석이 있었다. BNK금융지주 이사회가 지난 2018년 지주 사내이사, 업무 집행책임자(사장 이상), 계열사 대표 중에서 내부 승계로 회장직을 선임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경영승계 관련 규정을 신설하면서다. 국내 5대 금융지주(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를 비롯한 국내 금융지주회사 중 이처럼 회장직을 내부에서만 승계토록 하는 규정을 가진 곳은 BNK금융지주가 유일했다.
이런 경영승계 규정은 조직 안정화란 강점도 있지만, 특정 세력의 ‘알박기’ 시도가 아니냔 비판도 적지 않았다. 부국증권, 현대증권, 하나대투증권(현 하나증권) 사장을 역임한 ‘증권맨’인 김 회장은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부산상고 동문으로 문재인 전 대통령의 대선후보 캠프에서도 경제고문역을 맡은 바 있다. 그는 지난 2012년 하나금융지주 부회장직을 마지막으로 현업을 떠났다가 19대 대통령 선거 이후인 2017년 BNK금융지주 회장으로 복귀했다.
지난 국정감사에서도 관련한 지적이 쏟아졌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은 당시 질의를 통해 "김 회장 본인도 외부 추천으로 지난 2017년 지주 회장이 됐는데, 이듬해 외부인사 추천을 하지 못하도록 내부 규정을 제한했다"면서 "본인이 임명한 계열사 대표를 제외하고는 지주 회장을 내지 못하도록 원천봉쇄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다른 금융지주와 임원 임명 절차에서 차이가 있는 것은 맞다"라면서 검사를 시사하기도 했다.
업계선 이처럼 자녀 특혜 의혹 등에 대한 검사 및 압박이 이어지며 김 회장이 사퇴를 결심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로써 BNK금융지주는 초대 이장호 회장, 2대 성세환 회장에 이어 3연속 중도 하차란 멍에를 안게 됐다. 이 전 회장은 측근 경영과 장기집권 등으로 당국의 압력을 받다가, 성 전 회장은 자사주 시세조종 혐의 등으로 조사를 받다가 각각 사퇴한 바 있다. 내부 출신 인사들의 불명예 퇴진으로 외부 출신 인사가 기용됐지만, 또다시 불명예 퇴진이란 성적표를 받게 된 셈이다.
규정이 개정된 만큼 일단 금융권의 이목은 새 회장 후보군으로 쏠리고 있다. 일단 내부 출신, 계열사 대표 9인 중에선 안감찬 BNK 부산은행장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회사 내부 사정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김 회장과 가깝고, 유력하다 할 만한 다른 내부 후보군도 있긴 하지만 해당 계열사가 자녀 특혜 의혹 등과 관련해 감독 당국의 검사를 받는 상황이어서 리스크가 크단 평가"라며 "안 행장은 취임 후 실적도 좋았던데다, 기존 최고경영진과 각을 세워온 만큼 큰 무리는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외부 출신 인사론 박영빈 건설공제조합 이사장(전 경남은행장), 손교덕 전 경남은행장, 빈대인 전 부산은행장, 안효준 전 BNK투자증권 대표이사 등 전직 임원들이 하마평에 오르고 있는 가운데 이팔성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 등도 거론된다. 업권에선 김 회장의 사의 표명으로 혼란스러워진 조직을 다잡기 위해 명망 있는 금융권 인사가 추가로 후보군에 오를 수 있단 관측도 내놓고 있다.
다만 외부 출신 인사 기용설과 관련해선 회의적 시선도 만만찮다. BNK부산은행 노동조합, 지역 시민단체도 ‘낙하산’ 인사는 안 된다며 견제구를 던지고 있다. 지역 금융권 관계자는 "지금은 관치에 대한 금융권 전반의 인식이 이른바 ‘4대 천왕’을 요직에 꽂아 넣던 10여년 전과 크게 달라졌고, 여론 조사상 여당·대통령의 국정 지지도도 높지 않은 수준이어서 외부 인사의 동력이 그렇게 클지는 모르겠다"고 전했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결혼해도 물장사할거야?"…카페하는 여친에 비수꽂은 남친 어머니 - 아시아경제
- "37억 신혼집 해줬는데 불륜에 공금 유용"…트리플스타 전 부인 폭로 - 아시아경제
- 방시혁·민희진, 중국 쇼핑몰서 포착…"극적으로 화해한 줄" - 아시아경제
- 연봉 6000만원·주 4일 근무…파격 조건 제시한 '이 회사' - 아시아경제
- "고3 제자와 외도안했다"는 아내…꽁초까지 주워 DNA 검사한 남편 - 아시아경제
- "너희 말대로 왔으니 돈 뽑아줘"…병원침대 누워 은행 간 노인 - 아시아경제
- "빗자루 탄 마녀 정말 하늘 난다"…역대급 핼러윈 분장에 감탄 연발 - 아시아경제
- 이혼 김민재, 재산 분할만 80억?…얼마나 벌었길래 - 아시아경제
- "전 물만 먹어도 돼요"…아픈 엄마에 몰래 급식 가져다 준 12살 아들 - 아시아경제
- 엉덩이 드러낸 채 "뽑아주세요"…이해불가 日 선거문화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