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 전 경찰 "위험 예방·제거는 경찰 본연의 업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와 경찰이 '주최자 없는 행사의 안전관리 매뉴얼'이 없다는 핑계를 대며 이태원 참사 책임을 회피하는 가운데, 경찰이 8년 전 세월호 참사 직후엔 "위험 예방·제거는 경찰 본연의 업무"라고 강조한 사실이 드러났다.
'다중운집행사 안전관리'는 경찰 본연의 임무 중 하나로 제시됐다.
연구소는 "경찰 본연의 임무 중에서도 안전 사고 예방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것들이 많다"면서 그 대표적인 예로 '다중운집행사 안전관리'를 제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선대식 기자]
▲ '이태원 참사' 서울경찰청 등 압수수색 '이태원 참사' 부실 대응을 수사하는 경찰 특별수사본부가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 용산구청 등에 대해 강제수사에 착수한 2일 오후 종로구 서울경찰청 입구 모습. |
ⓒ 연합뉴스 |
경찰청 산하 조직인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는 지난 2014년 12월에 발간한 <치안전망 2015>에서 경찰의 재해·재난 관리를 강조했다. 이는 그해 발생한 세월호 참사의 영향으로 국민의 안전 욕구가 크게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치안정책연구소는 <치안전망 2015>에서 분야별 치안전망의 앞머리에 꾸민 '특집 : 재해·재난 관리'에서 "안전은 경찰에 있어서도 가장 큰 화두가 되었으며,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경찰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는 2015년 경찰이 풀어야 할 가장 크고 시급한 과제"라고 밝혔다.
연구소는 '경찰 본연의 임무인 위험의 예방과 제거'라는 소제목 아래 "위험방지는 원래부터 경찰의 고유한 업무 중 하나였다. 18세기 유럽에서 근대적인 경찰의 모습이 나타난 이후에도 경찰의 임무는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 및 위험방지'로 개념화되었을 만큼, 위험 방지는 경찰 본연의 임무에 속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경찰관 직무집행법」 및 「경찰법」의 주요 조항을 보면,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의 보호'가 경찰의 직무범위에 포함되어 있음은 물론, '위험예방과 제지'의 의무가 여러 곳에서 규정되어 있다"라고 강조했다.
연구소는 "재해·재난의 위험신호를 사전에 포착하고,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경찰의 기본업무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국민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늘 국민에게 다가갈 수 있는 보호기관으로서 경찰이 이러한 임무를 수행함은 당연한다고 할 것이다"라고 전했다.
'다중운집행사 안전관리'를 언급한 부분도 눈에 띈다. 연구소는 "경찰 본연의 임무 중에서도 안전 사고 예방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것들이 많다"면서 그 대표적인 예로 '다중운집행사 안전관리'를 제시했다.
연구소의 이 같은 설명을 감안하면, 지난달 31일 대통령실 관계자가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을 두둔하면서 "현재 경찰은 집회나 시위와 같은 상황이 아니면 일반 국민들을 통제할 법적 제도적 권한은 없다"고 말한 내용은 사실과 다른 셈이다(관련기사 : 대통령실도 이상민 방어 "현재 권한으론 대응 어렵다는 취지http://omn.kr/21ez1).
▲ 치안정책연구소가 2014년 12월 발간한 <치안전망 2015> 표지. |
ⓒ 치안정책연구소 |
이 같은 문제 또한 <치안전망 2015>에서 이미 다뤄진 것이다. 연구소는 여기서 경찰의 예방적이고 신속한 대응을 강조했다.
연구소는 '큰 사고는 그 이전에 반드시 경미한 사고들이 반복되는 과정 속에서 발생한다'는 내용의 하인리히 법칙을 거론하면서 "(하인리히 법칙은) 징후가 있음에도 이를 무시하고 방치하면 돌이킬 수 없는 대형사고로 번질 수 있다는 것을 경고한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경찰은 안전과 관련된 문제점을 찾아낼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은 조직이다", "경찰은 2015년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사회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예방하기 위해 노력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도 했다.
연구소는 <치안전망 2015> 말미에 초기 대응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2014년 가장 많이 회자된 말 중에 하나가 '골든타임'이라는 말이다. 재난발생 시 적절한 초기 대응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이다. 최초 현장 도착 시 초기대응이 미숙하면 결과적으로 재난대응은 실패로 돌아간다는 것을 전 국민이 목격했다. 거의 모든 재난발생에 있어 경찰은 제일 먼저 현장에 도착하는 첫 번째 응답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신속한 현장판단과 상황보고가 향후 대응방향을 결정하게 되고, 때로는 경찰단계의 대응이 처음이자 마지막 대응기회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경찰은 필연적으로 가장 중요한 위기 대응기관이 될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초등 1학년 딸이 학교에서 '압사 예방법'을 배워왔다
- 이상민, 중대본회의 대신 대통령 '조문 보좌' 논란
- 꼿꼿했던 허리 숙여진 날, 윤석열 정부의 '입' 타임라인
- 힌남노 회의가 이태원 참사 회의로 둔갑? YTN 영상 논란
- '거물' 아소 다로의 격에 맞지 않는 방한... 왜?
- '사망자'에서 '희생자'로... 분향소 이름 바꿔 쓴 안양시
- '경찰청 문건'에, 시민단체 "접촉한 것처럼 거짓보고서 작성"
- 재외국민 유족의 절규, "정부·지자체·경찰 왜 말이 다른가"
- "국민 생명 보호 위해 경찰청장 지휘" 강조했던 이상민, 지금은?
- 이태원 참사, 누가 정치적으로 이용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