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 전 요청” vs “이후”…‘이태원역 무정차’ 진실공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태원 참사 당일 10만명이 넘는 인파가 몰렸음에도 지하철역 무정차 조치가 이뤄지지 않은 점을 두고 경찰과 서울교통공사(서교공)가 진실공방을 벌이고 있다.
경찰은 사고 전부터 서울 지하철 6호선 이태원역의 무정차 통과를 요청했으나 서교공이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당일 조치 두고도 엇갈린 주장…‘무정차 요청’ 시점 1시간30분 이상 차이
이태원 참사 당일 10만명이 넘는 인파가 몰렸음에도 지하철역 무정차 조치가 이뤄지지 않은 점을 두고 경찰과 서울교통공사(서교공)가 진실공방을 벌이고 있다. 경찰은 사고 전부터 서울 지하철 6호선 이태원역의 무정차 통과를 요청했으나 서교공이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반면 서교공 측은 압사 사고 후에야 요청이 있었다는 입장이다.
1일 경찰과 서교공에 따르면 서울 용산경찰서 112상황실장은 지난달 29일 사고 발생 37분 전인 오후 9시38분쯤 이태원역장과 전화통화를 했다.
서울경찰청은 이 통화에서 용산서 상황실장이 서교공 측에 용산역 무정차 통과를 요청했지만, 서교공 측이 “승하차 인원이 예년과 차이가 없다며 정상 운영한 사실이 있다”고 지난 29일 주장한 바 있다.
서울경찰청에 따르면 앞서 지난달 26일 열린 관계기관 간담회 때도 용산서는 서교공에 다중인파 운집시 이태원역 무정차 통과를 적극 검토해 줄 것을 요청했고, 서교공 측은 “그간 핼러윈 때 이태원역을 무정차 운행한 사례는 없으나 필요시 현장에서 판단해 조치하겠다”고 답변했다고 전해졌다.
그러나 서교공 측의 설명은 다르다. 서교공 관계자는 “관계기관 간담회 당시 경찰은 ‘무정차 통과는 어떻게 해요’라는 취지의 말을 했을 뿐 요청을 한 것은 아니다”면서 “‘정식공문 보내시면 협의해서 한다’고 답변했고 (이후) 요청은 전혀 없었다”고 반박했다.
사건 당일 이뤄졌다는 전화 통화에 대한 입장도 다르다. 서교공 측은 당일날 역 유선전화로 걸려온 정식 요청 전화는 오후 11시11분이었다고 주장했다. 이는 10시38분이었다는 경찰 주장과는 1시간30분 이상 차이가 난다. 서교공 측은 “우리 역장이 파출소장한테 내부 승객이 많으니 외부에서 좀 통제해 달라고 먼저 요청했고 그쪽에서 알겠다고 답변했다”고 전했다.
9시 38분에 이뤄진 통화에서 주고받은 내용에 대해서도 “역사 내 혼잡하니 외부 출구를 막아달라”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경찰은 서교공의 이 같은 반박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 오후 9시38분쯤 서울교통공사 관계자가 112실장에게 전화를 했으나 끊어지고 112실장이 즉시 역발신해 1분17초간 통화해 무정차 요청을 했다”고 재반박하며 휴대전화 발신 목록을 공개했다.
결과적으로 사고 당일 이태원역 무정차 조치는 이뤄지지 않았다. 6호선 열차는 계속 인파를 실어 날랐고 오후 10시15분 최초 신고를 시작으로 압사 참사는 벌어졌다.
양측이 다른 주장을 펴면서 진실공방을 벌이는 것은 서로에게 채임을 미루려는 행태로 보인다. 사건 당일 지하철역 무정자 조치가 있었다면 혼란이 줄었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지하철 무정차 운행은 인파가 몰린 지역의 인근 역에 서지 않고 통과하는 것으로 통행의 원활한 흐름과 안전 등을 위해 시행되는 것으로 세계불꽃축제나 촛불집회 등에서 이뤄진 바 있다.
한편 경찰은 이날 오전 진행된 정부 합동브리핑에서도 사고 발생 37분 전에 무정차 요청을 했다고 주장했다.
황창선 경찰청 치안상황관리관은 “경찰은 사건 발생 전인 오후 9시38분과 발생 직후인 오후 11시11분, 총 두 차례 무정차 통과를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황 관리관은 “당시 용산경찰서 112상황실장은 이태원역 부근에서 상황 관리를 하고 있어 사무실에 없었다. 오후 11시11분쯤 한 통화는 상황실 요원이 사무실에서 이태원역사 직원에게 전화해 2차로 무정차 통과 요청을 한 것”이라며 “경찰은 사건 발생 전과 직후 두 차례, 1번은 휴대전화로 1번은 사무실 유선전화로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이주연 인턴기자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형사고 날 것 같은데”…이태원 참사 당일 신고 녹취록 공개
- “살아있는 게 기적”…멕시코 학생이 전한 그날의 참상
- 마네킹 세워 이태원 참사 분석한 日방송…“포인트는 각도”[영상]
- 이태원 참사 루머에 유아인 측 “29일 해외 출국” 해명
- ‘탄광 속 카나리아’ 있었는데…참사 4시간 전부터 112신고
- “야 밀어!” 지목된 토끼머리띠 男의 해명 “나 아냐”
- 숨진 美대학생, 연방 하원의원 조카였다…“가슴 무너져”
- 다리 전체 피멍…“압박 이정도” 이태원 생존자의 사진
- “못 지켜줘 미안해”… 시간 멈춘 이태원역 1번 출구 [포착]
- ‘살려줘’ 문자에 이태원 달려간 아빠… “딸 업고 1㎞ 뛰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