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내리면 숨 고르기부터” 일상이 된 과밀

이소연 2022. 11. 1. 14:5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지하철 9호선에 사람들이 몸을 밀어넣어 가까스로 탑승하고 있다.    사진=이소연 기자 

“중앙보훈병원행 급행열차, 급행열차가 도착합니다” 서울 지하철 9호선 급행열차 기점 김포공항역. 백팩은 앞으로 메고, 스마트폰은 한 손에 쥔다. 열차 문이 열리자 달리기가 시작된다. 빈 좌석을 놓치면 그 앞에라도 서 있어야 한다. 문이 열리는 쪽에 자리 잡으면 고달파진다. 주머니에서 스마트폰을 꺼낼 수 없을 정도로 몸을 옴짝달싹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문 쪽 공간에 서 있던 사람들은 어떻게든 좌석 앞 통로로 몸을 튼다. 노량진역에 도착하자 좌석 앞 통로에는 사람들이 4줄로 늘어섰다. 더 탈 공간이 없어 보이지만 한 남성은 익숙한 듯 등으로 사람들을 밀며 열차에 올랐다.

2300만 인구가 모여 사는 수도권. 과밀은 일상이 됐다. 서울 용산구 이태원 참사 이후 다수의 인원이 좁은 공간에 밀집하는 상황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일 오전 7시20분 경기 김포시 김포골드라인 장기역에서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역으로 향하는 열차에 탑승했다. 김포골드라인은 김포시 구래동과 김포공항을 오가는 2량짜리 경전철이다. 50만명에 육박하는 김포시민을 서울과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수단이다. 열차의 정원은 172명이지만 출퇴근 시간대에는 300~400명의 시민이 탑승한다. 김포시에 따르면 1일 기준 출근 시간대 평균 혼잡률은 230%다.

열차가 걸포북변역을 지나자 이미 포화상태였다. 주변 사람과 어깨가 밀착되기 시작했다. 종점인 김포공항역까지는 사우, 풍무, 고촌 등 3역을 더 거쳐야 했다. 풍무역에서 승객들이 탑승을 시작하자 여기저기서 ‘악!’ 소리가 들렸다. 불안한 듯 주변을 둘러보는 승객도 있었다. 한 여성은 “이러다 사람 다치겠다”라고 혼잣말을 했다. 김포공항에 열차가 도착하자 지친 듯 플랫폼 의자에 앉는 여성도 눈에 띄었다.

9호선 급행열차의 사정도 비슷했다. 지옥철로 불리며 악명 높았던 9호선. 기존 4량에서 6량으로 증량됐으나 혼잡은 여전했다. 지난해 기준, 노량진→동작 구간 혼잡도는 185%에 달했다. 오전 8시, 김포공항역에서 중앙보훈병원역으로 향하는 급행열차는 염창역을 거치자 더는 탈 수 없어 보일 정도로 승객으로 꽉 차 있었다. 당산역에서는 등으로 사람들을 밀며 탑승하는 이들이 생겨났다. 비교적 공간이 많은 좌석 앞에 자리해도 어깨와 등이 주변 사람과 부딪혔다. 노량진역에서는 내리려는 사람과 타려는 사람의 동선이 꼬였다. 곳곳에서 “먼저 내릴게요! 비켜주세요”라는 외침이 나왔다. 


지난 9월 김포골드라인 김포공항역에서 양촌방면으로 열차를 탑승하기 위한 승객들이 밀집해있다. 일부는 계단 위에서 대기 중이다.    사진=이소연 기자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들은 “언제든 사고가 나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이야기했다. 김포에서 서울로 통근하는 직장인 김리아(28·여)씨는 “퇴근 시간 때는 더 심하다. 항상 사고가 날 수 있다고 느낀다”며 “이태원 참사로 인해 심란한 마음이다. 지하철 때문에 이사 갈 계획도 갖고 있다”고 밝혔다. 김포골드라인과 9호선을 이용한다는 30대 김모씨는 “출퇴근 시간대에 너무 심하게 사람들이 밀집돼 있기는 하다”며 “사고가 날 거라는 생각은 안 해봤지만 대책이 필요하다고는 생각한다”고 말했다.

압박감으로 인해 지하철에서 실신을 경험하거나 목격했다는 증언도 있었다. 김포골드라인을 타고 서울로 출퇴근하는 최아라(26·여)씨는 “출퇴근 시간, 산소가 부족하다고 느낄 정도로 심각할 때가 많다”며 “한 달 전쯤 실신할 뻔한 적도 있다. 그때 제 앞에 계시던 분도 쓰러졌다. 종점에서 내리면 헉헉대며 숨을 고르는 사람들도 종종 보인다”고 말했다. 김은지(34·여)씨도 “(압박받는 가운데) 히터까지 틀면 가슴이 심하게 답답할 때가 있다”며 “겨울철에는 열차에서 내린 후 숨쉬기가 답답한지 플랫폼 의자에 누워 쉬는 사람들도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교통공사의 지하철 혼잡도 조견표. 골드라인을 운영하는 김포시는 서울교통공사와 혼잡도 기준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서울교통공사 
또 다른 수도권 지하철도 출퇴근 시간 과밀을 겪기는 마찬가지다.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수도권 지하철 1~8호선 중 4호선 한성대입구역→혜화역 구간 출근시간대(오전 8시~오전 8시30분) 혼잡이 150.8%로 가장 심했다. 2호선 방배→서초 149.4%, 3호선 무악재→독립문 140.6%, 8호선 강동구청→몽촌토성 134.1%, 5호선 길동→강동 132.2% 순이다.      
31일 오후 '이태원 압사 사고'가 일어난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 거리.   사진=임형택 기자
인파가 걷잡을 수 없이 모인 상황에서 위험은 발생한다. 핼러윈을 앞둔 29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에는 10만명 이상의 인파가 몰렸다. 좁은 골목길에 사람들이 빽빽하게 들어찼다. 통행 통제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이날 오후 10시17분 사고가 터졌다. 이태원 해밀턴호텔 인근 좁은 내리막길에 인파가 몰리면서 압사 사고가 발생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인명 피해는 1일 오전 11시 기준 사망자 156명, 중상자 29명, 경상자 122명이다. 피해자 대다수는 10대~20대로 파악됐다. 

핼러윈뿐만이 아니다. 신년 보신각 타종행사와 해돋이 축제, 서울 여의도 불꽃축제, 크리스마스 이브 서울 명동 등에서도 각별한 안전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인다. 실제 사고도 있었다. 지난 2000년 12월31일 서울 보신각 타종행사에서 인파에 깔려 1명이 숨지고, 9명이 다쳤다. 숨진 이는 5세 아이였다. 당시 보신각 주변에는 6만명이 운집했다.

31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 앞에 마련된 '이태원 압사 사고' 희생자 추모공간을 찾은 시민들이 고인을 추모하고 있다.    사진=임형택 기자 
전문가는 시민 의식 제고와 문화 개선이 필요하다고 봤다. 이영주 서울시립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지하철역을 더 만들고 공간을 넓게 하는 것보다는 ‘과밀은 위험하다’는 사람들의 인식 변화가 더 중요하다”며 “앞 사람과 충분한 간격을 두고 걷거나 특정 방향으로 통행하고 몸을 서로 부딪치지 않게 조심한다는 등 사회적 약속이 지켜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과밀 상황에서도 사람을 밀어서 지하철에 탑승하는 일이 여전히 일상적이다. 과밀이 위험하다는 것을 지금이라도 알고 경각심을 갖고 행동해야 한다”며 “한두 명 개인의 노력이 아닌 모든 시민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