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날의 검’ 온라인 플랫폼… ‘증거’이자 ‘트라우마 증폭’ 우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온라인 플랫폼이 '이태원 참사' 이후 '양날의 칼'이 되고 있다.
SNS를 포함한 온라인 플랫폼에서 사고 원인을 밝힐 수 있는 증거를 담은 사진·영상뿐 아니라 허위 정보가 급속하게 퍼지고 있다.
참사 현장을 담은 사진·영상은 원인과 사고 당시 상황을 분석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된다.
좁은 골목에 인파가 몰려 소리를 지르는 모습, 사고 직후 사람들이 의식을 잃어가는 장면 등이 적나라하게 온라인 플랫폼을 타고 퍼졌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집단 마약 투여’ 허위 정보도 함께 유포
무분별한 재난 정보 확산 막을 장치 필요
온라인 플랫폼이 ‘이태원 참사’ 이후 ‘양날의 칼’이 되고 있다. SNS를 포함한 온라인 플랫폼에서 사고 원인을 밝힐 수 있는 증거를 담은 사진·영상뿐 아니라 허위 정보가 급속하게 퍼지고 있다. 이런 사진과 영상들은 사고 발생 전후 상황은 물론 당국에서 현장 접근에 어려움을 겪었던 정황 등을 비교적 정확하게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집단 후유증’을 유발하고 ‘피해자 2차 가해’로 변질하고 있다는 비판도 받는다. 전문가들은 무분별하게 재난 정보가 퍼지는 걸 막는 ‘여과 장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31일 IT업계에 따르면 네이버, 카카오 등 국내 온라인 플랫폼 기업은 서비스 공지사항 등으로 이태원 참사 관련 게시글 및 댓글 작성에 각별히 주의해 달라고 요청했다. 카카오와 네이버는 “피해자 신원이 드러날 수 있는 사진이나 동영상 등의 게시글, 댓글, 사고와 관련된 확인되지 않은 사실의 유포·공유를 자제해 달라”고 강조했다. 소셜미디어 트위터도 “민감한 게시물의 리트윗 자제를 부탁한다”고 했다.
참사 현장을 담은 사진·영상은 원인과 사고 당시 상황을 분석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된다. 사고 소식을 빠르게 전파하는 역할을 톡톡하게 했다. 당국의 신속한 대처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키웠다. 경찰은 사고 당시의 정황을 포함하는 소셜미디어 영상을 확보해 정밀 분석할 방침이다.
그러나 사고 현장을 여과 없이 담으면서 피해자 얼굴이 그대로 드러나는 등의 2차 가해를 촉발한다. 좁은 골목에 인파가 몰려 소리를 지르는 모습, 사고 직후 사람들이 의식을 잃어가는 장면 등이 적나라하게 온라인 플랫폼을 타고 퍼졌다. 이와 함께 진위를 확인하지 않은 허위 정보도 확산했다. “뒤에서 밀자고 외쳤다” “집단으로 마약을 투여하다 사망했다” 식의 미확인·허위 정보가 퍼지고 있다. 온라인 플랫폼이 사고의 실체를 전달하는 통로이면서 또 다른 피해를 양산하는 ‘이중성’을 적나라하게 드러낸 것이다.
유포 방지를 위해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하지 못하도록 통제하는 건 불가능하다. 현재로선 이용자들의 ‘자정작용’에 기댈 수밖에 없다. 온라인 플랫폼 관계자는 “이용자들의 자유로운 의사를 통제할 방법이 없어 사후 대처를 통해 확산을 막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에 방송통신위원회와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이태원 참사 관련 게시물이 악성 게시물에 해당하는지 심의·판단한 뒤 삭제 등의 사후조치에 집중할 방침이다. 다만 심의 대상을 특정해야 하기 때문에 지속해서 재생산되고 퍼지는 걸 막기엔 역부족이다.
전문가들은 확인되지 않은 재난 관련 정보를 무차별로 유통하는 행위에 대처할 제도적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미국 사례가 대표적이다. 미국의 연방재난관리청은 2013년부터 ‘허위정보 통제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각종 재난이 발생하면 잘못된 정보를 정정하고,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식으로 적극적 대응이 이뤄지고 있다.
한편, 네이버와 카카오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메신저에 이태원 참사 추모공간을 마련했다. 이용자는 추모 리본 달기(네이버), “삼고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는 추모 댓글(카카오)을 다는 식으로 참여할 수 있다. 별도의 댓글 작성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카카오 관계자는 “2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정해진 추모 문구로만 작성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삼풍 생존자, ‘이태원 참사’에 “당신 잘못이 아닙니다”
- “통장에 찍힌 월급 18만원 늘었지만 체감은 1만9천원 줄었다”
- “수원 발발이가 세입자라니…” 박병화 거주 원룸 주인 분통
- “덩치 좋던 아들이 압사라니…” 오스트리아에서 날아온 가족도
- “어디야 제발…” 애타는 엄마 문자에 끝내 대답 못한 딸
- “기다리세요” 같은 골목 한 여성 외침에 정체 풀렸다
- 인파 속 갑자기 벽 기어올라…‘참사’ 피한 외국인 [영상]
- “밀침에 휘청”… 경찰, CCTV 영상 확보·조사 착수[영상]
- CPR 나선 의사 “홍대 가 술 더 마시자던 구경꾼, 끔찍”
- 배우 윤홍빈 “울면서 CPR 했는데… 예방 가능했던 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