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도 아닌데... 시집을 내자고 했습니다 [책이 나왔습니다]

박향숙 2022. 10. 31. 16: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어머니에게 보내는 편지를 담은 김남영 시집 <어머니 그리고 편지>

[박향숙 기자]

첫 번째 글집을 지어주고 싶은 사람을 만났다. 무명시인이라고 이름 붙여준 김남영(62)씨다. 삶의 뒷모습을 듣고 보니 더더욱 호기심이 당겼다. 어릴 때 이유 모를 난청이 찾아왔단다.

"열기도 없었는데 어느 날 갑자기 그렸어요. 귀는 어두워도 울 아들 똑똑혀요. 근디 작가님이 울 아들이 쓴 글을 책으로 만들어주는 사람이라고 깜짝 놀랐어요. 고마워요. 정말 눈물나게 고마워요."
 
▲ 김남영작가시집<어머니 그리고 편지> 출간회장애 걸린 김남영시집의 플래카드
ⓒ 박향숙
 
그의 어머니가 말했다. 어느 날 책방에서 보내는 아침편지에 대한 답장으로 한 지인이 글 하나를 보냈다. 제목은 <빈 길>이었다. 당신과 종종 바둑을 두는 후배인데, 짤막한 글을 써서 가끔 보낸다 했다.
 
그래
길 이란게
비어 있어야지
 
꽉 찬 길도 길이더냐
걸음걸음 걸어서 닿고
걸음걸음 걸어서 함께가자
(중략)
얼릉
빈 길 위에서
가는 동안
손을 맞잡아 주소
 
서로 마음 달래며
그 빈 길을 가자

 
화려한 단어하나 없이 편안한 시어가 좋다고 나름 평을 써서 보냈다. 인연의 시작이었다. 며칠 뒤 이 글을 쓴 사람과 차 한잔 할 수 있냐고 전화를 받았다. 말을 잘 알아듣지 못하니 답답할 수 있을 거라고, 그냥 인사라도 하고 톡으로 대화가 가능하다고 했다.

신기한 일이 일어났다. 막상 만나보니, 내 목소리는 잘 들린다고 했다. 지인의 말은 거의 알아듣지 못하는데, 어찌 내 말을 알아듣는지 물으니, 여성의 목소리는 그래도 어느 정도 들린다 했다. 소위 '여자 목소리 선택형 난청'이라며 웃었다.

기계음은 거의 알아듣지 못하고, 소리톤이 낮은 남자 목소리 식별도 불가능하다고 했다. 어찌됐든 내 목소리는 들린다 해서 평소보다 소리를 높이고, 발음을 똑똑 떨어지게 내면서 얘기했다.

며칠 뒤 개인적으로 부탁할 일이 있다고 했다. 당신의 어머니가 고령인데 노인유치원에 다닌다고, 혹시나 무슨 일이 있을 때를 대비해서 어머니에게 쓴 편지글을 묶는 방법을 알려달라고 했다.

미래에 있을 장례식장에 찾아오는 사람들이 모두 아는 사람들일 테니, 어머니를 기억하는 자리에 답례로 글모음집을 주고 싶다고 했다. 사람마다 추억의 장을 만드는 법이 다르구나 싶었다.
 
▲ 출간회에서 김남영 작가의 한 말씀 출판사대표로서 출간회 사회를 보는 영광을 가졌다
ⓒ 박향숙
 그렇게 김남영씨가 쓴 시 100여 편을 받았다. 몇 편 읽어보며 나 혼자만 읽고 접기 아까웠다. 시인으로 등단하는 공모전을 통해야만 시집을 내는 것은 아니라며, 이 글을 시집으로 만들고 싶다고 했다. 많은 사람들이 함께 읽을 시집, 정식으로 출판하자 했다.

처음에 김남영씨는 거절했다. 자기는 시인도 아니고, 자기 글은 유명 시인들처럼 그런 시도 아니라고 했다. 그러나 몇 번의 권유로 허락을 받고 시집에 실을 시를 분류했다. 여러 번의 편집과 출판에 이르기까지 지역의 한 출판사 사장의 도움을 받았다.

책방에서 보내는 아침편지에 무명시인 김남영의 이름으로 시 두 편을 소개했다. 답장을 준 사람들의 평이 후했다. 출간 책임자로서 다행이다 싶었다. 누군가가 내 글을 읽고 공감을 해준다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님을 이곳저곳 글을 쓰면서 더욱 실감하기 때문이다.

드디어 김남영의 시집 <어머니 그리고 편지>가 나왔다. 가까운 지인들에게 선물하고 싶다고 해서 비매품도 함께 출간했다. 내가 해주고 싶은 것은 출간회 잔치였다. 말랭이마을 10월 행사에 시집 출간회를 넣었다. 출판사 대표로서 첫 출간집을 자축하고 싶어 단호박떡 150개를 준비해서 찾아온 지인들과 마을사람들과 나눴다.
 
▲ 출간을 축하는 시낭송 시낭송가 윤혜련님이 작가의 시 <부추꽃>을 낭송했다
ⓒ 박향숙
 
출간회에 찾아온 사람들 중 어떤이는 시낭송으로 축하하고, 어떤이는 꽃다발, 웃음과 박수로 축하했다. 작가와의 대화에서 작가에게 물었다. 작가의 난청으로 우리말을 우리말로 통역하는 해프닝도 있었다.

"50여 년 동안 맘속의 말을 자기 글로만 담아 놓았다가 세상에 내보이는 소감이 어떠세요?"
"책 읽기를 좋아해서 다른 시인의 시를 종종 읽지요. 내 글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시를 읽는 기분이었어요. 이렇게 부족한 글을 책으로 만들어 함께 읽자고 전하게 되어 기쁩니다."

"작가님이 어머님에게 편지를 쓸 때마다 어떤 마음으로 썼나요?"
"작가의 말로 대신 할게요. 손수레의 추억으로 어머니와 내 그리움을 인사말로 대
신 하렵니다. 손수레를 난 앞에서 끌고 어머니는 뒤에서 밀었다. 오르막에서 더 빨라짐은 앞에선 어머니 생각, 뒤에선 아들 생각이지요."

함께 동석한 어머님의 눈에 이슬이 맺혔다. 내 마음에도 눈물이 맺혔다. 신희상 시인은 인연을 표현하길 '현명한 사람은 옷깃만 스쳐도 인연을 살릴줄 안다'라고 했다. 출간회는 또 다른 사람들이 우연히 만나 필연을 넘고 겹겹이 쌓여지는 인연 그물을 만들었다. 부디 서로의 옷깃이 살포시 내려앉아 기쁨도 슬픔도 같이 나누며 살리는 인연이길 소망한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