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털 달린 유인원’으로 불리는 어치, 지능 높을수록 자제력 강해

방제일 2022. 10. 31. 14:3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까마귓과의 새 '어치'는 지능이 높을수록 눈앞의 유혹을 뿌리치는 자제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의 지능과 자제력 간의 상관관계가 확인된 것은 이번 연구가 처음이다.

이는 어치의 지능과 자제력이 연관돼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케임브리지대, 마시멜로 테스트서 새의 지능과 자제력 간 상관관계 연구
어치, 인간 제외한 다른 유인원에 버금가는 인지 능력 보유
어치 대상 마시멜로 테스트에서 최저 자제력을 기록한 '호머'. 사진=연합뉴스

[아시아경제 방제일 기자] 까마귓과의 새 '어치'는 지능이 높을수록 눈앞의 유혹을 뿌리치는 자제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의 지능과 자제력 간의 상관관계가 확인된 것은 이번 연구가 처음이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에 따르면 이 대학 심리학과 알렉스 슈넬 박사의 연구팀은 어치판 '마시멜로 테스트'를 통해 새의 자제력을 확인해 '왕립학회 자연과학 회보 B'(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에 발표했다.

'가르룰루스 그란다리우스'(Garrulus glandarius)라는 학명을 가진 약 30cm 크기의 어치는 인간을 뺀 다른 유인원에 버금가는 인지 능력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깃털 달린 유인원'으로 불리기도 한다.

까마귓과 새는 나중을 위해 눈앞의 먹이를 당장 먹지 않고 저장하는 습성을 보이는데, 연구팀은 이런 부분이 자제력을 진화시킨 동력이 된 것으로 분석했다.

연구팀은 어치의 자제력을 확인하기 위해 마시멜로 테스트를 활용했다. 이 테스트는 어린이에게 당장 마시멜로 하나를 받거나 또는 일정 시간을 기다린 후에 두 개를 받는 것 중에서 선택하게 해 자제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어치 실험에서는 마시멜로 대신 곤충 거저리와 치즈, 빵 등을 제시했다. 일반적으로 거저리는 어치가 가장 좋아하는 먹이이고, 치즈와 빵에는 그 다음 선호도를 보인다.

연구팀은 빵과 치즈는 바로 먹을 수 있게 두고 거저리는 투명 아크릴 너머로 볼 수는 있지만 5초에서 5분 30초까지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접근할 수 있도록 실험을 설계했다. 그 결과 모든 어치가 빵과 치즈를 즉각 먹지 않고 기다려 거저리를 획득하는 자제력을 발휘했다.

하지만 제이로(JayLo)라는 어치는 5분 30초를 기다렸다가 거저리를 얻은 것과 달리 돌치(Dolci)와 호머(Homer)는 20초 만에 빵과 치즈에 입을 대고 마는 등 개체별로 큰 편차를 보였다.

연구팀은 또 대상 어치들에게 '일반 지능'(general intelligence)을 측정하는데 이용되는 5가지 인지 과제를 실시했는데, 이 과제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어치들이 거저리 보상 실험에서 더 오래 기다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치의 지능과 자제력이 연관돼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자제력은 인간과 침팬지 등의 높은 지능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졌다가 최근에는 갑오징어에게서도 확인된 바 있다. 2021년 3월 미국 시카고대학 '해양생물실험실'(MBL)에 따르면 슈넬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이 MBL에서 이뤄진 갑오징어를 대상으로 한 마시멜로 테스트에서 얻은 결과를 영국 왕립학회 자연과학 회보 B에 발표했다.

어치와 마찬가지로 먹이를 두고 진행한 마시멜로 테스트에서 갑오징어는 더 나은 보상을 두고 50초에서 2분 10초까지 기다릴 수 있는 자제력을 보였다. 이는 침팬지와 까마귀, 앵무새 등에 맞먹는 것으로 연구팀은 설명했다. 슈넬 박사는 "어치의 자제력은 개체마다 편차가 있지만,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인지 과제 중 하나를 잘하면 다른 것도 모두 양호했다는 점"이라면서 "이는 일반 지능 요소가 뒷받침하고 있다는 점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